•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belief model

검색결과 299건 처리시간 0.027초

Health Beliefs of Nursing Faculty Students about Breast Cancer and Self Breast Examination

  • Ardahan, Melek;Dinc, Hulya;Yaman, Askin;Aykir, Emrah;Aslan, Bave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7호
    • /
    • pp.7731-7736
    • /
    • 2015
  • Background: Breast cancer usually shows a slow development rate and when it is recognized in early stages very successful treatment results can be achieved. This research was planned to research the health beliefs of nursing faculty students about breast cancer and breast self-examination (BSE). Materials and Methods: The first class students of nursing faculty formed the basis for this descriptive research (N=347). Sample selection was not made and all female students who wanted to participate voluntarily in the research during March-May of 2014 were included (n=331). Results: It was determined that 85.5% of students had knowledge about cancer, 79.5 % knew of breast cancer, and 65.3% were aware of how BS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sponses of students to the scale of the health belief model that is used to determine the health beliefs of students, item-point averages of trust and obstacle sub-dimensions were high. Conclusions: It is determined that more than half of students had knowledge about breast cancer and breast self-examination. Their health beliefs were affected by trust and obstacle perceptions, knowledge level about cancer, and awareness about how BSE is done.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trainings that will be given to students. Social responsibility projects should have designed to create the awareness that cancer is a treatable disease.

Facilitator Psychological Constructs for Mammography Screening among Iranian Women

  • Taymoori, Parvaneh;Moshki, Mahdi;Roshani, Dae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7호
    • /
    • pp.7309-7316
    • /
    • 2014
  • Background: While many researchers often us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mammogram repeat interventions, it seems they do not apply an identified mediation analysis metho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ediators of mammogram replication behavior in two tailored interventions for non-adherent Iranian women. Materials and Methods: A sample population of 184 women over 50 years old in Sanandaj, Iran, was selected for an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one of the three conditions: 1) an intervention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HBM) 2) an intervention based on an integration of the HBM and selected constructs from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and 3) a control group. Constructs were measured before the intervention, and after a 6-month follow-up. Results: Perceived self-efficacy, behavioral control, and subjective norms were recognized as mediators in the HBM and selected constructs from the TPB intervention. Perceived susceptibility, severity, barriers, self-efficacy and behavioral control met the criteria for mediation in the HBM intervention. Conclusions: This study was successful in establishing mediation in a sample of women. Our findings enrich the literature on mammography repeat, indicating key intervention factors, and relegating redundant ones in the Iranian populations. The use of strategies to increase mammography repeat, such HBM and TPB constructs is suggested to be important for maintaining a screening behavior, once the behavior has been adopted.

농촌 지역의 고혈압 유병률, 관리 양상 및 그 관련요인 (The Prevalence,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and Related Factors in Rural Korea)

  • 하용찬;천현주;황혜경;김병성;김장락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3권4호
    • /
    • pp.513-520
    • /
    • 2000
  • Objectives :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rates of awareness, treatment modalities, and control of hypertension, and also to identify factors in rural Korea that are related to these aspects of hypertension. Methods : A cross-sectional survey, including blood pressure(BP) measurements and interviews, investigating the variables in the health belief model was peformed from August to November, 1999 on 1,426 (79.4%) study subjects out of 1,797 registered residents over 30 years old in Ibansong-Myun, Chinju City. A second survey was peformed from January to March, 2000 on 376 (80.0%) subjects out of 470 hypertensive (or suspected hypertensive) subjects found in the first survey. Two BP readings were taken in each survey using a standard mercury sphygmomanometer. Hypertension was defined as either a BP reading $\geq$ 140/90 mmHg in both surveys, or as subjects on oral hypertensive medication. Results : Estimated hypertension prevalence was 24.9% for men, and 30.4% for women. Rates of hypertension awareness, treatment (the regular use of oral hypertensives), and control (reduction of BP to <140/90 mmHg) were 52.5%, 34.4%, and 12.9%, respectively. The factors related to lower hypertension awareness i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male gender, farming occupation, and higher perceived barrier to medical treatment (those for whom visiting health professionals is a burden). Conclusions : To improve the low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a more active and out-reaching hypertension control program, including routine BP measurements for every visitor to primary care facilities, is needed in rural Korea.

  • PDF

직장인의 건강신념이 COVID-19 예방접종 이행의도에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get COVID-19 Vaccine according to Employee's Health Beliefs)

  • 김유미;정세영;이근출;김병권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6권4호
    • /
    • pp.207-217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 which employee's health beliefs affect their intention to get COVID-19 vaccine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urvey were 237 emlpoyees living in Busan.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online questionnaires from April 26th to May 6th, 2021. The data were analyzed in SPSS WIN version 25.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square tes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t the average score for each area of health beliefs regarding COVID-19, self-efficacy was 4.45 points, perceived sensitivity 4.71 points, perceived severity 3.59 points, perceived benefit 4.46 points, and perceived disability 2.19 points. Monthly income, perceived sensitivity, perceived severity, and perceived benefit were found to b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get COVID-19 vaccines.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vaccination intention of COVID-19, it is necessary for subjects to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the disease, increase their sensitivity to the disease, and actively promote and educate the community about the benefits of vaccination.

건강 정보 추구가 유방암 검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건강신념모형과 자율적 동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Info Seeking on Breast Cancer Screening Intention: Focusing on HBM and Autonomous Motives)

  • 구윤희;노기영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381-1387
    • /
    • 2018
  • 본 연구는 전세계적으로 여성암 발병률 1위로 꼽히는 유방암 검진을 활성화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인식 개선 방안을 살펴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유방암 관련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건강신념모형(HBM)을 활용하였다. 질병 위험 지각, 질병 예방 행동 평가가 질병 관련 정보 추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이러한 정보 추구 행동이 결과적으로 유방암 건강 검진 의도를 강화할 것이라고 추측하였다. 여기에 개인의 가치와 관심에 의한 스스로의 행위 조절을 뜻하는 '자율적 동기'를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유방암을 위험하다고 지각할수록 유방암과 관련한 정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찾고 있었다. 유방암 검진을 수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익을 높게 지각할수록 관련 정보를 추구하는 행동 역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스스로의 행위 조절에 적극적일수록, 즉 자율적 동기가 높을수록 유방암 관련 정보 추구 행동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정보 추구 행동은 다시 건강 검진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유방암 관련 정보를 많이 찾아볼수록 검진을 하겠다는 의도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부 농촌지역 여성 골다공증 환자의 칼슘보조제 치료순응도와 결정요인 (Therapeutic Compliance for Calcium Supplements and Its Related Factors in Rural Osteoporotic Women)

  • 천병렬;감신;이영자;이상원;이경은;이영석;김봉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6권2호
    • /
    • pp.111-132
    • /
    • 2001
  • 골다공증 환자들의 치료순응도와 그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9년 4월에서 6월 사이에 골다공증으로 진단된 고령지역의 3개 보건진료소와 보건소 관할지역에 거주하는 40세에서 69세 사이의 여성 140명을 대상으로 골밀도 검사 사업을 실시한지 약 1년 후인 2000년 4월에서 5월 사이에 약물치료순응도와 치료순응도 관련 이론적 모형 변수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 중 규칙적 치료군은 12.1%, 간헐적 치료군은 53.6%, 미치료군은 34.3%였다. 단순분석 결과, 일반적 특성 중 연령이 높을수록, 본인이 인지하는 질병의 정도가 심하다고 생각할수록, 의사의 치료권유를 받은 경우에 치료순응률이 높았다(p<0.05). 환자역할수행요인 중 합병증(골절)의 가능성과 골다공증의 심각성이 치료 순응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p<0.05). 그리고 치료가 유익하다고 생각할수록, 치료의 장애도가 낮을수록 치료경험율이 높았다(p<0.01). 경로분석 결과 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하였다. 합병증(골절)의 가능성 인지에는 연령, 학력, 골다공증에 대한 매스컴 접촉/보건교육 경험, 치료에 대한 가족의 관심 등이 정(正)의 직접효과를 미쳤으며, 골다공증의 심각성 인지에는 연령, 학력, 의사의 치료권유, 치료에 대한 가족의 관심 등이 정(正)의 직접효과를 미쳤다. 치료의 유익성 인지에는 의사의 치료권유와 치료에 대한 가족의 관심이 정(正)의 직접효과를 미쳤으며, 치료의 장애도 인지에 대하여는 연령, 경제적 수준, 의사의 치료권유와 치료에 대한 가족의 관심이 부(負)의 직접효과를 미쳤다. 골다공증 치료순응도에는 골다공증의 심각성이 정(正)의 직접효과, 치료의 장애도가 부(負)의 직접효과를 미쳤다. 수정요인 중 본인이 인지한 질병의 정도는 치료순응도에 정(正)의 직접효과를 미쳤으며, 연령, 경제적 수준, 학력, 의사의 치료권유, 가족의 치료에 대한 관심 등은 환자역할 수행요인에 대한 영향을 통해 치료순응도에 정(正)의 간접효과를 미쳤다. 치료순응도에 총 효과 가장 큰 요인은 치료의 장애도였으며, 그 다음으로 본인이 인지하는 질병의 정도, 연령, 의사의 치료권유, 치료에 대한 가족의 관심, 골다공증의 심각성 순이었다. 치료의 장애도는 연령, 경제적 수준, 의사의 치료권유와 치료에 대한 가족의 관심의 영향을 받았다. 또한 낮은 연령일수록 치료순응도가 낮았다. 향후 골다공증 환자의 치료순응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자신의 질병상태를 올바르게 인식하도록 하고, 의사의 치료 권유와 치료에 대한 가족의 관심 등 골다공증 치료에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하여 심리적 및 현실적 장애를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리라 생각되며,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환자관리체계의 개발이 필요하겠다.

  • PDF

출산과 여성의 사회경제적 상태 변화: 성향점수매칭과 이중차이를 활용한 분석 (Childbirth and Socioeconomic Status Changes in Korean Women: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 정윤선;유창훈;권영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667-676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출산 여부에 따른 여성의 사회경제적 상태 변화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향점수 매칭방법을 이용해 출산 여성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비교집단을 구성하고, 이중차이분석과 이중차이를 활용한 회귀분석을 통해 출산이 여성의 사회경제적 상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출산은 저축액의 감소, 여성의 경제활동 중단, 종사상 지위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출산이 가정경제와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여성의 경제활동이 출산에 의해 중단되지 않고 직종과 지위에 관계없이 출산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가정 경제를 꾸려나갈 수 있다는 믿음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간접흡연 노출에 대한 비흡연 대학생의 주장행위에 관한 연구 -건강신념모형과 ASE model 적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sertive Behavior Among Non-smoking College Students Under Secondhand Smoke Exposure)

  • 김명수;김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187-5195
    • /
    • 2012
  • 본 연구는 비흡연 대학생이 간접흡연에 노출되었을 때 금연을 주장하는 행위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는 B광역시 2011년 10월부터 11월까지 2개월간 일개 대학의 비흡연 대학생 246명으로부터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되었으며 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비흡연 대학생의 간접흡연 노출시 금연을 주장하는 행위와 관련된 요인은 남학생인 경우(OR 3.173, 95% CI 1.676-6.005), 가족 내 흡연자가 있는 경우(OR 1.679, 95% CI 1.056-2.983), 주장행위에 대한 지각된 유익성이 높은 경우(OR 2.821, 95% CI 1.044-7.623), 주장행위에 대한 사회적 영향이 큰 경우(OR 3.753, 95% CI 1.845-7.634), 주장행위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경우(OR 4.140, 95% CI 2.159-7.941)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성인 초기의 대학생들의 간접흡연 노출 시 금연에 대한 주장행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주장행위의 유익성과 사회적 영향 및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가 필요하다.

Effects of Breast Cancer Fatalism on Breast Cancer Awareness among Nursing Students in Turkey

  • Kulakci, Hulya;Ayyildiz, Tulay Kuzlu;Yildirim, Nuriye;Ozturk, Ozlem;Topan, Aysel Kose;Tasdemir, Nurt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8호
    • /
    • pp.3565-3572
    • /
    • 2015
  • Background: Breast cancer is the most common cancer among women and leading cause of death worldwide, including in Turkey. High perceptions of cancer fatalism are associated with lower rates of participation in screening for breast canc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breast cancer fatalism and other factors on breast cancer awareness among nursing students in Turkey. Materials and Methods: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at three universities in the Western Black Sea region. The sample was composed of 838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by Personal Information Form, Powe Fatalism Inventory (PFI) and Champion's Health Belief Model Scale (CHBMS). Results: Breast cancer fatalism perception of the students was at a low level. It was determined that students; seriousness perception was moderate, health motivation, BSE benefits and BSE self-efficacy perceptions were high, and BSE barriers and sensitivity perceptions were low. In addition, it was determined that students awareness of breast cancer was affected by breast cancer fatalism, class level, family history of breast cancer, knowledge on BSE, source of information on BSE, frequency of BSE performing, having breast examination by a healthcare professional within the last year and their health beliefs. Conclusions: In promoting breast cancer early diagnosis behaviour, it is recommended to evaluate fatalism perceptions and health beliefs of the students and to arrange training programs for this purpose.

간호대학생의 감염관리 건강신념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감염관리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lth Belief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of Nursing Students)

  • 김윤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85-9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감염관리 건강신념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감염관리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의료 관련 감염관리의 개선 및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1년 6월부터 7월까지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3학년, 4학년 간호대학생 22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해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승인된 내용에 따라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Statistics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감염관리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간호대학생의 감염관리 건강신념과 비판적 사고성향은 감염관리 표준주의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16.634, p<.001), 모형의 설명력은 22.0%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감염관리 표준주의 수행도 개선을 위해 감염관리 건강신념과 비판적 사고성향 향상이 요구되며, 간호대학생들을 위한 체계적인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율적인 감염관리 교육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