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농촌지역 여성 골다공증 환자의 칼슘보조제 치료순응도와 결정요인

Therapeutic Compliance for Calcium Supplements and Its Related Factors in Rural Osteoporotic Women

  • 천병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감신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 이영자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 이상원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경은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영석 (고령군 보건진료소) ;
  • 김봉기 (고령군 보건진료소)
  • Chun, Byung-Yeol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am, Si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Young-Ja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W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Kyung-Eu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Young-Seok (Koryong County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
  • Kim, Bong-Kee (Koryong County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 발행 : 2001.12.30

초록

골다공증 환자들의 치료순응도와 그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9년 4월에서 6월 사이에 골다공증으로 진단된 고령지역의 3개 보건진료소와 보건소 관할지역에 거주하는 40세에서 69세 사이의 여성 140명을 대상으로 골밀도 검사 사업을 실시한지 약 1년 후인 2000년 4월에서 5월 사이에 약물치료순응도와 치료순응도 관련 이론적 모형 변수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 중 규칙적 치료군은 12.1%, 간헐적 치료군은 53.6%, 미치료군은 34.3%였다. 단순분석 결과, 일반적 특성 중 연령이 높을수록, 본인이 인지하는 질병의 정도가 심하다고 생각할수록, 의사의 치료권유를 받은 경우에 치료순응률이 높았다(p<0.05). 환자역할수행요인 중 합병증(골절)의 가능성과 골다공증의 심각성이 치료 순응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p<0.05). 그리고 치료가 유익하다고 생각할수록, 치료의 장애도가 낮을수록 치료경험율이 높았다(p<0.01). 경로분석 결과 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하였다. 합병증(골절)의 가능성 인지에는 연령, 학력, 골다공증에 대한 매스컴 접촉/보건교육 경험, 치료에 대한 가족의 관심 등이 정(正)의 직접효과를 미쳤으며, 골다공증의 심각성 인지에는 연령, 학력, 의사의 치료권유, 치료에 대한 가족의 관심 등이 정(正)의 직접효과를 미쳤다. 치료의 유익성 인지에는 의사의 치료권유와 치료에 대한 가족의 관심이 정(正)의 직접효과를 미쳤으며, 치료의 장애도 인지에 대하여는 연령, 경제적 수준, 의사의 치료권유와 치료에 대한 가족의 관심이 부(負)의 직접효과를 미쳤다. 골다공증 치료순응도에는 골다공증의 심각성이 정(正)의 직접효과, 치료의 장애도가 부(負)의 직접효과를 미쳤다. 수정요인 중 본인이 인지한 질병의 정도는 치료순응도에 정(正)의 직접효과를 미쳤으며, 연령, 경제적 수준, 학력, 의사의 치료권유, 가족의 치료에 대한 관심 등은 환자역할 수행요인에 대한 영향을 통해 치료순응도에 정(正)의 간접효과를 미쳤다. 치료순응도에 총 효과 가장 큰 요인은 치료의 장애도였으며, 그 다음으로 본인이 인지하는 질병의 정도, 연령, 의사의 치료권유, 치료에 대한 가족의 관심, 골다공증의 심각성 순이었다. 치료의 장애도는 연령, 경제적 수준, 의사의 치료권유와 치료에 대한 가족의 관심의 영향을 받았다. 또한 낮은 연령일수록 치료순응도가 낮았다. 향후 골다공증 환자의 치료순응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자신의 질병상태를 올바르게 인식하도록 하고, 의사의 치료 권유와 치료에 대한 가족의 관심 등 골다공증 치료에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하여 심리적 및 현실적 장애를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리라 생각되며,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환자관리체계의 개발이 필요하겠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therapeutic compliance and its related factors in rural women with osteoporos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from April to May in 2000 for 140 osteoporotic patients who were diagnosed from April to June in 1999 through community health program. The study employed the health belief model for predicting and explaining sick role behavior. The analysis techniques employed included contingency table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LISREL.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Of the subjects, 12.1% were continuously complaint, 53.6% were intermittently compliant, and 34.3% were non- compliant to calcium supplement therapy. As the result of path analysis, the therapeutic compliance was significantly higher(${\mid}T{\mid}$ >2.0) as patients had higher perceived severity of disease, lower perceived barriers of treatment, and when patients thought their disease status as severe. As the patients had higher educational level, more experience of mass media contact or health education about osteoporosis, and when family had more concern for patient treatment, they had higher perceived susceptibility of complication(bone fracture)${\mid}T{\mid}$ >2.0). The patients had higher perceived severity(${\mid}T{\mid}$ >2.0) as they had more educational level, more advice for treatment from their doctors, and when family had more concern for their treatment. As the patients had more advice for treatment from their doctors and when family had more concern for their treatment, they had higher perceived benefit of treatment and lower perceived barriers to treatment(${\mid}T{\mid}$ >2.0). In order to improve the therapeutic compliance in rural osteoporotic women, it would be necessary that the patient should recognize their disease severity properly. And the perceived barriers should be removed through supportive environments for osteoporosis treatment such as doctor 's more advice and family 's more concern for treatment. In addition, effective and continuous management system for osteoporotic patients should be establish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