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Medical Convergence

검색결과 833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 of Home-based Rehabilitation on Balance and Gait Function in Patient With Strok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Yong-gu Han;Chung-hwi Yi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1-103
    • /
    • 2024
  • Stroke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abilities experienced by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However, stroke progresses to a chronic level, patients are discharged from medical institutions and eventually no longer receive therapeutic interventions at home. In this systematic review, we compared home-based rehabilitation (HBR) with comparison for patients with stroke. Literature published in Cumulative Index for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CINAHL), Embase, Physiotherapy Evidence Database (PEDro), PubMed, and Google Scholar were reviewed. A total of 1,158 studies were initially retrieved. After reading the full texts, 11 articles were included in the systematic review. Quality assessment of the included studies was conducted using Risk of Bias (RoB) 2.0, and Egger's regression test was used to evaluate publication bia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R studio software (R Studio). According to the quality assessment using RoB 2.0, three studies were evaluated as low risk, two as of some concern, and three as high risk. The overall effect size was moderate (0.309). The value of the balance function was a small effect size (0.201), while the value of the gait function was a moderate effect size (0.353). The values were small and moderate effect (0.154, 0.411) for the chronic and subacute condition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Egger's regression test, no publication bias was observ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HBR resulted in the greatest improvement in gait function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compared to those with chronic stroke.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this intervention to patients with stroke in the community is recommended.

Smart-Coord: Enhancing Healthcare IoT-based Security by Blockchain Coordinate Systems

  • Talal Saad Albalaw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4권8호
    • /
    • pp.32-42
    • /
    • 2024
  • The Internet of Things (IoT) is set to transform patient care by enhancing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management through medical sensors and wearable devices. However, the convergence of IoT device vulnerabilities and the sensitivity of healthcare data raises significant data integrity and privacy concerns. In response, this research introduces the Smart-Coord system, a practical and affordable solution for securing healthcare IoT. Smart-Coord leverages blockchain technology and coordinate-based access management to fortify healthcare IoT. It employs IPFS for immutable data storage and intelligent Solidity Ethereum contracts for data integrity and confidentiality, creating a hierarchical, AES-CBC-secured data transmission protocol from IoT devices to blockchain repositories. Our technique uses a unique coordinate system to embed confidentiality and integrity regulations into a single access control model, dictating data access and transfer based on subject-object pairings in a coordinate plane. This dual enforcement technique governs and secures the flow of healthcare IoT information. With its implementation on the Matic network, the Smart-Coord system's computational efficiency and cost-effectiveness are unparalleled. Smart-Coord boasts significantly lower transaction costs and data operation processing times than other blockchain networks, making it a practical and affordable solution. Smart-Coord holds the promise of enhancing IoT-based healthcare system security by managing sensitive health data in a scalable, efficient, and secure manner. The Smart-Coord framework heralds a new era in healthcare IoT adoption, expertly managing data integrity, confidentiality, and accessibility to ensure a secure, reliable digital environment for patient data management.

간호대학생의 재난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 Expert Interviews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 오순영;이송현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9호
    • /
    • pp.147-155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재난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재난 관련 응급구조사, 보건소 재난 담당 간호사, 재난간호 담당 간호학과 교수 7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시행하였고, 자료 분석은 질적연구 중 내용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재난간호 교육프로그램의 구성 내용으로 '재난의 특성, 국가재난 체계, 관련 기관들과의 협업과 대응, 재난 현장 트리아지, 재난 상황에서 각 간호사의 역할'이 도출되었다. 교육과정 운영은 '저학년부터 고학년까지 단계적 적용, 기본단계인 이론교육 단계, 심화 1단계의 팀 활동과 학습 내용별 개별 훈련 교육, 심화 2단계에서 도상 훈련, 현장 훈련 교육 또는 시뮬레이션 형태로 이어지는 운영'의 결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재난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소방공무원의 식사속도와 대사증후군에 관한 연구 (Relation of Eating Speed and Metabolic syndrome in Fire fighters)

  • 이창섭;김지희;방성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113-119
    • /
    • 2014
  • 소방공무원은 근무 중 예고 없이 출동해야 하기 때문에 식사속도가 빠를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공무원의 식사속도가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소방공무원과 다른 직종 종사자에 대한 식사속도를 측정하였다. 식사에 소요되는 평균시간 측정결과, 소방공무원이 8분 29.00초로 가장 짧았으며, 해양경찰공무원 8분 33.17초, 군인 10분 44.77초, 일반직공무원 12분 49.33초, 대학생 14분 15.00초, 일반회사원 16분 51.00초 순으로 측정되었다. 빠른 식습관은 체중증가 및 대사증후군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선행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미국 소방관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8년간 7.7파운드의 체중증가가 있었다고 발표되었다. 소방공무원의 식사시간을 늦추기 위해서 각 소방학교의 교육과정 중에 건강에 유익한 식습관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것을 제안한다.

대한민국 특수임무유공자(수행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분노표현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Quality of Life and Anger Ex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of Korean Special Mission National Merit (Performer))

  • 김윤영;김태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481-49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특수임무유공자(수행자)들의 삶의 질, 분노표현, 자살생각 정도를 파악하고 대상자들이 느끼는 삶의 질과 분노표현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2016년 3월부터 2016년 5월까지 대한민국 특수임무유공자(수행자) 362명의 일반적 특성을 비롯한 삶의 질, 분노표현, 자살생각을 조사하여 SPSS 23.0 Statistics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삶의 질은 분노표현(r=-.151, p<.001)과 자살생각(r=-.539, p<.001)과 역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분노표현의 경우 자살생각(r=.601, p<.001)과 정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삶의 질과 분노표현은 자살생각에 대하여 42.9% 설명력을 가지는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특수임무유공자(수행자)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대상자들의 자살예방을 위해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국가적인 대책마련과 대상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사회적응 프로그램 및 분노조절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율적 운영이 요구된다.

질병군 포괄수가 적정성 평가 도입에 따른 합병증 발생률 변화에 대한 연구 -수정체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change of complication incidence rate according to introduction of quality evaluation by the DRG payment -focussing on patients with lens surgery)

  • 김명옥;박아르마;이종형;김광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99-106
    • /
    • 2018
  • 본 연구는 인구 고령화에 따라 증가하고 있는 안과 질병군(DRG)포괄수가 수정체 수술 환자를 중심으로 질병군(DRG)포괄수가 적정성 평가도입에 따른 수술합병증 발생률 변화를 파악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 전국소재, 전 종별(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의원)에서 청구하는 질병군(DRG)포괄수가 수정체 수술 환자의 건강보험 및 보훈 진료비용이다. 본 연구에서 종속변수는 '유리체탈출', '안압상승', '기타합병증'으로 세 가지 항목을 포함하고 있어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기타합병증군에 비해 유리체탈출군이 재원일수가 늘어날수록 0.27배(95% CI 0.08~1.00), 안압상승군은 0.14배(95% CI 0.03~1.59) 줄어들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 질병군(DRG)포괄수가 적정성 평가 도입에 따른 수정체 수술 합병증 환자를 대상으로 질병군 적정성 평가 결과와 질병군 수술 합병증의 의료의 질을 비교를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강원도형 치유관광의 과제 및 웰니스 상품화 방안 (The Commercialization Ways of Wellness Tourism and the Problems of Healing Tourism in Gangwon Province Model)

  • 김상윤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317-323
    • /
    • 2019
  • 최근 웰니스 문화 및 치유관광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문헌조사 및 사례연구를 통해 치유관광 목적지로서 강원도의 치유관광 여건을 검토하고, 강원도형 치유관광의 발전 과제 및 웰니스 관점의 상품화 방안을 고찰하였다. 조사 결과, 강원 영동권은 자연적 자원을 기반으로 한 우수한 치유기반 여건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지자체 간에 치유관광사업의 개발 컨텐츠나 사업 아이템이 중복되거나 계획단계에 머무르고 있어 중복투자를 방지하고 서로 연계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유기적인 협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 사례지로 검토한 고성군의 경우, 실버치유관광으로서의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지역의 특화된 자원과 연계한 테라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치유관광 대상별 웰니스 상품화 전략을 모색하고 강원 영동권의 지역별 강점을 효과적으로 연계 특화시켜 나간다면 실버 및 건강지향형 관광객을 타겟으로 하는 웰니스 관광상품 개발 운영의 지역적 성공 사례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지역 미세먼지가 호흡기계 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M10 on the Hospital Admission of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 in Seoul, Korea)

  • 박해용;박윤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94-201
    • /
    • 2019
  • 서울지역의 호흡기질환으로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미세먼지 노출에 대한 건강영향을 평가하였다. 건강보험공단의 2002-2010년 동안 표본코호트의 만성폐쇄성 폐 질환(COPD), 천식 및 폐렴과 같은 호흡기 질환으로 입원한 13,974명의 환자를 대상자로 하였다. 추적관찰 기간동안 미세먼지 농도가 50ug/m3 이상에서 10ug/m3 증가할 때 15세 미만의 연령층에서는 1.38%, 65세 이상의 연령층에서는 1.62%, 75세 이상 연령층에서는 2.87% 호흡기질환으로 입원이 증가하였고, 폐렴환자는 1.50%, COPD 환자는 1.51%, 폐렴 및 천식환자는 1.55% 입원이 증가하였다. 또한 미세먼지가 80ug/m3 이상에서는 65세 이상 연령층에서 3.71%, 75세 이상 연령층에서 4.25% 입원환자가 증가하였다. 높은 미세먼지농도와 호흡기 질환으로 입원한 환자들과, 특히 노인에서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미 호흡기 질환이 있었던 사람들, 특히 나이가 많은 환자는 고농도의 미세먼지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임상치과위생사의 내부마케팅,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간에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Market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 도유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8
    • /
    • 2020
  • 본 연구는 임상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에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인력관리에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195명으로 하였고, 2020년 3월 10일부터 4월 2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법으로 자료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 직무만족, 내부마케팅 정도는 t-검정과 one-way ANOVA로 분석하였고, 사후검정은 Scheffe'로 하였다. 조직몰입, 직무만족, 내부마케팅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고 직무만족(r=0.689), 내부마케팅(r=0.678)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조직몰입에 영향요인은 다중회귀분석을 하였고 조직몰입에 영향요인은 내부마케팅, 직무만족도였다. 가장 큰 영향 요인은 직무만족도 이었으며 설명력은 56.1%이었다. 이상의 결과, 임상치과위생사의 내부마케팅과 직무만족도 및 조직몰입과의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만족도이었다. 따라서 임상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치과 의료기관의 제도적·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유방 마사지가 가임기 여성의 월경 전 주기적 유방통 완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eriodic breast massage on the cyclical mastalgia of fertile women before their menstrual period)

  • 강경애;이지아;허명행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53-362
    • /
    • 2022
  • 본 연구는 주기적 유방 동통을 가진 가임기 여성에게 유방 마사지를 적용하여 유방 동통, 유방 경도, 유두 신전성, 유방 크기 및 유방의 혈액순환에 미치는 효과의 검증을 위한 무작위 통제군 전·후 실험 연구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M여성병원, C의료원, D시 소재의 백화점 및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모집한 주기적 유방 동통을 가진 여성 54명이었다. 실험 처치는 주기적 유방 동통이 있는 시기에 총 30분간 오른쪽과 왼쪽의 유방을 각각 15분씩 유방 마사지를 적용하였다. 실험 처치 후 실험군의 유방 동통(F=49.16, p<.001), 좌우 유방 경도(우측 t=-8.93, p<.001; 좌측 t=-10.34, p<.001), 좌우 유두 신전성(우측 t=3.58, p<.001 ; 좌측 t=4.66, p<.001), 좌우 유방 크기(우측 F=60.59, p<.001; 좌측 F=51.05, p<.001) 및 좌우 유방 혈액 순환 (우측 t=-1.30, p=.201; 좌측 t=-2.82, p=.007)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시행한 유방 마사지는 주기적 유방 동통이 있는 참여자의 유방 동통 완화, 유방 경도 완화, 유방혈액순환 향상에 효과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