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ing Garden Plan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8초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장 활용 계획 연구 (A Study on the Adaptive Reuse Plan for 2013 Suncheon Bay Garden Expo Site)

  • 조남훈;최정민
    • 농촌계획
    • /
    • 제20권1호
    • /
    • pp.161-173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adaptive reuse plan a take advantage of Suncheon Bay Garden Expo 2013. Detailed objectives included: to identify and foster cultural and ecological resources in Suncheon Bay and Garden Expo Site; and to search and propose characterized program in the site for efficient utilization; and to revitalize a site for the vitalizations of the region where garden culture and garden industries for strengthening local competitiveness. The study was multi-phased. The first stage included basic surveys such as site status and environmental context analysis, and questionnaires and similar case studies, and the second stage was to review the direction of preliminary planning, develop associated industries and strategies for regional revitalization and review and incorporate project details. And the third stage aimed to develop a comprehensive plan from spatial plans and program plans and suggest plans to vitalize the operation of the sit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zation strategy is 'healing experience tourism', 'healing garden', 'healing herbal care' are suitable for the site and regional revitalization. Second, the dimension of 2013 Suncheon Bay Garden Expo which was distinguished into four area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the garden expo site for efficient operation and maintenance. Four area are as follows: the park oriented area, the experiential tourism oriented area, the existing conservation oriented area, and the area for associated industries. Third, the practice of private and public partnerships is needed in order to efficiently manage and opera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s seeking to take advantage of the Garden Expo site and set the plan by existing resources and in consideration of local characteristics, in conjunction with area to envision and proposed management plan. Some problems are remained which have not been able to deal with details program and organization and financial planning programs for the operation of the site. This is for further study.

치유정원 조성을 위한 성격 유형별(Enneagram) 식물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청년층을 대상으로 - (Study on the Plants-preference Pattern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Enneagram) for the Creating of Healing Garden - Focusing young generation -)

  • 박원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31-40
    • /
    • 2016
  • This study identifies the basic personality types of subjects who use the healing garden and investigates their plants-preferen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a basic information about planting plan, considered as a main parts of healing garden. Survey results are stated as follows: First, the order of preference of instinct type tree is Prunus yedoensis, zelkova serrata, Phyllostachys Bambusoides. On the other hands, the order of preference of feeling and thinking type is Prunus yedoensis, zelkova serrata,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Second, the order of preference of instinct type of flowers is Rosa hybrida, Hibiscus syriacus, Forsythia koreana. However, the preference of emotional type is the order of Rosa hybrida, cosmos bipinnatus, Helianthus annuus and the preference of accident type is the order of Rosa hybrida, Hibiscus syriacus, Helianthus annuus. Third, for the color preferences, instinct type prefer yellow color, feeling type and thinking type prefer red color. Lastly, when people view plants, most personality types are interested in flower firstly, and secondly type of tree and scent. In other words, we can assume that people are interested in the flowers, most noticeable in plants. This study will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ing garden by providing relevant information regarding healing garden planting plan. Future research should consider to widen the range of target of investigation in order to perform additional comparison analysis.

공동주택에서 치유조경계획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Guidelines of Healing Landscape in Housing Complexes)

  • 천현우;이시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26-37
    • /
    • 2016
  • 본 연구는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하여 외부의 조경공간을 통해 치유환경을 제공하여 치유기능을 높이기 위한 조경계획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집합주거공간의 외부공간 조성에 있어 거주민들에게 생활환경을 높일 수 있는 기회와 함께 조경설계기법의 대안적인 기준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정형화되어 있지 못하고 있는 조경설계 분야의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기존 학자들의 치유정원에 관한 특성을 분석하여 공통적인 환경특성 요소들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 국내 외 문헌을 통하여 세부항목을 설정하며, 선행연구와 사례조사, 설문분석을 통해 치유조경계획 요소를 도출하였다. 치유환경의 기능적 계획요소 6가지 항목을 설정하였다. 안전한 환경, 치료적 환경, 보조적 환경, 지남력 강화환경, 쾌적성, 사회적 환경으로 구분하였고, 공간계획요소는 국내 외 사례고찰로 병원, 요양원, 숲 등을 대상으로 하여 육체적, 정신적 안정에 도움을 주기 위한 공간 및 시설을 도입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계획요소로 공간계획, 동선계획, 포장계획, 수경계획, 식재계획, 시설계획,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항목을 외부공간의 단지출입 영역, 내 외부 전이영역, 외부활동 영역, 테마별 공간영역으로 구분하고, 계획 요소로 공간계획에는 자연속 산책이 가능하고, 범죄로부터 안전, 다양한 휴게시설이 있도록 계획한다. 식재계획으로는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수목 식재, 촉각 미각, 후각을 자극하는 식물 식재, 풍부하고 다양한 식물 식재로 계획한다. 동선계획은 외부로부터 동선을 분리하고, 건강증진을 위한 산책, 지압로, 흙길 등 자연감상이 가능한 동선으로 계획한다. 포장계획은 위험에 쉽게 인식할 수 있고, 인공재료보다는 자연형 재료로 계획한다. 시설물계획은 취약계층을 위한 안내표, 강설시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쉘터 및 이동 가능한 벤치를 계획한다. 수 공간계획은 잔잔한 물 공간을 조망하는 사색 가능한 물시설과 분수 등 깔끔하고 도식적인 물시설로 계획한다. 치유프로그램으로는 휴식 명상을 취할 수 있으며, 요가, 산책 등 가벼운 운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계획한다. 치유조경계획 요소를 도출하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으나, 계획요소와 계획내용들이 치유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을지에 대한 정성적, 정량적 평가가 제한되어 이에 대한 연구가 추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자연과의 소통적 관점에서 본 타운하우스에서 거주자 치유를 위한 계획방법 (The Plan Method for Residents in Townhouse Focused on the Communicational Viewpoint with Nature)

  • 박인지;서지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13-2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re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lanning of townhouse and the healing method that affects residents for communicating with natural environment, in order to propose resident-focused communication with nature for hea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ression of nature elements can be divided into 'direct' and 'indirect' and healing effects through nature can be divided into 'body' and 'psychology'. The healing method of residents through nature was classified into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ing through openness, familiarity, comfort, and stability. Second, as an expression method according to townhouse planning, the arrangement plan induced active communication with nature through the arrangement according to topography and a common garden. In terms of construction plan, a bigger window or door than that of other residential spaces was installed on a wall, ceiling or opening to directly bring the nature of outside visually for more communication. Third, with regard to healing methods of townhouse, 'openness' which reduces depression and increases self-esteem, expands the view of residents. 'Familiarity', the healing method that can relieve the fatigue of eyes and bring psychological warmth and comfort, makes us feel familiar through the pattern and texture of woods and stones that are natural materials. 'Comfort' which heals residents by creating an outside space and bringing the nature elements through a huge window can provide psychological healing such as eased tension in daily life as well as physical healing such as vitamin D synthesis and the recovery of physiological function. Also, 'Stability' gives a comfortable feeling by applying the colors of finishing materials inside or seeing the colors of surrounding nature as it is through big windows. Finally, in order to sup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more objectively, a follow-up study conducting a survey on the residents of townhouse is needed.

녹지구성 인자로써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cv.Hidcote)와 잔디(Zoysia japonica Steud.)의 치유적 효과 (Verification of lavender(Lavandula angustifolia cv.Hidcote) and lawn(Zoysia japonica Steud.)'s Curative Effect, as a Green Space Composition Factor)

  • 이와사키 유타카;김유영;조태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487-1494
    • /
    • 2012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verify curative effect of lavender and lawn, a green space composition factor. Thus, the physiological index value of blood pressure, heart rate and salivary amylase were measured with object of 16 women in their 20~30s for stress relaxation effect at lavender garden and lawn square, and impression assessment upon SD method as for psychological value was performed in this study.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necessity and reason of urban green space with object of 345 men and women urban workers. As a result of variance analysis between groups and multi test of Turkey upon object place, the blood pressure was lowered the same at lavender garden and lawn square, and especially, high blood pressure was greatly lowered to 30 mmHG at lavender garden. On the other hand, low blood pressure group showed the tendency of a little increasing at the same places. And for the pulse,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high blood pressure group and normal group at the same places. To conclude, at lavender garden and lawn square the blood pressure was made to be lowered when it's high, and when it's low, the effect of returning to sound status, the function of increasing, was verified. In case of impression assessment upon SD method, the lawn square was assessed as resting place and lavender garden diversional place. And over 90% of urban workers responded to the green space's necessity and curative effect, diversion and resting place were adopted for the reason in high-ranking items. As above the green space pattern that urban workers require and curative effect of lavender garden and lawn square were verified. Therefore, the functional green space plan is required, which curative effect, diversion and resting place are considered, for the future green space plan design.

치유정원 조성을 위한 계획요소의 중요도 분석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Planning Elements for Healing Gardens)

  • 정명자;박원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81-91
    • /
    • 2017
  • 본 연구는 효과적인 치유정원 계획에 필요한 치유정원 계획요소의 체계를 세우기 위해 선행 연구문헌을 종합 분석하여 치유정원 계획분야와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전문가 설문을 통하여 치유정원 계획요소의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개 계획분야와 19개 계획요소를 도출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LARGE{\cdot}$ 계획분야: 물리적 환경, 사회적 환경, 인지적 환경, 기능적 환경, 심리적 환경 $\LARGE{\cdot}$ 계획요소: 식물식재, 정원경관, 수경공간, 그늘공간, 작업공간, 레크레이션공간, 커뮤니티공간, 운동공간, 랜드마크요소, 사인시스템, 안전한 시설물과 재료, 재해안전시설, 유니버설디자인, 접근이 쉬운 동선, 경제적 유지관리, 시각적 개방성, 프라이버시 보장, 휴식공간의 다양성, 예술적 요소 둘째, 계획요소의 중요도 순위 분석 결과, 상위요소로 1순위는 식물식재, 2순위는 재해안전시설, 3순위로는 휴식공간의 다양성이 차지하였고, 하위요소로 예술적 요소와 랜드마크 요소가 각각 18위와 19위로 나타났다. 셋째, 계획요소의 중요도 수준을 평가하여 3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가장 중요한 A그룹은 식물식재, 재해안전시설이 포함되었고, 다음으로 중요한 B그룹은 휴식공간의 다양성, 커뮤니티공간, 수경공간, 유니버설 디자인, 안전한 시설물과 재료, 경제적 유지관리, 접근이 쉬운 동선, 프라이버시 보장, 정원경관, 작업공간, 시각적 개방성이 포함되었으며,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C그룹은 그늘공간, 운동공간, 레크레이션공간, 사인시스템, 예술적 요소, 랜드마크 요소가 포함되었다. 그룹의 중요도 1순위의 2개 요소는 치유정원 계획 시에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할 요소로 판단되며, 2순위의 11개 요소는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로 해석된다. 또한, 3순위의 6개 요소는 상대적으로 낮은 중요도 수준을 보여 치유정원 계획 시 설계자가 임의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요소로 판단된다.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치유시설과 치유프로그램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in Korean Healing Facilities and Healing Programs Using LDA Topic Modeling)

  • 이주홍;이경진;성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95-106
    • /
    • 2023
  • 국내 치유 연구는 치유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가와 함께 최근 20년 동안 발전해왔다. 치유를 연구하는 분야는 다양하며, 법제화된 자연-기반(natural-based) 치유를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KCI와 RISS에 게재된 2,202편의 학술지, 석·박사학위논문 초록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연구의 주제를 분류하였고, 시계열적 논문 발행 추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국내 치유 연구의 주제가 5개의 유형과 4개의 매개어로 연결되었음을 규명하였다. 5개의 연구 유형은 "치유관광", "마음·예술치유", "산림치유", "치유공간", "청소년회복치유"였고, 4개의 매개 단어는 "산림", "자연", "문화", "교육"이었다. 또한 국내 치유 연구에서 법제화된 치유 연구만 추출하여 토픽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법제화된 치유 연구의 주제 유형이 4개로 분류되었다. 4개의 연구 유형은 "공간환경계획치유", "치유요법실험", "농업교육체험치유", "치유관광요인"이었다. 법제화된 치유에서 연구의 양이 가장 많은 산림치유, 식물을 매개로 유사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치유농업과 정원치유, 해양자원을 활용하는 해양치유의 연구 토픽 또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별 치유 연구만의 독특한 특성을 보여주는 토픽과 모든 치유 연구에서 범용되는 것으로 생각되는 토픽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의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국내 치유시설과 치유프로그램 연구의 전반적 경향을 파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종합병원 로비공간의 치유환경에 관한 연구 -로비 평면형태의 비교를 중심으로- (Healing Environment at the General Hospital Lobby Space -By comparison of the lobby plan type-)

  • 이유정;오준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89-97
    • /
    • 2018
  • 과거 병원은 치료만 목적으로 하여 최소한의 공용공간을 확보하여 계획되었지만, 현대 병원은 치유환경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공용공간이 늘어나고, 환자와 보호자와 의료진을 고려하여 계획된다. 또한 로비형태가 홀형에서 발전하여 스트리트형이나 컨코스형으로 계획되면서 공용면적이 증가했다. 과거병원과 다르게 접수, 대기, 수속공간에서 발전하여 현대병원은 상업,취미,문화공간으로 사용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의 치유환경 요소를 선행연구에서 도출하여 치유환경 평가방법을 분석의 틀로 세워, 병원 로비공간의 치유환경을 로비 평면형태를 중심으로 분석, 평가한다. 병원 로비는 여러 행위가 이루어지는 중요한 공간으로, 병원 로비 평면타입별 각 3개의 사례를 비교분석한다. 연구의 결과로 스트리트형이 홀형보다 로비치유환경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접근성, 옥상정원, 휴게공간의 분석결과는 비슷하다. 이는 사례대상이 대형종합병원이기에 충분한 공간이 계획되어 로비형태와 크게 관련 없는 요소로 사료된다. 스트리트형 중에서도 아트리움이 선형인 사례가 4면형 아트리움보다 오픈체적비가 크기에 로비의 공간감과 자연채광 유입효과가 크다. 또 로비평면이 홀형일 때, 단면이 중정형이면 오픈체적비가 큰 것을 보아 로비의 평면 형태도 중요하지만, 단면형태도 중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원예치료정원의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A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Horticultural Therapy Garden)

  • 안제준;박율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13-123
    • /
    • 2018
  • 본 연구는 치료적 목적의 달성을 위해 훈련받은 치료사(Horticultural Therapist)가 실시하는 원예활동에 대상자가 참여하는 치료(Therapy)의 공간으로서 '원예치료정원의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원예치료는 대상자의 치료를 위한 '의학모형'이며 원예치료정원은 대상자와 원예치료사의 활동을 기능적이고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특성화된 공간임을 기본 전제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의도적 표집에 의해 모집된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3차례의 델파이(Delphi)기법과 AHP기법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원예치료정원의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지표를 도출하였고, 각 평가지표들을 유형화, 계층화하여 평가항목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예치료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공무원과 원예치료사를 대상으로 본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문가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관련 공무원 75.2%, 원예치료사 87.8%로 두 직군 모두 원예치료정원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원예치료를 실시함에 있어서 치료정원의 활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예치료정원 성능평가를 위한 가중치가 적용된 평가지표 개발을 위해 총 3회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두차례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결과, 총 34개의 원예치료정원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요소가 도출되었다. 셋째, 가중치가 적용된 원예치료정원의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을 위해 계층분석기법을 적용, 각 지표별 상대적 중요도 및 가중치를 분석한 결과 상위요인에서는 '자연과 인간의 상호작용'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프로그램의 계획과 활용', '사회적 상호작용', '지속가능한 환경', '보편적 디자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가를 대상으로 원예치료정원 성능평가를 위한 가중치가 적용된 평가지표 개발을 위하여 종합가중치를 활용하였다. 평가지표의 가중치 적용은 평가점수에 AHP를 이용한 종합가중치를 곱하여 산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평가지표들 간의 상대적인 우선순위를 토대로 가중치와 변환점수를 분석하여, '원예치료정원의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지표 및 평가점수표'를 최종 작성하였다. 가중치가 적용된 평가표를 활용하여 기존에 조성된 원예치료정원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개선점을 도출할 경우, 전문가의 의견에 따른 항목별 중요도가 반영되어 있으므로 사항별 중요도를 판단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개선할 수 있으며, 원예치료정원의 신규 조성 시에도 계획단계에서 원예치료 활동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방안으로 주요 지표를 미리 파악함으로서 가이드라인이 설정이나 기타 효율성 증대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경영체 등록정보와 공간데이터를 활용한 밭 이용 방안 연구: 전라남도 무안군·해남군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pland Use Plans Using Farm Manager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Spatial Data)

  • 오윤경;유승환;최수명;이지민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0권4호
    • /
    • pp.27-35
    • /
    • 2018
  • Food consumption pattern changes, including a decrease in rice consumption and increasing demand for fresh vegetables, along with declining food self-sufficiency rate, more importance is being placed on agricultural industry within Korea. Taking these changes into consideration, there is an increasing necessity for managing upland fields on agricultural sector to revitalize agricultural land use. Therefore, in this study, upland use type was classified into agricultural economic,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rural social fra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upland use plan with farm manager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spatial data. As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mean area of agricultural economic frame in Haenam (16.47 ha) was found to be wider than Muan (3.17 ha), and scale improvement zones (54 zones) were located in only Haenam. In case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frame, there's no zone of scenic agriculture land in both study areas, but landuse transition zones were located in Muan (278 zones) and Haenam (604 zones). Agro-healing zones of rural social frame were 1,018 zones in Muan and 1,588 zones in Haenam and kitchen garden sites were 342 zones in Muan and 370 zones in Haenam. These results could be used when we establish the plan of an agricultural infrastructure project or select places for a collaborative agricultural land use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