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ir care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34초

대구 매일신문에 나타난 복식현상에 관한 연구(III) -1946년 이후의 악세사리, 피부미용 및 머리모양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stume Reported in the "Maeil Shinmun" (III) - Focused on Accessories, Skin Care and Hair Style -)

  • 은영자;최윤혜;형승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9권2호
    • /
    • pp.235-249
    • /
    • 2001
  • This study the changing aspects in accessories, skin care and hair style in 「Maeil Shinmun」 from Jan. 1, 1946 to Dec. 31, 2000,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period of 1946 to 1959, articles were about how to select accessories and the role of skin-protection cosmetics for skin care, and the cases of people wearing color makeup in pursuit of beauty increased. The hairstyle trend began to gradually shift from long hair toward short. During the time of 1960 to 1969, how to select accessories an also how to match them with clothes were dealt with in articles, and how to massage face or use pack for healthy skin was introduce. From 1970 to 1979, as the number of working women increased, proper use of accessories according to each occasion was introduced, and, for hairstyle, the way to keep their hair healthy and shine, rather than a fashion of its style itself, was emphasized. In 1980∼1989, as casual wear became so popular worldwide and a variety of way to use shoes, mufflers, scarfs, shawls, and hats to go with it were highlighted, practical fashion got in vogue and use of accessories with which individuality can be expressed in a simple way prevailed. During the time of1990 to 2000, the trend changed to the pursuit of chic using accessories that reveal wearers'individuality, and especially came the boom of charming schools and makeup lesson for skin care. The prominent trend was that men and women of the new generation expressed their individuality by having their hair partly dyed or fully dyed in various colors and tried to resemble famous entertainers. In particular, as people get more and more interested in body shape, various ways to take care of body were introduced, such as body care products and aroma treatments.

  • PDF

여대생의 모발미용 관리 및 형태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the Cosmetic Haircare Behavior of Women College Students)

  • 김리라;김주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3-11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모발미용 관리 및 그 형태와 여대생의 모발 화장품 선호도 및 선호브랜드 분석을 통해 미용산업 발전의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서울, 경기 지역 소재 여대생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여대생들의 모발 미용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 이해수준 및 관심도에 있어 현재 ‘염색모, 탈색모’ 형태가 49.1%로 가장 많았고, ‘퍼머넨트모’ 형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39%로 나타났다. 모발 미용관련 시술에 대한 관심이 놀고 이를 직접 시도하는 경우도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미용실에서 행하는 모발 염색, 탈색, 퍼머넌트 등을 통한 부자용 발생 시 대처 방법 및 관리에 대한 형태에 있어서는 여러 미용시술 가운데 먼저 퍼머넨트 후 불만족이나 부작용을 경험한 내용에 있어, 불만족이나 부작용 유경험자가 전체 응답자의 74.7%에 이른다 응답자들이 경험한 불만족의 내용은 ‘모발손상’이 42.4%로 가장 많고 ‘스타일 불만족’이 19.8%로 그 뒤를 잇고 있다. 본 연구 결과로 여대생들은 모발미용에 대한 다양한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모발미용 관리와 관련한 지식에서 충분한 정보가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여대생들의 다양화 되어가는 미적 욕구 충족에 부응하는 세분화된 모발화장품과 정확한 모발 관리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며, 모발미용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제공이 요구되어진다.

20대 미용소비자의 DiSC행동유형에 따른 두피·모발관리 연구 (A study on the scalp, hair care according to DiSC behaviors of cosmetic consumer in their 20s)

  • 조민혜;양은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415-42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용소비자의 DiSC행동유형에 따른 두피 모발관리행동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에 있다. 연구를 위해 20대 미용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251부를 SPSS v.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DiSC행동유형에 따른 두피,모발관리 인식은 심리적 안정, 호감적 이미지, 건상상태유지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신중형(C)의 경우 다른 유형에 비해 심리적 안정, 호감적 이미지, 건상상태유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DiSC행동유형에 따른 두피,모발관리 행동은상태인지관리, 제품사용관리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신중형(C)이나 사교형(I)의 경우 상대적으로 상태인지관리, 제품사용관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나타난 소비자의 DiSC행동유형에 따라 달라지는 모발관리인식 및 행동을 기업 마케팅전략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수분거동 패턴에 따른 차폐막 설정을 통한 모발단백질 소실방지 (Prevention of Protein Loss Using A Shield Coating According to Moisture Behavior in Human Hair)

  • 송상훈;임병택;손성길;강내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7-65
    • /
    • 2020
  • 세정 과정에서 물에 의한 단백질 소실을 차폐막을 통해서 방지 하고자 먼저 모발 내부의 물 거동 경로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서 소수성을 가지는 건강한 모발과, 모발 내부는 정상이지만 표면의 최외곽 지질층에서 18-methyleicosanoic acid (18-MEA)만 소실시켜 친수성이 된 모발과, 다시 표면에 18-MEA를 결합시킨 회복모를 이용해서 모발 수분의 거동을 파악하였다. 모발에 열을 가할 때 일어나는 수분 증발에 따른 질량 변화를 관찰한 결과 표면이 소수성인 모발들은 39 s와 151 s의 두개의 시간 상수로 감소하였다. 이에 반해 표면이 친수성으로 변한 손상 모발에서는 83 s의 하나의 빠른 시간 상수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모발 내부에 있는 비결합과 결합 수분들이 외곽으로 빠져나올때 모발 표면에 소수성 막이 없음으로써 바로 용출됨을 반증한다. 따라서 세정과정에서 모발 내부의 단백질 용출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모발 표면을 소수성 코팅하여 물분자의 거동을 저지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한 결과 친수성 polyethylene glycol (PEG)를 코팅한 경우 179 ㎍/mL의 단백질이 용출한데 반해서 소수성 polydimethylsiloxane (PDMS)를 코팅한 모발은 보다 적은 148 ㎍/mL를 용출하였으며, 표면을 소수성 및 친수성으로 코팅하여 모발 내부 단백질을 검량하여 비교하였다. 마침내 소수성 차폐막이 세정 과정에서 모발 단백질 소실을 방어하는 방법이 됨을 확인하였고, 이 소수성 지표를 lateral force microscopy (LFM) 값으로 환산하여 정리하였다. 마침내 이 연구 결과물은 세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단백질 소실을 소수성 코팅막을 부여함으로써 막을 수 있는 모발 세정제품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남성성유형에 따른 외모지향도, 외모관리행동 연구 (Study on Appearance-oriente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the types of Masculinity)

  • 이현옥;구양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923-93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type of masculinity on appearance-oriented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01 males 20s to 50s living in Daegu. The SPSS 20.0 package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which included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First, factor analysis in a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the type of masculinity, were cluster analysis in appearance-oriented. Were used to analyze the problem of the study by classified five factors and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sculinity of Retro sexual, Metro sexual, Techno sexual showed a negative influence on appearance-oriented. Second, the masculinity had a influence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M-ness showed a negative influence on skin care, Metro sexual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skin care, hair/fashion, cosmetics, plastic surgery. And Retro sexual showed a influence on skin care, positive influence on hair/fashion, cosmetics. Techno sexual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body management, skin care, hair/fashion. Uber sexual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body management, cosmetics of appearance management. Third, the appearance-oriented had a differences on body management, hair/fashion, cosmetics, plastic surgery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방송인의 뷰티서비스 관계 연구 - 외모관리 행동, 외적이미지,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Relation of the Telecasters's Beauty Service - Focusing on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External Image, Self-efficacy -)

  • 김민신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53-16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about the Telecasters's appearance management, external image & awareness on Self-Efficacy. The method of this study is carried out form 2 January 2013 until 20 January. with the 164 telecasters who announcers, voice actors, gag men, singe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s summarized below: First, Among the telecasters, singer is the highest awareness of the beauty services importance about the fashion, makeup, hair, skin care, cosmetic surgery. Especially, about the awareness of the beauty services importance about the fashion, makeup, hair, singers> announcers> voice actors> gagmen appear one after another. Second, about the importance awareness of the beauty services importance & the relation of self-efficacy, for announcers, the more higher awareness the fashion, makeup, hair, the higher self-efficacy of the confidence, effective expression, etc.. For voice actors, the more higher awareness the hair, skin care, the fashion, make up, cosmetic surgery, the higher self-efficacy of the new image making, the confidence, task efficiency improvement, etc... For gagmen, the more higher awareness the fashion, hair, skin care, makeup, cosmetic surgery, the higher self-efficacy of the self-expression, the confidence, the new image making, task efficiency improvement, etc.. For singer, the more higher awareness the makeup, hair, cosmetic surgery, skin care, fashion, the higher self-efficacy of the task efficiency improvement, the self-expression, the confidence, the new image making, etc.. Third, about the importance awareness of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external image, about the importance awareness of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inger is the most higher awareness, announcers> voice actors> gagmen appear one after another. about the importance awareness of the external image, singer is the most higher awareness, voice actor> announcers> gagmen appear after another. The meanings of this study provide the telecasters's image's fields with the effective basic data.

  • PDF

저분자 Silk Peptide의 모발 보호효과 및 미세구조 분석 (Hair Care effects of hair cosmetics including Low molecular weight silk peptide component and micro structure analysis)

  • 현지원;이광길;여주홍;최태부
    • KSBB Journal
    • /
    • 제23권5호
    • /
    • pp.439-44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누에고치의 기능적인 면을 고려한 모발화장품으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타진하여 최종적으로는 누에고치 가수 분해물인 실크 단백질을 이용한 제품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연구하였다. 분자량 300-500의 저분자 실크펩타이드를 원료로 한 트리트먼트를 제조하고 성분함량에 차이를 두어 총 4개의 sample을 제조, 저분자 실크단백질이 손상모발 내부로 침투하여 모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모발 화장품으로써의 효용성과 모발 보호 효과에 대한 기초물성 실험을 하고, AFM을 통한 모발의 미세구조변화를 연구하였다. 누에고치 가수분해 단백질을 이용한 제품의 모발 보호 효과에 대한 기초물성 실험으로 모발의 질량, 모간 굵기, 흡광도, 보습력 변화를 측정한 결과, S.P.T 처리 후의 모발 sample은 이전과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모발의 질량, 굵기가 증가함과 동시에 뛰어난 보습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모발표면의 손상정도와 두께, 큐티클의 height변화에 대한 roughness를 측정한 결과에서 또한 S.P.T 샘플이 건강모와 같은 수준의 큐티클 상태로 회복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성분함량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존재하였으나 실크펩타이드를 원료로 한 Treatment 조성물은 전반적으로 화학시술로 인하여 손상된 모발표면에 흡착, 큐티클 손상부를 부드럽게 매워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향후 효과적인 천연 모발 컨디셔닝 제품의 하나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대생의 자기애적 성격과 자아존중감이 외모 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arcissistic Personality and Self-Esteem on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f Female College Students)

  • 박은정;정명선
    • 복식문화연구
    • /
    • 제18권4호
    • /
    • pp.717-73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arcissistic personality and self-esteem on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weight, skin care, makeup, hair care, clothing selec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rated to 362 female college students living in Gwang-ju city, Korea. For analysis of data,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Cronbach'$\alpha$,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emale college students' narcissistic personality was categorized into four factors, need for administration, leadership/self-confidence, need for power/entitlement, and superiority. Second, narcissistic personality significantly influence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e further examination of the effects showed that need for administration appeared to affect clothing selection, hair care, skin care, makeup, and weight. Third, self-esteem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s on overal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e further examination of the effects showed that self-esteem appeared to affect clothing selection, skin care, hair care, makeup, and weight. The results indicated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narcissistic personality and self-esteem were important factors to thei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marketing programs for fashion industries.

20대 여성의 미용형태별 건강위해 실태조사 (A Research on the Health Hazards by the Patterns of Beauty Care)

  • 신명자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39-149
    • /
    • 2001
  •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women involved in social activities, beauty industry has flourished. More women than ever before are concerned about make-up, hair care, skin care, and weight control, etc. With the success and commercialization of beauty industry, unconfirmed beauty care services have been introduced in the market. However, the health hazard from diverse beauty care services has not been systematically addressed.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two purposes: 1) to examine the utilization pattern of diverse beauty care services; and 2) to examine the health hazard from beauty care services. For this study, two majo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rea were selected. While 450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one women's university, the other 450 were from mixed university. Using survey questionnaire, we interviewed with 900 female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for the beauty care patterns, makeup accounted for 78.6%, Skin care 49.5%, weight/body control 32.0%, hair care 81.5%, and cosmetic operation 14.9%, indicating significant high rates of makeup(x2=9.215, p=0.002) and hair care(x2=4.435, p=0.035) at both mixed and women's universities. The health hazard was measured using four questions. The past studies have not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methodological issue of how to ask health hazard. Depending on how to ask health hazard,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reporting health problems varied. When the respondents were asked whether or not they had suffered health problems for a short period, over 60% of respondents reported health problems; when they were asked in other ways-1) whether or not they had suffered health problems for a long period, 2) whether or not they had suffered whole body problems, 3) whether or not they had permanent traces on skin due to beauty care activities-,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reporting health problems dropped substantially to less than 10%, This finding indicates the importance of ‘words’ used in questions. The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problems and utilization of beauty care services were examined, using χ2 test or t test. We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blem and beauty care.

  • PDF

모발의 마찰계수를 통한 모발 손상 인식 연구 (A Study for Perception of Hair Damage Using Friction Coefficient of Human Hair)

  • 임병택;서홍안;송상훈;손성길;강내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95-305
    • /
    • 2020
  • 염색과 같이 산화제를 이용한 미용은 모발의 큐티클 구조를 바꾸거나 단백질 변성 및 지질의 소실을 야기하여 모발을 손상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모발 손상 변화를 기기 평가를 통해 마찰계수를 측정하고 이것이 소비자들의 손상 인지와 상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더 나아가 손상 원인을 수분 변화에서 찾아 분석 하였다. 염색, 펌, 탈색 과정을 모발에 반복할 때 마찰계수를 측정한 결과 염색의 경우는 3 회 처리에서 마찰계수 0.60을 기록했는데,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동일 모발에 대한 촉감에 의한 손상 인지 조사에서 응답자의 58%가 이 모발에서 처음으로 손상을 인지한다고 답하였다. 탈색의 경우 3 회 처리에서 마찰계수가 0.84 로 크게 변하였는데 응답자의 88%가 손상모로 인지하였다. 지질 소실을 통한 손상에 따른 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모발 표면의 18-methyleicosanoic acid (18-MEA)를 제거해가며 마찰계수를 인위적으로 높인 다양한 모발을 제작하였다. 이 경우 마찰계수가 0.60 인 모발부터 전체 응답자의 68%가 최초로 손상을 인식한다고 답하였다. 기기평가로 확인된 마찰계수와 이와 연관되는 손상 인지가 모발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수분으로부터 기여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손상모의 수분함량을 측정하였다. 염색 처리 횟수가 증가할수록 모발의 접촉각이 감소하며 모발이 친수성으로 변함을 확인하였는데, 실제로 염색 손상모가 건강한 모발보다 0.42% 더 많은 수분량을 가짐을 유의차 있게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손상 모발의 수분량 증가가 마찰계수와 비례하는 점착력 증가를 유도하며 마찰계수가 0.60 이상으로 증가할 때 손상 인지가 됨을 알아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