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vestigation on the Cosmetic Haircare Behavior of Women College Students

여대생의 모발미용 관리 및 형태에 관한 연구

  • 김리라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향장미용전공) ;
  • 김주덕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향장미용전공)
  • Published : 2004.05.01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get the basic data for the domestic cosmetic industry, through analyzing female college ,students’ responses to cosmetic care of hair and their behavior, and their preference for hair cosmetics and brands. In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and concern of hair cosmetic care, as well as their general knowledge, ‘dyed or decolorized hair’ types had the highest response rate at 49%, followed by ‘permanent wave’ type at 39%. Thus they were very interested in hairdressing-related operations, and even they made an attempt to do it directly. In the ways and management for dealing with harmful side effects caused by dyeing, decolorizing, or permanent, 74.7% of the respondents experienced adverse effects, as well as having complaints, after permanent wave. Of the complaints 245 students experienced, ‘hair damage’ was the highest rate of 42.4%, followed by ‘unsatisfied with hair style’ at 19.8%. From the above results, female college students showed a various interest in hair cosmetic care; however, they had little knowledge in this regar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m for the segmentation of hair cosmetics and the appropriate hair care, to meet their diversified cosmetic needs which becomes diversified, and to offer them the correct information of hair beauty.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모발미용 관리 및 그 형태와 여대생의 모발 화장품 선호도 및 선호브랜드 분석을 통해 미용산업 발전의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서울, 경기 지역 소재 여대생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여대생들의 모발 미용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 이해수준 및 관심도에 있어 현재 ‘염색모, 탈색모’ 형태가 49.1%로 가장 많았고, ‘퍼머넨트모’ 형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39%로 나타났다. 모발 미용관련 시술에 대한 관심이 놀고 이를 직접 시도하는 경우도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미용실에서 행하는 모발 염색, 탈색, 퍼머넌트 등을 통한 부자용 발생 시 대처 방법 및 관리에 대한 형태에 있어서는 여러 미용시술 가운데 먼저 퍼머넨트 후 불만족이나 부작용을 경험한 내용에 있어, 불만족이나 부작용 유경험자가 전체 응답자의 74.7%에 이른다 응답자들이 경험한 불만족의 내용은 ‘모발손상’이 42.4%로 가장 많고 ‘스타일 불만족’이 19.8%로 그 뒤를 잇고 있다. 본 연구 결과로 여대생들은 모발미용에 대한 다양한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모발미용 관리와 관련한 지식에서 충분한 정보가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여대생들의 다양화 되어가는 미적 욕구 충족에 부응하는 세분화된 모발화장품과 정확한 모발 관리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며, 모발미용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제공이 요구되어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여성의 모발이용에 관한 의식행태 조사연구 곽형심
  2. 보건복지연구 no.4 미용실 종사자들의 두발처리에 대한 인식도와 관련요인분석 최연희
  3. 충청대논문집 v.19 미용과 학생들의 모발 손상 및 대책연구 이영미
  4. 신화장품학 김주덕(외)
  5. 한국보건교육학회지 v.15 no.1 여성의 피부미용 관리지실 및 행태와 관련요인 김복희;남철현
  6. 한국미용학회지 모발관리 및 모발고민에 관한 연구 윤복연(외)
  7. 보건복지연구 no.3 미용학원수강생의 모발미용 의식 행태와 미용실 위생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김은숙
  8. 보건복지연구 no.4 미용실 고객의 모발에 대한 인식도 조사 최귀자
  9. 한국보건통계학회지 v.25 no.2 여대생의 모발건강과 질병요인과의 관련성 문인옥;조성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