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PLC-FLD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37초

Bisphenol A 노출과 소아비만 (Bisphenol A Exposure and Childhood Obesity)

  • 이빛나;신혜정;나현경;이나경;양미희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4권4호
    • /
    • pp.287-292
    • /
    • 2009
  • Over the a few decades, the incidences of obesity and associated metabolic syndrome diseases have been increased dramatically and resulted in a global health crisis. Recent findings suggest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 as an obesogen, because they disrupt normal development and homeostatic controls over adipogenesis and energy balance in obesity. Furthermor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mortality is elevated among those who were obese during childhood. Thus, we focused on etiology of obesity in children and performed biological monitoring of bisphenol A (BPA), which is a broadly exposed EDC in environment. Study subjects were age and sex-matched obese and normal children in Seoul (N=52; age, $8.67{\pm}1.46$ years). Exposure levels of BPA were analyzed with HPLC/FLD as a conjugated form in urine. As results, ranges of urinary BPA were 0~54.38 ${\mu}g/g$ creatinine (median, 4.57 ${\mu}g/g$ creatinine). Levels of urinary BPA were 1.7 fold higher in the obese children than those in the controls (medians of obese and control children, 7.31 and 4.25 ${\mu}g/g$ creatinine, respectively, p=0.22). In the near future, enlarge scaled studies should be performed to confirm the risk of BPA for obesity.

구증황정(九蒸黃精)의 벤조피렌 함량과 마우스 단일투여 독성실험 (Single Toxicity Evaluation of the Polygonati Rhizoma Preparata with Benzo[a]pyrene Contents in ICR Mice)

  • 김용웅;노성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0-108
    • /
    • 2011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wo. One was if Polygonati Rhizoma preparata had a benzo(a)pyrene, the other was to evaluate the single dose toxicity of 9 repetitive steaming and fermenting processed Polygonati Rhizoma, dried root parts of Polygonati Rhozoma preparata extract, in male and female mice. We measured a content of benzo(a)pyrene in Polygonati Rhozoma preparata using a method with HPLC/FLD. And for single dose toxicity, aqueous extracts of Polygonati Rhozoma preparata (EPP; Yield = 35.4 %) was administered to female and male ICR mice as an oral dose of 2,000, 1,000 and 500 mg/kg (body weight)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Guidelines. Animals were monitored for the mortality and changes in body weight, clinical signs and gross observation during 14 days after dosing, upon necropsy; organ weight and histopathology of 12 principle organs were examined. As results, we could not find any mortality, clinical signs, and changes in the body and organ weight except for slight soft feces sporadically detected in EPP treated male mice at 1 day after administration. In addition, no EPP-treatment related abnormal gross findings and changes in histopathology of principle organs were detected except for some sporadic accidental finding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benzo(a)pyrene was not existed in Polygonati Rhozoma preparata and the 50% lethal dose and approximate lethal dose of EPP aqueous extracts in both female and male mice were considered as over 2,000 mg/kg, the limited highest dosage recommended by KFDA Guidelines. However, it also observed that the possibilities of digestive disorders, like soft feces when administered over 500 mg/kg of EPP aqueous extracts in the present study.

착유우용 배합사료의 부패과정 중 발생하는 저분자 유기화합물의 분석 (Analysis of low molecular organic compounds produced during the spoilage of dairy cattle compound feed)

  • 김용탁;이권정;김겸헌;김동운;김수기;문형인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67-174
    • /
    • 2016
  • In this study, we analyzed for the changes of low organic compounds during 4 weeks incubation though inoculation of harmful microorganisms on commercial feed. Two percent of overnight cultures of Exiguobacterium acetylicum, Acinetobacter calcoaceticus, Aspergillus flavus and Fusarium graminearum were inoculated in feed, respectively. After adjusting moisture level to 50% for the promotion of feed spoilage, pH was decreased to 4.58~5.03 and microorganism was ranged to $6{\sim}10log_{10}CFU/g$. The compounds were compare between aflatoxin G1 producing feeds and aflatoxin G1 non-producing feeds. Aflatoxins G1 were detected by the immunoaffinity column clean-up method with HPLC-FLD, and were confirmed in samples incoulated by Aspergillus flavus and Acinetobacter calcoaceticus. Koiganal II, cyclohexanol and butadien-one were detected from samples (the non-sterilized inoculated feed) by Aspergillus flavus and Acinetobacter calcoaceticus. Respectively as aflatoxin G1 pre-detected substance, Koiganal II, cyclohexanol and butadien-one may be useful substance for the pre-detection of aflatoxin G1.

Anthocyanin Profiling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elected Pigmented Rice Varieties

  • ;;;;;;;김정봉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1-117
    • /
    • 2011
  • BACKGROUND: Anthocyanins have been recognized as health-enhancing substances due to their antioxidant activity, anti-inflammatory, anticancer, and hypoglycemic effects. The objective was to identify anthocyanins-rich rice grains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and/or functional food colorants METHODS AND RESULTS: Rice grains of one black and three red-hulled rice varieties were extracted with acidified 80% aqueous methanol.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methanolic extracts was screened on TLC plates and in an in vitro assay using DPPH (1, 1-diphenyl-2-picrylhydrazyl) as a free radical source. Red-hulled rice varieties exhibit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88%, 1 mg/mL) than black rice (67%, 1 mg/mL). Among the red-hulled varieties tested, rice variety SSALBYEO54 (901452) was the most active (72%, 0.5 mg/mL). Rice extracted anthocyanin compounds were analyzed by HPLC-DAD-FLD and LC-MS/MS. Red-hulled varieties comprised cyanidin-3-glucoside in addition to ferulic acid esters, apigenin and kaempferol glycosides. CONCLUSION(s): Anthocyanins identified in the black rice variety were cyanidin-7-O-galactoside, cyanidin-3-Oglucoside, cyanidin-3'-O-glucoside, cyanidin-5-O-glucoside, cyanidin-3, 7-O-diglucoside, cyanidin-3, 5-O-diglucoside and peonidin-4'-O-glucos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black rice (IT212512) and red-hulled rice variety SSALBYEO54 (901452) contain notable antioxidant activity for potential use in nutraceutical or functional food formulations.

재배지역, 수확시기 및 숙기에 따른 여주의 γ-Aminobutyric Acid 함량 변화 및 분석법 검증 (Changes in γ-Aminobutyric Acid of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L.) with Different Cultivation Regions, Harvest Time and Maturation Stages, with Method Validation)

  • 이상훈;정윤숙;송진;황경아;조수묵;황인국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08-415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gamma}$-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of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L.) cultivated from different regions, with different harvest times and at various maturation stages. Methods for observing the changes in GABA content were validated by determining the specificity, linearity, limit of detection (LO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and precision and accuracy using the HPLC-FLD system. Results showed high linearity in the calibration curve with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R^2$) of 0.9999. The LOD and LOQ values for GABA were 0.29 and $0.87{\mu}g/mL$, respectively.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for intra- and inter-day precision of GABA were less than 5%. The recovery rate of GABA was in the range of 98.77% to 100.50%. The average content of GABA was 0.93 mg/g and Cheongju showed highest GABA content of 1.88 mg/g. As the time of harvest increased from May to September, the GABA content decreased from 1.56 to 0.86 mg/g. Also, maturation of the bitter melon fruit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d in GABA content.

식용유지와 영유아식품 중 아플라톡신 분석방법 (Analytical method of aflatoxins in edible oil and infant-children foods)

  • 허수정;박승영;김순선;이준구;송지영;강은귀;이현숙;조대현
    • 분석과학
    • /
    • 제24권2호
    • /
    • pp.150-157
    • /
    • 2011
  • 아플라톡신은 Aspergillus flavus와 A. parasiticus에 의해 생성되는 독소대사산물로 발암물질이며 곡류(옥수수, 쌀, 보리), 땅콩, 과실류 및 종자류의 생산과 저장과정에서 생성된다. 곰팡이가 생성되기 쉬운 조건에서 오랜 기간 저장된 종자류에서 아플라톡신이 생성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원료로 하여 유지로 가공 할 때도 아플라톡신이 이행될 우려가 있다. 또한 곡류나 두류 등을 가공하여 만든 영유아용식품도 아플라톡신 오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용유지 및 영유아용식품에 대해 액체 추출법의 아플라톡신 시험법 적용가능 여부를 검토하고 필요시 새로운 분석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식용유지에 대한 아플라톡신은 MSPD (Matrix Solid Phase Dispersion)법으로 아플라톡신을 추출해 내고 면역친화성 칼럼을 사용해 정제하여 형광검출기가 장착된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FLD)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아플라톡신($B_1$, $B_2$, $G_1$, $G_2$) 검량선의 직선성은 상관계수가 0.999 이상을 나타냈고 회수율은 85.9~93.0%의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며 상대표준편차는 5.7% 이하였다. 식용유지에서 액체 추출법과 비교해 볼 때, MSPD-면역친화성컬럼법을 사용하여 회수율을 향상시켜 시험법을 확립하였다. 영유아용식품에 대한 아플라톡신 분석방법은 액체 추출법이 적합하였으며 아플라톡신($B_1$, $B_2$, $G_1$, $G_2$)에 대한 회수율은 89.5~92.3%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식품중 총 아플라톡신의 노출량 평가 (Exposure Assessment of Total Aflatoxin in Foods)

  • 서정혁;소유섭;박성수;최우정;이종옥;김희연;우건조;오금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5-28
    • /
    • 2007
  • HPLC/FLD를 이용하여 곡류, 견과류 등 총 565건을 대상으로 총 아플라톡신 함량을 조사하여 노출량을 평가하였다. B와 G 그룹의 검출한계는 각각 0.05, 0.07 ng/g이였고, 쌀, 땅콩버터 및 고춧가루에 대한 아플라톡신($B_{1}$, $B_{2}$, $G_{1}$$G_{2}$)의 회수율은 양호한 수준이었다. 총 아플라톡신은 전체 시료 565건 중 27건(4.77%)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빈도는 곡류 0.17%, 견과류 0.35%, 가공식품 3.01%, 기타식품 1.24%을 보여주었고, 두류 및 건조과일류는 검출되지 않았다. 식이섭취량을 고려한 총 아플라톡신의 1일 1인당 평균섭취량은 0.04 ng/kg bw/day이였다.

유기 및 무농약 인증 곡류와 근채류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the Certificated Organic and Pesticide-free Cereals and Root Vegetables)

  • 이재윤;노현호;박소현;정오석;김서홍;홍수명;김두호;경기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01-405
    • /
    • 2012
  • 국내 유통 중인 친환경 인증 곡류와 근채류 중 잔류농약을 모니터링하여 친환경인증 농산물의 농약잔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을 포함한 전국 8개 도시 9개 지점의 대형마트와 친환경농산물 전문판매점에서 27종의 곡류와 근채류를 747점 채취한 후 acetamiprid를 포함한 245종 농약을 GC-ECD/NPD와 HPLC-DAD/FLD를 이용한 다성분동시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잔류농약 분석결과 모든 시료에서 농약은 검출되지 않아 재배기간 중 농약을 사용할 수 없는 기준에 따라 생산되었음을 입증하였다.

원산지가 다른 참깨로 제조한 참기름에서의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함량 분석 (Determin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Sesame Oils Derived from Sesame Seeds of Different Places of Origins)

  • 서일원;남혜정;신한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1-26
    • /
    • 2009
  • 본 연구는 인도산, 중국산, 국내산 참깨를 열풍 건조 후 착유기를 통해 제조한 참기름에서의 PAHs 함량변화와 대형 마트에서 판매되고 있는 참기름에서의 PAHs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분석표준물질은 돌연변이원성과 발암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8가지 PAHs를 선정하여 HPLC/FLD를 이용하여 정성 정량분석을 하였고, 색차계를 이용하여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원산지 별 볶은 후 착유한 참기름에서 PAHs 함량은 볶지 않았을 때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볶지 않은 참기름인 경우 PAHs 함량은 인도산, 중국산, 국내산 순이었다. 인도산 참깨에서 0.95 ${\mu}g$/kg의 PAHs 가 검출되었는데 이는 환경으로부터 PAHs가 생성될 수 있다는 점을 추측할 수 있었다. $250^{\circ}C$에서 25분간 볶은 참기름인 경우 중국산, 국내산, 인도산 순으로 PAHs가 검출되었다. 중국산 참깨에서 PAHs 함량은 3.97 ${\mu}g$/kg으로 볶지 않았을 때보다 약 4배 이상 증가하였다. 중국산 참깨는 다른 원산지 참깨에 비해 볶는 온도와 시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참기름 중 PAHs 함량 분석한 결과, PAHs 총 함량은 0.79-2.15 ${\mu}g$/kg으로 검출 되었다. 국내 기준 규격으로 설정되어 있는 Benzo[${\alpha}$]pyrene 함량은 0-0.19 ${\mu}g$/kg으로 기준치인 2 ${\mu}g$/kg 이하로 검출되었다. 이는 제조회사에서 PAHs 저감화를 위해 제조과정을 변화시킨 결과로 추측할 수 있다. 원산지 별 참기름과 시중에 판매되는 참기름과의 색도를 비교해 본 결과 $250^{\circ}C$에서 25분 볶은 후 착유한 인도산, 중국산, 국내산 참기름의 명도(L)는 43.31, 41.15, 41.64이었고, 적색도(a)는 13.11, 13.12, 12.48이었고, 황색도(b)는 15.24, 11.87, 11.95이었다. 이는 시중에 판매되는 4종의 참기름과 유사한 색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참기름의 품질평가는 수율, 색도, 향미성분, 지방산 조성 변화를 통해 이뤄지고 있는데,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원산지 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따라 PAHs 생성량이 적은 국내산과 인도산의 참깨가 참기름원료로 적당하며, PAHs의 생성량이 많은 중국산 참깨에 대한 보다 많은 모니터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깨의 볶음 조건이 참기름 중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생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Formation in Sesame Oils with Different Roasting Conditions)

  • 서일원;남혜정;신한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55-361
    • /
    • 2009
  • 본 연구는 참기름 제조 과정 중 참깨를 볶는 과정에서 온도와 시간에 따른 PAHs 생성량 변화를 분석하고 볶음방법에 따라 PAHs 생성량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분석 표준물질은 돌연변이원성과 발암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8가지 PAH를 선정하여 HPLC/FLD를 이용하여 정성 정량분석을 하였고, 제조한 참기름의 색도를 비교해보기 위해 색차계를 이용하여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참깨를 볶는 온도와 시간에 따라 PAHs 함량은 1.67-4.66 ${\mu}g$/kg으로 증가하였다. 가열 온도가 증가할수록 PAHs 생성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가열 시간에 따른 PAHs 함량을 비교해보면, 190, $220^{\circ}C$에서 가열 시간이 늘어날수록 PAHs 생성량은 다소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고온인 $250^{\circ}C$에서는 볶음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PAHs 생성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볶음 방법에 따른 PAHs 함량은 간접가열 방식인 열풍을 이용하여 참깨를 볶은 후 착유한 참기름이 직접가열 방식으로 볶은 후 착유한 참기름보다 적게 검출되었다. 참기름의 색도를 비교했을 때 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L)와 황색도(b)는 감소하였고, 적색도(b)는 증가하였다. 볶음 방법 중 열풍가열 조건에서 $250^{\circ}C$에서 10-25분 볶은 후 착유한 참기름의 색도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참기름과의 색도와 비슷한 결과값을 나타냈다. 반면에 직접 가열 조건에서 볶은 참깨를 착유한 참기름의 색도는 시중에 판매되는 참 기름 보다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가 낮아 어둡고 탁한 색을 띄어 품질적인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PAHs 생성량을 고려해 볼 때 참기름 제조에 가장 적당한 볶음 온도와 시간은 낮을수록 좋으나 색도에서 품질적인 차이를 보였다. 이에 따라 본 실험을 통해 색도, 가열온도와 시간, 가열방법을 생각해 볼 때, 열풍 가열방법 $250^{\circ}C$에서 10분간 볶은 후 착유하는 참기름 제조 방법이 가장 효율적인 가공방법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