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1R

검색결과 8,400건 처리시간 0.045초

COFINITENESS OF GENERAL LOCAL COHOMOLOGY MODULES FOR SMALL DIMENSIONS

  • Aghapournahr, Moharram;Bahmanpour, Kamal
    • 대한수학회보
    • /
    • 제53권5호
    • /
    • pp.1341-1352
    • /
    • 2016
  • Let R be a commutative Noetherian ring, ${\Phi}$ a system of ideals of R and $I{\in}{\Phi}$. In this paper among other things we prove that if M is finitely generated and $t{\in}\mathbb{N}$ such that the R-module $H^i_{\Phi}(M)$ is $FD_{{\leq}1}$ (or weakly Laskerian) for all i < t, then $H^i_{\Phi}(M)$ is ${\Phi}$-cofinite for all i < t and for any $FD_{{\leq}0}$ (or minimax) submodule N of $H^t_{\Phi}(M)$, the R-modules $Hom_R(R/I,H^t_{\Phi}(M)/N)$ and $Ext^1_R(R/I,H^t_{\Phi}(M)/N)$ are finitely generated. Also it is shown that if cd I = 1 or $dimM/IM{\leq}1$ (e.g., $dim\;R/I{\leq}1$) for all $I{\in}{\Phi}$, then the local cohomology module $H^i_{\Phi}(M)$ is ${\Phi}$-cofinite for all $i{\geq}0$. These generalize the main results of Aghapournahr and Bahmanpour [2], Bahmanpour and Naghipour [6, 7]. Also we study cominimaxness and weakly cofiniteness of local cohomology modules with respect to a system of ideals.

사후시간 경과가 한우 거세우 배최장근의 pH, 온도, R-value 및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pH, Temperature, R-values and Calpain Activity of M. longissimus from Hanwoo Steer during Rigor Development)

  • 김진형;김학균;박범영;조수현;황인호;김동훈;이종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10-315
    • /
    • 2005
  • 본 연구는 한우고기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사후 대사변화를 구명하고자 사후 1, 3, 9, 24시간별에 따라 한우 거세우 배최장근의 pH, 도체온도, R-value 및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측정을 수행하였다. 도체 pH와 온도는 사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사후 3시간에 6.50($31.99^{\circ}C$)을 나타내었다. $R_{248}$$R_{250}$ 값은 사후 9시간부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지만, $R_{258}$ 값은 사후 9시간부터 감소하였다(p<0.05). Calpain I 활성은 사후 3시간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calpastatin 활성은 사후 9시간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pH와 도체온도는 $R_{258}$, calpain I, calpastatin에서 0.95이상의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지만, $R_{248}$$R_{250}$에서는 -0.97 이상의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사후9시간 이후에 대사 변화가 급격히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pH와 도체온도의 상관도가 높아 잠재적인 연화능력의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지만, 사후 3시간부터 9시간 사이의 대사변화에 대하여 좀 더 심도 깊은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ESULTS OF CERTAIN LOCAL COHOMOLOGY MODULES

  • Mafi, Amir;Talemi, Atiyeh Pour Eshmanan
    • 대한수학회보
    • /
    • 제51권3호
    • /
    • pp.653-657
    • /
    • 2014
  • Let R be a commutative Noetherian ring, I and J two ideals of R, and M a finitely generated R-module. We prove that $$Ext^i{_R}(R/I,H^t{_{I,J}}(M))$$ is finitely generated for i = 0, 1 where t=inf{$i{\in}\mathbb{N}_0:H^2{_{I,J}}(M)$ is not finitely generated}. Also, we prove that $H^i{_{I+J}}(H^t{_{I,J}}(M))$ is Artinian when dim(R/I + J) = 0 and i = 0, 1.

PAH 유전자의 R53H 유전자변이를 보인 양성 고페닐알라닌혈증 10례 (Ten Cases of R53H Variant of PAH Gene in Benign Hyperphenylalaninemia)

  • 이지윤;이정호;이동환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17
    • /
    • 2017
  • 서론: 페닐케톤뇨증은 방향족 아미노산의 하나인 페닐알라닌의 대사장애가 발생하는 유전성 대사질환이다. 양성 고페닐알라닌혈증은 페닐알라닌 수산화효소(PAH) 유전자 변이가 발견되는 페닐케톤뇨증 환자에서 저페닐알라닌 식사 치료가 필요 없이 정상적인 성장 및 발달이 가능한 질환이다. 최근 PAH 유전자의 R53H 변이는 병적이라기 보다 양성에 가까운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저자들은 양성 고페닐알라닌혈증 환자들에서 R53H 유전자변이를 보인 10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방법: 2010년 4월부터 2017년 5월까지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에서 추적관찰하고 있는 양성 고페닐알라닌혈증 환자 중 R53H변이를 가진 10명의 한국인 환자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환자들은 혈중 아미노산 분석을 통해 고페닐알라닌혈증을 진단받았으며, 모든 환자들은 PAH 유전자 검사를 통해 유전자 변이를 진단받았다. 환자들의 의무기록 검토를 통해 환자의 동반 유전자 변이, 증상 및 혈중 페닐알라닌 농도, 치료여부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상기 환자들 중 5명은 R53H와 함께 "병적인" 유전자를 보였으며(R413P, R241C, $Y356^*$, c.442-1G>A, $Y325^*$), 2명에서는 "병적일 수 있는" 유전자 변이를 보였다($W187^*$, A259T). "중요도가 확실하지 않은" 유전자 변이를 가진 환자는 2명이었으며(R53H, G344D), 이 중 35세 남성 1명은 R53H의 동형접합자였다. 1명의 환자에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인트론(intron) 변이가 발견 되었다. 환자들은 혈중 페닐알라닌 수치가 $103.1{\mu}mol/L$ 였던 R53H 동형접합체인 35세 남자 환자를 제외하고는 모두 양성 고페닐알라닌혈증으로 진단되었다. 모든 환자에서 정상 식사를 진행하였으며, 약물 치료는 시행하지 않았다. 모든 환자에서 페닐케톤뇨증의 증상은 없었다. 결론: 본 연구의 R53H 유전자 변이를 가진 환자 10명은 특별한 치료 없이도 정상적인 성장 및 발달을 보였다. 이는 이전에 양성 고페닐알라닌혈증으로 진단된 환자들의 R53H 변이가 정상 변이일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형접합으로 병적변이를 가진 사람들이 환자가 아니라 보인자 또는 정상인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현재 "중요도가 확실하지 않은"으로 분류되어있는 R53H변이는 "양성"으로 분류되어야 할 것이다.

  • PDF

ON SOME ROOT BEHAVIORS OF CERTAIN SUMS OF POLYNOMIALS

  • Chong, Han-Kyol;Kim, Seon-Hong
    • 대한수학회보
    • /
    • 제53권1호
    • /
    • pp.21-28
    • /
    • 2016
  • It is known that no two of the roots of the polynomial equation (1) $$\prod\limits_{l=1}^{n}(x-r_l)+\prod\limits_{l=1}^{n}(x+r_l)=0$$, where 0 < $r_1{\leq}r_2{\leq}{\cdots}{\leq}r_n$, can be equal and all of its roots lie on the imaginary axis. In this paper we show that for 0 < h < $r_k$, the roots of $$(x-r_k+h)\prod\limits_{{l=1}\\{l{\neq}k}}^{n}(x-r_l)+(x+r_k-h)\prod\limits_{{l=1}\\{l{\neq}k}}^{n}(x+r_l)=0$$ and the roots of (1) in the upper half-plane lie alternatively on the imaginary axis.

굴 패각이 음식쓰레기의 혐기성 퇴비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aste Oyster Shell on Anaerobic Composting of Garbage)

  • 김남찬;한세현
    • 유기물자원화
    • /
    • 제8권3호
    • /
    • pp.89-96
    • /
    • 2000
  • 본 연구는 $CaCO_3$가 주성분인 굴 패각을 이용하여 혐기성퇴비화 반응시 율속단계의 원인인 pH저하를 감소시킴으로써 혐기성퇴비화에의 굴 패각 적용가능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실험은 혐기성퇴비화 반응조 5기(R-l~R-5)를 제작하여 음식쓰레기와 접종을 위한 숙성퇴비를 넣은 뒤 굴 패각을 음식쓰레기 주입량에 대해 30%, 60%를 주입하여 중온에서 60일동안 실험하였으며, 메탄가스 발생량, 가스성분비, 유기물제거율 및 pH 등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가스발생량은 R-1 $0.62{\ell}/g-VS$, R-2 $0.63{\ell}/g-VS$, R-3 $0.16{\ell}/g-VS$, R-4 $0.75{\ell}/g-VS$, R-5 $0.21{\ell}/g-VS$로 나타났으며, 메탄가스 발생량은 R-1 $0.32{\ell}/g-VS$, R-2 $0.37{\ell}/g-VS$, R-3 $0.04{\ell}/g-VS$, R-4 $0.42{\ell}/g-VS$, R-5 $0.05{\ell}/g-VS$로 나타났다. 혐기성퇴비화의 효율을 결정짓는 가스성분비는 R-2, R-4에서의 메탄가스발생량이 전체가스발생량의 55%이상으로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H는 굴 패각을 30% 넣어준 R-2, R-4에서 pH 6.0~8.0을 유지하였으며, 굴 패각을 60% 넣어준 R-3, R-5에서는 pH가 8.5이상으로 상승하여 미생물에 악영향을 미침으로써 혐기성 반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 PDF

4.1” Transparent QCIF AMOLED Display Driven by High Mobility Bottom Gate a-IGZO Thin-film Transistors

  • Jeong, J.K.;Kim, M.;Jeong, J.H.;Lee, H.J.;Ahn, T.K.;Shin, H.S.;Kang, K.Y.;Park, J.S.;Yang, H,;Chung, H.J.;Mo, Y.G.;Kim, H.D.;Seo, H.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7년도 7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제7권1호
    • /
    • pp.145-148
    • /
    • 2007
  • The authors report on the fabrication of thin film transistors (TFTs) that use amorphous indium-gallium-zinc oxide (a-IGZO) channel and have the channel length (L) and width (W) patterned by dry etching. To prevent the plasma damage of active channel, a 100-nm-thckness $SiO_{x}$ by PECVD was adopted as an etch-stopper structure. IGZO TFT (W/L=10/50${\mu}m$) fabricated on glass exhibited the high performance mobility of $35.8\;cm^2/Vs$, a subthreshold gate voltage swing of $0.59V/dec$, and $I_{on/off}$ of $4.9{\times}10^6$. In addition, 4.1” transparent QCIF 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were successfully fabricated, which was driven by a-IGZO TFTs.

  • PDF

Synthesis and Catalytic Activity of Water-Soluble Iridium-Sulfonated Triphenylphosphine Com;lex. Hydration of Nitriles

  • 진종식;김상열;주광석;원경식;종대성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0권5호
    • /
    • pp.535-538
    • /
    • 1999
  • Five coordinated water-soluble iridium(l) complex, IrH(CO)(TPPTS)3 (1) (TPPTS = P(m-C6H4SO3Na)3-xH2O) has been prepared from the reaction of IrCl3·3H2O with TPPTS and HCHO in H2O/EtOH solution. Complex 1 catalyzes the hydration of nitrites (RC ≡ N, R = CH3, CICH2, CH3(CH2)4, Ph) in aqueous solution to give the corresponding amides (RCONH2) at 100℃. The hydration of unsaturated nitrites (R'C ≡ N, R'=CH3CH=CH, CH3OCH=CH, trans-PhCH=CH, CH2=C(CH3)) takes place regioselectively on-C ≡ N group to give unsaturated amides (R'CONH2) leaving the olefinic group intact. The yields of the amides seem to be depending on the electrophilicity of the carbon of nitrile: The more the electron withdrawing ability of the substituents on nitrites, the more amides are obtained. The hydration of dinitriles (NC-R-CN, R=(CH2)4, (CH2)6) with complex 1 initially gives mono-hydration products (NC-R-CONH2) which are slowly hydrated further to give dihydration products (H2NCO-R-CONH2). The hydration of 1,4-dicyanobutane has been found to be somewhat faster than that of 1,6-dicyanohexane.

자극방법별 바윗굴, Crassostrea nippona 의산란효과와 난발생 및 유생사육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Spawning induction accrding to Stimulating Treatment and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on Egg Development and Larvae Rearing of Oyster , Crassostrea nippona)

  • 유성규;강경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1-97
    • /
    • 1996
  • 바윗굴의 산란유발 및 종묘생산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를 얻고자 자극방법별 효과와 난발생 및 유생사육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 자극방법별 산란유발은 정자현탁액 첨가구에서 가장 많은 산란량과 높은 수정률을 나타냈고, 난발생 및 유생사육의 각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수온(T, $^{\circ}C$)에 따른 발생속도(h, 시간)는 수온이 높을 수록 빨랐으며,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담륜자기 :1/h= 0.0069T - 0.0950(r=0.9447)D형 유생 :1/h= 0.0006T - 0.0045(r=0.9288)초기 각정기 유생:1/h= 0.0002T - 0.0019(r=0.9358)후기 각정기 유생:1/h= 0.0002T - 0.0022(r=0.9868)부착기 유생:1/h= 0.0001T - 0.0013(r=0.9897)또한 바윗굴의 수온과 난발생 속도와의 관계에서 추정된 난발생의 생물학적 영도는 평균 10.96$^{\circ}C$였으며, 수온별 유생사육시 바윗굴의 생존율은 24$^{\circ}C$에서 6.8%로 가장 좋았다.

  • PDF

Cytotoxicity of Compound K and Ginsenoside $R_{h2}$ against some tumor cells

  • Shin, Ji-Eun;Park, Eun-Kyung;Hong, Yoon-Hee;Kim, Eun-Jin;Lee, Kyung-Tae;Kim, Dong-Hyu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60.2-160.2
    • /
    • 2003
  • When ginsenoside $R_{b1}$ and $R_{b2}$ were anaerobically incubated with human fecal microflora, these ginsenosides were metabolized to compound K. When ginsenoside $R_{g3}$ was anaerobically incubated with human fecal microflora, the ginsenoside $R_{g3}$ was metabolized it to ginsenoside $R_{h2}$. Among ginsenosides, compound K and 20(S)-ginsenoside $R_h2$ exhibited the most potent cyotoxicity against tumor cells: 50% cytotoxic concentrations of compound K in the media with and without fetal bovine serum (FBS) were 27.1 - 31.6 mM and0.1 - 0.6 mM, and those of 20(S)-ginsenoside $R_h2$ were 37.5 $\rightarrow$ 50 and 0.7 - 7.1 mM mM, respectively. (omit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