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uidelines for preparation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36초

GPT를 활용한 성찰적 글쓰기 수업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Reflective Writing Class Guidelines Using GPT)

  • 강정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581-588
    • /
    • 2023
  • 이 논문에서는 GPT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성찰적 글쓰기 교육의 방법과 단계를 수업 가이드라인화해서 실제 수업이 가능하도록했다. 이 논문에서는 GPT라는 인공지능 글쓰기 기계의 사용을 물리적·실제적으로 막기 어려운 현실에서 자기를 성찰하는 글쓰기 교육론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수업 가이드라인을 모색한 것이다. 첫째, 준비 단계에서는 GPT의 작동원리를 학습자에게 이해시키고 활용지침을 교육하면서 GPT를 활용한 글감 아이디어 모델링과 자기화로 수업의 방법을 제안했다. 그 뒤 과제의 실례를 들었다. 둘째, GPT 활용 단계에서는 성찰적 글쓰기의 개요짜기, 단락쓰기, 퇴고하기의 과정에 따라서 GPT를 활용한 글감 아이디어 모델링과 자기화를 하는 방법을 실례를 들어서 보여줬다. 셋째, 정리 단계에서는 교수자가 학습자의 글을 첨삭하고 최종 수정하도록 돕고 정리·반성하는 과정을 제시했다.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인지도와 실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Infection Control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Levels among Dental Hygienists)

  • 장경애;박정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3-192
    • /
    • 2016
  • 본 연구는 2015년 8월 1일부터 10월 15일까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일부 지역 치과병 의원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22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인지도와 실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감염관리 구조 체계 요인을 조사하여 체계적인 감염관리 지침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원내 감염관리에 대한 환자진료 준비시간 지원은 장비 및 시설 지원(r=0.434, p<0.01), 진료기술 및 정보 지원(r=0.231, p<0.01), 감염관리 교육 지원(r=0.266, p<0.01), 감염관리 인지도(r=0.354, p<0.01), 감염관리 실천도(r=0.442, p<0.01)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장비 및 시설 지원은 진료기술 및 정보 지원(r=0.418, p<0.01), 감염관리 교육 지원(r=0.422, p<0.01), 감염관리 인지도(r=0.404, p<0.01), 감염관리 실천도(r=0.454, p<0.01)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원내 감염관리에 대한 감염관리 교육 지원은 감염관리 인지도(r=0.348, p<0.01), 감염관리 실천도(r=0.405, p<0.01)와 정적 상관을 보였고, 감염관리 인지도는 감염관리 실천도(r=0.879, p<0.01)와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었다. 감염관리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진료 준비시간 지원, 장비 및 시설 지원, 진료 기술 및 정보 지원, 감염관리 교육 지원으로 나타났다. 감염관리 실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진료 준비시간 지원, 장비 및 시설 지원, 감염관리 교육 지원, 진료 기술 및 정보 지원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치과위생사의 치과감염관리 인지도와 실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감염관리 구조체계를 구축하여 활성화해야 한다. 치과의료기관 감염관리 구조체계의 엄격한 평가제도가 마련되어 바람직한 치과의료 환경을 조성하고, 환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지역거점 공공병원의 분만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1)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for Department of Delivery in Regional Public Hospital)

  • 박경현;신화경;채철균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8권3호
    • /
    • pp.47-54
    • /
    • 2022
  • Purpose: This study presents the analysis on space usage of delivery departments in regional public hospitals. The results intention is to achieve improvement of the delivery environment for the mothers and newborns regarding exposure prevention and efficient infection contr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architectural plans and guidelines for the delivery department. Method: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were based on research papers, legal systems, public medical statistical data, and the architectural floor plan drawing. For research, 20 regional public hospitals with an operating delivery room were excluded. Regarding data accessibility, 15 regional public hospitals were selected. Results: To overcome the increased vulnerability of the delivery department, the research results of basic data is provided for the establishment to address urgent needs and rapid response. Thu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delivery department needs to respond promptly according to the type of patients. For example, in a case of emergency surgery, a connected circulation plan with the related departments is needed. Secondly, for the environment of the delivery area, alleviating anxiety is imperative for pregnant patients and guardians, labor, childbirth, and recovery. Therefore, these needs must be addressed for treatment space and circulation. Lastly, the delivery department is classified into three areas for analysis: access area, treatment area, and support area. In most of the delivery departments of the 15 selected hospitals, there is no space for the access and support area except for the labor and delivery rooms in the treatment area. For the access area, a waiting area, changing room for pregnant women and guardians, and a storage space for contaminated linens are required for infection prevention, safety, and efficiency. For the treatment area, childbirth processes and circulation should have space reserved for labor, delivery, recovery, examination, and treatment. In preparation for an emergency during childbirth, emergency response measures and supporting space needs to be established. For the support area, circulation and rooms are to be designed for medical staff support, activity spac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equipment, and urgent medical treatment. Implications: Along with the low fertility rate and the decrease of medical institutions that operate delivery departments,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public medical service system and a healthy medical environment for mothers and newborns, the researched information demonstrates basic data on space plan of delivery departments in regional public hospitals.

영.유아를 위한 영어 에듀테인먼트 애니메이션 고찰 (Study of English Edutainment Animation for Preschoolers)

  • 김한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4호
    • /
    • pp.107-133
    • /
    • 2011
  • 오늘날의 세계화 도래와 함께 국제적, 사회적으로 영어의 필요성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를 체감하며 자란 7, 80년대생이 자녀를 가지기 시작하면서 영어 조기교육 열풍이 점점 확산 되고 있다. 이는 최근 자녀수가 감소함에 따라 자녀의 환경과 교육에 아낌없이 투자하려는 심리와 맞물려 부모들의 영어조기교육에 대한 기대가 더욱 높아졌다. 이러한 사회적인 필요에 의해 초등학교 교육과정까지 영어교육을 도입한 공교육을 선두로 조기에 영어교육을 시작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학자들의 주장이 힘을 입어 그 대상을 영 유아까지 포함하게 된것이다. 이처럼 어린 연령대의 아이들을 위한 영어조기교육의 경우, 긍정적인 결과를 가지고 올 수도 있지만, 부정적인 영향을 가지고 올 수 있어도 체계적인 연구를 통한 교육지침의 설립이 시급하다. 본 논문에서는 언어습득의 이론적 배경들을 설명하여 영 유아의 조기언어교육 타당성을 제시하고 에듀테인먼트 애니메이션의 교육적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유통되고 있는 2 ~7세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DVD 타이틀 가운데 이미 베스트셀러로 인정받고 있는 영어교육용 에듀테인먼트 애니메이션들을 유형별로 묶어 비교해보았다. 더 나아가 여러 유형 중 참여 유도형 에듀테인먼트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분석 및 진행형식,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선택된 스토리텔링 구성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영어교육용 엔터테인먼트 애니메이션에는 어떤 유형이 있는지 비교해보고 분석하여 언어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타이틀을 유아들의 수준과 연령에 맞게 제작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장치가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기본적인 틀을 제시하는 데 있다.

경북 성주지역 장수 노인의 식행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Eating Behavior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in Kyungpook Sung-Ju)

  • 이혜성;김자현;구보경;김규종;백지원;이연경;이성국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19-23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eating behaviors of the long-lived elderly in order to offer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dietary guidelines for a long and healthy life for the general population. The subjects were three-hundred elderly people over age 85 living in Kyungpook Sung-ju who have no problems in daily liv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nutrition knowledge and attitudes, meal patterns, and food preferences of the subjects were surveyed by individual intervies. The levels of the nutrition knowledge of the subjects were very low(average score ; 4.3)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ir nutrition knowledge and attitude score was also low(r=0.323, p=0.000). Most of the subjects(93%) had a regular meal pattern consuming three meals a day. The major staple food was rice mixed with other grains(75%) and the number of side dishes was mostly under four(99%). A majority(73%) had no habit of overeating and 51% of the subjects were taking snacks besides regular meals. Thirty one percent of the subjects had drinking habits and 80% of the drinking subjects had over 40 years of drinking history. The most common frequencies for intakes of various food groups were ; more than once a day(95%) for vegetables ; 2∼3 times a week(74%) for green and orange color vegetables ; 2∼3 times a week(72%) for fruits ; once a day(70%) for fish, eggs and legumes ; 2∼3 times a week(49%) for milk ; 2∼3 times a week(72%) for fruits ; once a day(70%) for fish, eggs and legumes ; 2-3 times a week(49%) for milk ; 2-3 times a week(85%) for seaweeds and 2-3 times a week(81%) for foods cooked with oil. The most preferred foods by the subjects were white rice(staple foods), soybean paste soup(soups), beef and eggs(meats and eggs), yellow croaker and hair tail(fish and shellfish), yoghurt(milk and milk products), all vegetables except carrot(vegetables), and watermelon(fruits). The popular food preparation methods included mixing with seasonings and the most preferred taste was swee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ating pattern of long-lived elderly was characterized by regularity, simplicity, and no overeating.

  • PDF

Post-2020 국가 보호지역 시스템 관리를 위한 기타 효과적인 지역 기반 보전 수단(OECMs) 후보지역 유형 검토 (Reviewing the Candidate Types for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 for Post-2020 Management Related to National Protected Areas System)

  • 심윤진;성정원;이경철;권형근;홍용식;강신구;안종빈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23
    • /
    • 2022
  •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candidate types for OECMs suitable for domestic conditions in areas related to the Korea Forest Service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establishing the protected areas and OECMs system required by Post-2020 GBF,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protected areas syste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election criteria for OECMs were presented, and it was found that arboretums·botanical gardens, Natural Recreation Forests, and air holes may correspond to the Candidate Types for OECMs.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possible areas for OECMs based on the OECMs selection criteria, in the case of arboretums·botanical gardens, it is judged that only conservation areas can be designated as OECMs, except for areas mainly used by visitors of arboretums·botanical gardens that fall under the BGCI conservation type among national and public arboretums·botanical gardens. However, private and school arboretums·botanical gardens have personal property ownership, so it was judged to have no effective measures to control activities that may adversely affect biodiversity, which showed limitations in designation of OECMs. Natural Recreation Forests was found to meet the OECMs selection criteria. However, private forests have personal property ownership, which limits the designation of OEC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function of in-situ conservation in order to meet the OECMs for private and school arboretums·botanical gardens, and private forests that have personal property ownership. To this end, effective measures are needed to achieve biodiversity conservation outcomes, and it is judged that legal control and corresponding support policies (incentives) are needed. In the case of air holes, for sustainable conservation, the management boundary of air holes should be clearly defined based on the preparation of laws and guidelines related to air holes.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it is desirable to designate the competent local forest office as the management authority and conduct periodic detailed surveys of air holes, establish and implement the conservation plans based on those.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 운영 개선에 대한 담당자 인식조사 연구 (An Investigative Study of the Awareness of Person in Charge on the Improvement of Extended Support Project Operation for the Public Libraries' Opening Hours)

  • 노영희;김동석;곽우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15-14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이 가진 정보 접근성 향상, 생활복지 구현 등의 목적에 맞는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도서관 현황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도서관별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과 면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관시간 연장지원 사업은 지역의 특성과 환경에 맞는 전략이 필요한 사업으로써 지역 중심의 운영계획을 마련을 통해 향후 국가지원에 의존하기 보다는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직원과 이용자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유연한 개관시간 연장 운영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소기존 정규직에 준하는 권리와 함께 의무와 책임을 함께 요구하는 조직 운영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우리나라 전국 공공도서관이 특정 정책 및 사업에 대해 일관된 정책을 마련하고 시행하기 위해서는 향후 분리되어 있는 공공도서관 운영체계를 일원화 할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사업의 지속성과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교육 및 지침 마련이 필요하고, 이용자의 쾌적한 이용을 위한 공간 개선 지원 등 인건비 외의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전문계 고등학교의 현행 공업입문 교과서 비교연구 (Comparative Analysis Study of Introduction to Industry textbook for Technical High School)

  • 안성호;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4-86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 입문 4종 교과서의 내용 요소별 특징을 비교하여 각 교과서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해보고, 그 분석된 데이터가 새로운 공업입문 교과서 개발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궁극적으로는 현직교사는 물론 예비교사와 교육연구자들이 (ㄱ) 교과서 관련 교안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ㄷ)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의 문제 출제와 (ㄷ) 전공과 연계성을 갖는 차기 공업입문 교과서 편찬에 있어서 좋은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주로 사용된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로서 현행4 종의 공업입문 교과서를 비롯하여 관련 문헌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 비교된 모든 교과서는 대체적으로 교과서 집필 안을 준수하고 있었다. 교과서의 내용 면에서는 집필 안에서 제시하고 있는 단원이 균형 있게 배분이 잘 되어 있는 교과서가 있는 반면에, 단원의 비중이 너무 편중되어 있는 교과서가 있기도 하였다. 또한 보충적 자료, 평가적 자료, 시각적 자료 등에 대한 배분에 있어서도 교과서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교과서와 관련하여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경향은 각 교과서가 비슷한 정도의 연계성을 가지고 있으나 수험생의 입장에서는 한 가지의 교과서만으로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대비하여 공부하는데 충분하지 않으므로 교사는 모든 종류의 교과서를 이해하고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교과서 외의 다른 교과서 내용도 추가적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단지 조성사업의 환경영향평가 변경협의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onsultations on Amendment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 주용준;사공희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3호
    • /
    • pp.129-140
    • /
    • 2022
  • 개발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는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사업특성 및 지역의 환경현황 등을 반영하여 협의를 도출하는 과정으로서 협의내용의 이행은 지역 환경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전제조건이다. 사업계획은 사회적·환경적 여건이 변화될 경우 이에 대응하기 위해 변경할 수 있으며, 환경영향평가 협의가 완료된 사업 계획을 변경할 경우에는 협의내용을 변경하는 절차(변경협의)가 제도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개발사업의 변경협의 현황과 주요 변경 내용 등을 조사·분석한 결과 산업단지의 변경협의가 가장 많았으며 이에 따라 환경영향이 가중되고 있다. 변경협의 운용 현황과 사례분석을 통하여 고찰한 결과 산업단지 변경협의의 주요 원인은 입주업종의 형식적 수요예측, 특별법에 따른 과도한 행정절차의 생략 및 간소화 그리고 환경영향평가 협의의 용이성 및 기간 단축을 위한 편법적 변경협의 제도 이용의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잦은 산업단지 변경협의로 인한 환경성 악화와 환경영향평가 기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안한다. (1) 중요한 사항을 변경하는 변경협의의 경우 주민수용성 확보를 위한 주민의견 수렴 절차를 제도적으로 보장하며, (2) 「산단절차 간소화법」의 합리적 개정을 통하여 산업단지의 계획의 적정성 및 입지의 타당성을 제고하고 (3) 산업단지에 대한 객관적 수요관리를 위한 실수요 검증의 평가기준 및 방법을 개발하며, (4) 변경협의에 대한 평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것이다.

개인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도서관 역할 정립을 위한 우리나라 도서관 정책 및 성과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Korea's Library Policy and Performance to Establish Libraries' Role in Discovering Individuals' Potential)

  • 노영희;곽우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285-30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개인의 가능성 발견과 관련하여 현재 「제3차 도서관종합발전계획」에 발표된 정책을 살펴보고, 해당 정책을 기반으로 중앙행정기관과 시·도 도서관에서 추진한 과제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개인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도서관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로 인문·문화 프로그램 등 비대면 서비스 진행 도모, 도서관 휴관 따른 대면행사 축소로 실적이 저조하여 코로나19 대응 비상관리 및 비대면 프로그램 운영 지원체계 구축과 소외 지역 및 소외 계층의 독서문화 사업의 확대 운영을 위한 예산 증액이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장기적 양질의 비대면 프로그램 발굴과 비대면 프로그램 운영 위한 인프라 지원,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한 실정임을 파악하였다. 둘째, 소통·토론형 사회적 독서 프로그램은 온라인 강좌 전환 운영이 빠르게 전환될 필요성을 감지했다. 셋째, 이용자 정보접근 편의확대 개선과 국내·외 협의회 간 세미나 운영, 자료 원스톱 공유 시스템 활성화 및 자료의 디지털화 추진, 포스트코로나 시대 대비 하는 도서관 인프라 확충, 홍보 활성화 등 대외협력 강화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