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uIlJib (九一集)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8초

묵사집산법(默思集算法)과 구일집(九一集)에서의 넓이 (Areas in MukSaJibSanBeob and GuIlJib)

  • 강미경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59-269
    • /
    • 2014
  • In China and Joseon, the measurement of the areas of various plane figures is a very important subject for mathematical officials because it is connected directly with tax problems. Most of mathematical texts in China and Joseon contained Chinese character '田', which means a field for farming, in title name for parts that dealt with problems of areas and treated as areas of plane figures. The form of mathematical texts in Joseon is identical with those in China because mathematicians in Joseon referred to texts in China. Gyeong SeonJing and Hong JeongHa also referred to Chinese texts. But they added their interpretations or investigated new methods for the measurement of area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history of the measurement of areas in Joseon, which described in two books MukSaJibSanBeob and GuIlJib, with comparing some mathematical texts in China.

18세기(世紀) 조선(朝鮮)의 구고술(句股術) (Gou Gu Shu in the 18th century Chosun)

  • 홍성사;홍영희;김창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21
    • /
    • 2007
  • 18세기 초 중인(中人) 홍정하(洪正夏)($1684{\sim}?$)의 구일집(九一集)과 양반(兩班) 조태구(趙泰耉)($1660{\sim}1723$)의 주서관견(籌書管見)에 들어 있는 구고술(句股術)을 조사한다. 구조적 접근과 천원술(天元術)을 통하여 홍정하(洪正夏)는 동양(東洋)에서 가장 앞선 구고술(句股術)의 결과를 얻어내었다. 또 17세기 중엽에 서양(西洋) 수학(數學)이 조선(朝鮮)에 유입된 후 조선(朝鮮) 산학(算學)에 이론적 접근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조태구(趙泰耉)의 구고술(句股術)을 통하여 연구한다.

  • PDF

조선 산학의 삼각형 (Triangles in Chosun Mathematics)

  • 장혜원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1-5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조선 시대의 산학서에서 다루어진 삼각형에 대한 내용을 고찰한다. 기하보다 대수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던 조선시대 산학 연구의 특성을 고려하면, 삼각형 자체에 대한 기하학적 탐구보다는 삼각형 모양의 밭의 넓이 측정 방법에 대한 설명이 기대된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직각삼각형인 구고에 대해서는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졌고, 측정이라 하더라도 일반 삼각형에 대해서는 근삿값 수준으로 다루어진 것을 감안하면 삼각형 관련 내용에 대한 분석은 의의 있다고 생각된다. 조선의 산학서 <묵사집산법>, <구일집>, <산학입문>, <주해수용>, <산술관견>에 대한 고찰 결과, 삼각형 관련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 다. 측정의 필요가 있던 밭 모양과 관련한 도형의 측도, 측정 대상으로서의 도형으로부터 기하 연구 대상으로서의 도형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내용, 서양 수학의 영향으로 인한 도형의 정의 및 성질에 대한 탐구와 타당화이다.

  • PDF

조선(朝鮮) 산서(算書) 산학계몽주해(算學啓蒙註解) (Chosun Mathematics Book Suan Xue Qi Meng Ju Hae)

  • 홍성사;홍영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2
    • /
    • 2009
  • 주세걸(朱世傑)의 산학계몽(算學啓蒙)은 조선 산학의 발전에 가장 큰 기여를 하였다. 19세기 중엽에 출판된 산학계몽주해(算學啓蒙註解)를 조사하여 19세기 조선 산학의 발전을 연구한다. 홍정하(洪正夏)의 구일집(九一集)의 방정식논(方程式論)과 서양 수학의 영향을 받아 구조적으로 산학계몽(算學啓蒙)을 연구하여 저술한 산학계몽주해(算學啓蒙註解)는 19세기 조선의 대수학 발전의 기초를 이룬 산서이다.

  • PDF

18세기(世紀) 초(初) 조선(朝鮮) 산학(算學) (Chosun Mathematics in the early 18th century)

  • 홍성사;홍영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
    • /
    • 2012
  • 1592년과 1636년 양대 전란으로 전통적인 조선 산학의 결과는 거의 소멸되어, 17세기 중엽 조선 산학은 새로 시작할 수밖에 없었다. 조선은 같은 시기에 청으로 부터 도입된 시헌력(時憲曆, 1645)을 이해하기 위하여 서양수학에 관련된 자료를 수입하기 시작하였다. 한편 전통 산학을 위하여 김시진(金始振, 1618-1667)은 산학계몽(算學啓蒙, 1299)을 중간(重刊)하였다. 이들의 영향으로 이루어진 조태구(趙泰耉, 1660-1723)의 주서관견(籌書管見)과 홍정하(洪正夏, 1684-?)의 구일집(九一集)을 함께 조사하여 이들이 조선 산학의 발전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것을 보인다.

조선(朝鮮) 산학(算學)의 퇴타술 (Finite Series in Chosun Dynasty Mathematics)

  • 홍성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4
    • /
    • 2006
  • 조선 산학의 퇴타술의 역사를 연구한다. 이상혁(李尙爀)$(1810\sim?)$의 익산(翼算)(1868)이 출판되기 전의 역사와 익산(翼算)의 결과로 나누어 연구한다. 경선징(慶善徵)$(1616\sim?)$의 묵사집산법(默思集算法)부터 남병길(南秉吉)$(1820\sim1869)$의 산학정의(算學正義)(1867)까지의 산서를 통하여 익산(翼算) 이전의 퇴타술은 큰 발전을 이루지 못한 것을 조사한다. 이상혁(李尙爀)은 조선(朝鮮) 산학(算學)에서 가장 독창적인 방법을 써서 새로운 결과를 얻어낸다. 그는 퇴타술을 구조적으로 해결하고, 또 새로운 문제인 절적(截積)과 이를 위한 분적법(分積法)을 도입하여 이의 구조도 완전히 밝혀내었다.

  • PDF

조선(朝鮮) 산학(算學)과 수리정온(數理精蘊) (Mathematics of Chosun Dynasty and $Sh\grave{u}\;l\breve{i}\;j\bar{i}ng\;y\grave{u}n$ (數理精蘊))

  • 홍영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5-46
    • /
    • 2006
  • 서양 수학이 조선에 전입된 과정과 그 영향을 연구한다. 초기 과정은 최석정(崔錫鼎)$(1645\sim1715)$의 구수약(九數略), 홍정하(洪正夏)$(1684\sim?)$의 구일집(九一集), 중기 과정은 황윤석(黃胤錫)$(1719\sim1791)$의 이수신편(理藪新編), 홍대용(洪大容)$(1731\sim1781)$의 주해수용(籌解需用)을 통하여 조사한다. 서양 수학은 시헌력(時憲曆)의 도입과 함께 천문학의 연구를 위하여 도입되었다. 수리정온(數理精蘊)을 가장 잘 이해한 학산(鶴山) 초부(樵夫)의 수리정온보해(數理精蘊補解)(1730?)를 연구하고 서양 수학을 구조적으로 이해한 19세기의 이상혁(李尙爀)$(1810\sim?)$, 남병길(南秉吉)$(1820\sim1869)$을 연구한다.

  • PDF

조선(朝鮮)의 구고술(勾股術)과 방정식론 (Gou Gu Shu and Theory of equations in Chosun)

  • 윤혜순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20
    • /
    • 2011
  • 이 논문은 18~19세기 조선산학자(朝鮮算學者)의 산서인 홍정하(洪正夏)의 구일집(九一集), 남병길(南秉吉)의 유씨구고술(劉氏勾股術) 요도해(要圖解), 이상혁(李尙爀)의 차근방몽구(借根方蒙求)에 들어있는 구고술(勾股術)을 사용한 방정식 구성을 조사하여 조선산학(朝鮮算學)의 발전과정을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인 산학자 홍정하(洪正夏)의 위대한 업적이 제대로 전승되지 못하여 조선산학의 발전에 기여하지 못한 것을 드러낸다.

홍정하(洪正夏)의 천원술(天元術)과 증승개방법(增乘開方法) (Hong JeongHa's Tianyuanshu and Zhengcheng Kaifangfa)

  • 홍성사;홍영희;김영욱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55-164
    • /
    • 2014
  • Tianyuanshu and Zengcheng Kaifangfa introduced in the Song-Yuan dynasties and their contribution to the theory of equation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Chinese mathematics. Furthermore, they became the most fundamental subject in the history of East Asian mathematics as well. The operations, or the mathematical structure of polynomials have been overlooked by traditional mathematics books. Investigation of GuIlJib (九一集) of Joseon mathematician Hong JeongHa reveals that Hong's approach to polynomials is highly structural. For the expansion of $\prod_{k=11}^{n}(x+a_k)$, Hong invented a new method which we name Hong JeongHa's synthetic expansion. Using this, he reveals that the processes in Zhengcheng Kaifangfa is not synthetic division but synthetic expansion.

홍정하의 구일집의 저술에 관하여 - 홍정하 탄생 330주년을 기념하며 - (On the publication of Hong JeongHa's GuIlJib)

  • 이상욱;고영미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233-248
    • /
    • 2015
  • Year 2014 was very special to Korean mathematical society. Year 2014 was the Mathematical Year of Korea, and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ians "ICM 2014" was held in Seoul, Korea. The year 2014 was also the 330th anniversary year of the birth of Joseon mathematician Hong JeongHa. He is one of the best, in fact the best, of Joseon mathematicians. So it is worth celebrating his birth. Joseon dynasty adopted a caste system, according to which Hong JeongHa was not in the higher class, but in the lower class of the Joseon society. In fact, he was a mathematician, a middle class member, called Jungin, of the society. We think over how Hong JeongHa was able to write his mathematical book GuIlJib in Joseon dyn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