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Village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18초

옻골마을 비보경관의 환경생태적 의미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Meaning of Bibo Landscape in Otgol Village)

  • 장병관;황보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2-41
    • /
    • 2008
  • 본 연구는 현재 비보 못과 비보 숲의 형태가 남아있는 대구광역시 소재 경주 최씨의 씨족마을인 옻골마을을 대상으로 실증적인 조사를 하여 환경생태적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특히, 비보경관인 비보연못, 비보숲 그리고 마을수계를 환경생태적으로 해석하고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연구대상지에 현재 남아 있는 비보경관에 대해 풍수지리적으로 서술하고 이것에 대한 환경생태적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환경생태적 의미는 매우 포괄적인 개념이지만 본 연구는 실증적 연구로서 삶의 질의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해석하고자 한다. 첫째, 지속적인 수계기능의 활성화를 규명하고자 수질을 측정했다. 즉 선비의 상징 및 휴식공간이 있는 동계, 생활주거공간인 서계, 이 두 계곡의 물이 합쳐지는 비보연못 그리고 연못에서 머문 후 마을 밖으로 흐르는 개울의 수질을 측정했다. 둘째, 마을의 안과 밖을 경계하는 비보숲의 미기후에 대한 기능을 평가하고자 했다. 즉 숲을 중심으로 각각 200m 떨어진 지점에 각 지점별 2개의 온도기를 설치하여 시간대별로 기온을 측정했다. 셋째, 건전한 생태계를 지속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측정했다. 즉 경관생태지표를 선정하여 측정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보연못은 수질정화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또한 동계정, 정려각 등 조경공간의 기능이 배치되어 있는 동계는 암벽과 계류 등 경관이 빼어나 주로 남성들이 이용하는 공간이었던 것에 비하여 주거공간이 많은 서계는 빨래 등 여성들의 활동에 필요한 공간으로 사용된 것으로 수질의 차를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둘째, 비보숲의 경우는 그 목적인 방풍과 온도저감을 기대하기는 적합하지 않는 소규모의 마을숲으로 다만 마을의 영역을 구분하는 기능을 한다고 해석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셋째, 경관생태지표를 통한 생태적 건전성은 양호하며 보통의 전통농촌마을과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녹지연결측면에서 본다면 마을 경계녹지와 마을숲의 연결은 매우 양호하다. 특히 훼손된 마을숲을 잘 복원한다면 생물서식환경의 기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를 고찰해보면, 전통마을공간은 인간과 자연이 유기적인 통합체로 공존하는 환경생태학적 사고를 바탕에 둔 풍수지리사상의 영향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환경생태적 방법으로 볼 때, 풍수지리사상 중 비보사상에 의해 조성된 비보못과 비보숲의 의미는 지속 가능한 마을을 조성하는 중요 요소로 볼 수 있다. 다양한 수공간은 물의 순환체계를 원활하게 해주어 수질정화와 수량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이며, 숲은 마을을 위요시켜주면서 미기후를 조성하게 해주어서 겨울과 여름철의 기온차와 습도차를 줄어줄 것이다. 하지만, 숲의 규모가 작고 훼손이 심한 경우 상징적인 영역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전체 녹지체계와 식생구성은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종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연결녹지로서 기여할 것이다. 옻골마을은 마을형국을 보다 완전하게 만들기 위해 비보경관을 조성했다. 즉 땅의 생태질서를 최대한 유지하고 그것에 대한 점진적 이해를 바탕으로 조정된 마을로 쾌적한 주거환경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전통마을계획방법은 유기적이고 환경생태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환경생태학에서 보는 전통마을은 객관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대상이다.

농촌개발사업 효과의 정량적 평가 및 공간적 연관 분석 (Quantitative Effect Evaluation and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 이지민;배연정;김태곤;이정재;서교
    • 농촌계획
    • /
    • 제19권2호
    • /
    • pp.107-120
    • /
    • 2013
  • A lot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have been planned and implemented for revitalizing rural areas in South Korea. However, it is not easy to properly evaluate and quantitatively analyze project outcomes. For this reason only selected regions have been evaluated for rural projects by government agenci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urpose and the contents of th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RVDP) and Green Tourism Village Project (GTVP) to find indicators for evaluating results of rural project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utputs of this study show that RVDPs increase regional population and GTVPs positively affect the sales of agricultural products. We also estimat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roject effects through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and local-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Moran's I values for the proportion of farmers with avocational jobs, product sales changes, and population growth in Jeol-La province are positive and the biggest one is population growth. Especially, key areas of agricultural product sales are widely distributed.

친환경 농촌마을계획을 위한 재생에너지 활용방안 연구 - 태양에너지 자원분석 - (A Study on Application of New & Renewable Energy for Environmental-friendly Planning of Rural Villages - Analysis of Solar Energy Resources -)

  • 남상운;김대식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0권3호
    • /
    • pp.105-112
    • /
    • 2008
  • Solar energy, which is one of renewable energy, would be the most useful resources that can be applied to making energy recycling villages without using fossil energy. This study analyzed energy potential on solar energy considering weather condition in three traditional villages and compared with energy consumption surveyed. A photovoltaic system having 3.0kWp capacity of unit module can generate 182.5%, 96.1% and 170.9% of the yearly mean consumption of electric power in Makhyun, Boojang, and Soso, respectively. A flat-plate solar collector having $2.64m^2$ area of unit module can generate warm water of $142{\ell}$/day, $89{\ell}$/day, and $173{\ell}$/day, respectively in three study villages. In Makhyun and Soso, photovoltaic power and warm water produced by solar energy were sufficient to supply required amount of electric power and warm water. However, both electric power and warm water produced by unit solar module were not sufficient in Boojang area, and so it is required to increase the module area by more than 5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ppropriate combination of energy resources can be applied to rural green-village planning if the characteristic of energy potential for each local area is considered.

그린투어리즘 포텐셜 분석을 위한 관광마을 수준의 월별 방문객 추정 - 하회마을을 중심으로 - (Estimating Monthly Tourist Population for Analysis of Green Tourism Potential in Village Level - A Case Study of Hahoe Village -)

  • 고옥결;김대식;김용훈
    • 농촌계획
    • /
    • 제17권1호
    • /
    • pp.1-1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ARIMA(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모델을 이용하여 농촌관광마을의 월별 관광객을 추정하였다. 단일 마을에 대한 시계열 자료를 경상북도 안동시에 위치한 하회마을을 대상으로 구축하였다. 월별 시계열 자료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구성되었는데(2008년도 누락), 2000년에서 2007년까지 자료는 최적 모델의 도출에 나머지는 예측치의 검정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최적모델에 필요한 시계열 자료의 길이는 6년으로 나타났으며, 최적모델은 계절성을 고려한 SARIMA(2,1,1)(1,1,2)12로 나타났다. 최적 시계열 년수로 나타난 6년을 사용하여 2000-2005, 2001-2006, 그리고 2002-2007의 자료로부터 각각 SARIMA(2,1,1)(1,1,2)12를 도출하여, 차기년도들에 대한 예측결과를 비교한 결과, 높은 $R^2$값을 보였다.

농촌그린빌리지 조성을 위한 일별 잠재적 태양광발전량의 적정확률분포형 추정 - 서산지역을 중심으로 - (Estimating Optimal Probability Distributions of Daily Potential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or Development of Rural Green-Village by Solar Energy - with Area of Seosan Weather Station -)

  • 김대식;구승모;남상운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0권6호
    • /
    • pp.37-47
    • /
    • 2008
  •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is currently being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popular sources for renewable resources over the country. Although it is also being adapted to rural area for may reasons, it is important to estimate the magnitudes of power outputs with reliable statistical methodologies, while applying historical daily solar energy data, for correct feasibility analysis. In this study, one of the well-known statistical methodologies is employed to define the appropriate probability distributions for monthly power outputs for the selected rural area, county of Seo-san, province of Chungnam. The results imply that the assumption of normal distributions for several months may lead to incorrect decision-making and therefore lead to the unreliable feasibility analysis. Generalized beta and triangular distributions were found to be superior to normal distribution, when describing monthly probability distributions for daily photovoltaic power. Based on the appropriate distributions resulted from this study, Monte Carlo simulation technique was also applied to provide additional flexible information for the relevant decision makers. This study found out new finding that the probability distribu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make planning of the photovoltaic power system in rural village unit, in order to give reasonable economic analysis to the decision makers.

농촌지역 정주여건 향상을 위한 재생에너지 이익공유 방식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철원군 스마트그린빌리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newable Energy Profit-Sharing Method for Improving Residential Conditions in Rural Area - Focused on the Smart Green Village in Cheorwon-gun, Gangwon-do Province -)

  • 유병천;이동희;김정욱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9-18
    • /
    • 2021
  • In this study, surveys and data collection on new profit-sharing measure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residents' participation in 65 MW large-scale solar power complex located at Munhye 5-ri, Galmal-eup, Cheorwon-gun, Gangwon-do province. From May to September 2018, the presentation and meetings for residents were held and a survey for 67 household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collect profit-sharing data which is sharing profits from solar power project improving residential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s that it needs to improve some obstacles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 rural areas, such as improvement of living infrastructure at village level, improvement of monotonous leisure activities from the residents' point of view, improvement of economic income sources depending on farm income and Basic Old-age Pensions, inconvenience factors in the unsuitable residential environment due to ag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suggests that Profit-Sharing solar power complex project has possibilities to improve living environment in rural areas by sharing profits from power generation and residents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with consensus for need of renewable energy.

장거리 도보여행길과 연계한 강변 그린로드 모형 및 노선 개발 (Development of Model and Route of Green Road on the Riverside Linked the Long Distance Trail)

  • 임창수;홍광우;김은자;곽종호;최진아
    • 농촌계획
    • /
    • 제18권4호
    • /
    • pp.153-170
    • /
    • 2012
  • In recent years, the central ministries and regional self are competitively developing program for creating a trail and theme path by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trekkers. Even though these projects are developed in rural areas,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most of projects do not directly linked to the revitalization of rural villages and improvement of non-farm income because of the main road itself as a resource in rural area.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y to connect the citizen and the agriculture and rural area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green road which is the experience road with rural resource. To achieve this, we investigated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36 villages where are the village was promoted various major project of first step. In second step, we considere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ith conference of expert and site investigation for the final selection of 15 villages. Through two rounds' expert group consulting with checking, related literatures review and similar case-projects benchmarking, a riverside green road which is linked long distance trail and adjacent to the riverside was developed 15 courses by 2-development types proposed.

유형별 농촌마을의 색채 인식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lor Perception in Rural Villages)

  • 김은자;한채원;임창수;박미정;최진아;권순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spc호
    • /
    • pp.573-591
    • /
    • 2016
  • People are making multilateral efforts to create beautiful agricultural landscapes. In farming villages, however, large-scale facilities or houses do not blend in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because of their outer colors, which are mostly primary colors that are not chosen in consider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This was addressed in the three following steps: 1) Research tool was used to identify predominant colors and images that represent various types of rural areas; 2) landscape experts conducted a feasibility study and pilot study on using these colors; and 3) the main study was done by investigating how local people and out-of-town visitors perceive the colors. The village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projects were mostly represented by achromatic colors, meaning white, black, and variations of gray. Also, adjectives such as "modern" were shown to be keywords that symbolize the atmosphere. Less developed villages had more greenish colors and "natural" as their keyword. Developed villages in suburban areas were mainly represented by shades of blue and green, while less developed ones were mainly represented by green and yellow. In special types of rural areas, developed and developing were represented by achromatic and green colors, whereas less developed ones were represented by green and blue. Respondents were also asked 1) whether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village's current overall color scheme and 2) whether they thought there was harmony between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structures. People responded with "so so" for the first question, while some answered "not good enough" and "no" for the second.

SOLAR-LED 시스템과 저탄소녹색동굴조명 (Low Carbon and Green Growth Cave Lightings with SOLAR-LED System)

  • 소대화;강상택;소현준
    • 동굴
    • /
    • 제95호
    • /
    • pp.15-21
    • /
    • 2009
  • 온실가스와 지구촌 온난화, 그리고 이를 치유하기 위한 인간의 노력과 필요한 대안기술은 마치 성난 자연을 잠재우기 위한 노력과 그에 필요한 재원을 동원하기보다도 더 어려운 일인가보다. 한정된 화석연료는 수십 년 내에 고갈될 수밖에 없으며, 국제무대에서 나라마다 자원을 확보하려는 외교활동의 치열함은 마치 자원 확보를 위한 전쟁을 방불케 하는 모습이다. 화석연료의 고갈은 친환경 녹색성장이라는 새로운 대안정책을 불러왔고, 태양에너지 활용을 위한 태양전지기술은 날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세상을 밝혀주기 위한 조명광기술은 석유등, 백열등으로부터 발광다이오드에 이르러 첨단 광역시장을 이루었다. 따라서 이들을 탄생시킨 반도체기술로부터 태양전지와 발광다이오드를 접목시켜 일체화시킨 SOLAR-LED 시스템과 함께 저탄소녹색조명의 동굴응용 기술을 조명한다.

도시민의 도시농업 경험이 농촌체험관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Participating in the Urban Farming in the Farm Village Experience Tourism of Urbanite)

  • 이인환;이효정;이슬비;전인철;김용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9-88
    • /
    • 2012
  • 본 연구는 도시민 중 도시농업을 경험한 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집단 간의 농촌체험관광 참여의사와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로 도시농업의 경험유무를 구분하고 농촌체험관광의 참여의사, 참여이유, 불참이유, 긍정적 이미지, 부정적 이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도시농업의 비경험자와 경험자 간 비교분석을 하기위해 서울시 우수텃밭농장과 도심지 여가공간을 방문한 수도권 도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농업 경험자들은 비경험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농촌체험관광 참여의지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농촌체험관광이 가지고 있는 도시와 다른 자연환경과 자녀교육효과를 가장 큰 목적으로 두고 있다고 나타났다. 셋째, 바쁜 일상생활 때문이라는 응답이 농촌체험관광 불참이유의 대부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농촌체험관광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는 전반적으로 수긍하였고, 특히 집단 간 비교하였을 때 작물재배 및 도시와 다른 자연환경에 대한 인식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농촌체험관광의 부정적 이미지로 집단 간 낯선 환경, 흥밋거리 부족, 농촌마을을 방문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는 인식차이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민들이 생각하고 있는 농촌체험관광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시농업 경험 유무에 따라 참여의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