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851/ksrp.2013.19.2.107

Quantitative Effect Evaluation and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Lee, Jimin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Bae, Yeonjoung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Kim, Taego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Lee, JeongJae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uh, Kyo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v.19, no.2, 2013 , pp. 107-12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A lot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have been planned and implemented for revitalizing rural areas in South Korea. However, it is not easy to properly evaluate and quantitatively analyze project outcomes. For this reason only selected regions have been evaluated for rural projects by government agenci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urpose and the contents of th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RVDP) and Green Tourism Village Project (GTVP) to find indicators for evaluating results of rural project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utputs of this study show that RVDPs increase regional population and GTVPs positively affect the sales of agricultural products. We also estimat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roject effects through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and local-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Moran's I values for the proportion of farmers with avocational jobs, product sales changes, and population growth in Jeol-La province are positive and the biggest one is population growth. Especially, key areas of agricultural product sales are widely distributed.
Keywords
Quantitative Effect Evaluation; Rural Development Project;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국회예산정책처, 2006, 농촌관광마을사업평가.
2 건설해양통계누리, https://stat.molit.go.kr
3 기정훈, 황주원, 유광철, 2010, 대학교 정책간의 공간적 이웃효과에 대한 연구: 서울소재 4년제 대학교 영문학과 졸업기준을 중심으로, 지역연구, 26(2), 55-69.
4 김걸, 김병선, 2009, 토지용도별 범죄의 시공간적 분포패턴 사례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2(3), 83-96.
5 김경량, 홍성규, 최윤상, 2006.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중간평가체계 개발, 농촌계획, 12(2), 65-73.   과학기술학회마을
6 김광구 2003, 공간자기상관의 탐색과 공간회귀분석의 활용,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3(1), 273-294.
7 김남조, 문성민, 2007, 균형성과표(BSC)를 적용한 성과평가모형 개발: 녹색농촌체험마을을 대상으로, 관광학연구, 31(3), 97-116.
8 김종섭, 2009,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추진 현황과 개선방안, 강원농수산포럼 제90차 세미나 포럼자료집.
9 김창현, 박종택, 박경현, 2007, 농촌지역 특성의 진단지표 개발과 정책적 활용방안, 국토연구원.
10 김현호, 김선기, 한경원, 최정석, 2010, 기초생활권 발전정책의 특성과 과제, 도시정보, No. 340.
11 노용호, 조광익, 이상영, 2006, AHP를 활용한 농촌 관광마을 사업성과지표개발: '농촌 전통테마마을'을 중심으로, 관광학 연구, 30(4), 191-209.
12 농림수산식품부 지역개발과, 2010,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통해 농촌이 다시 살아난다, 보도자료 (2010. 7.).
13 박호균, 이성우, 박지영, 2002, 경로분석을 통한 농촌관광사업 평가 척도의 타당성 분석, 농촌사회, 12(2), 75-102.
14 서교, 한이철, 이지민, 이정재, 2006, DEA와 AHP기법을 이용한 농촌건강장수마을사업 평가모형 개발, 농촌계획, 12(4), 1-11.   과학기술학회마을
15 손정렬, 2011, 모란 및 국지모란지수를 이용한 도시 용수 이용의 공간패턴과 그 변화 분석-미국 남동부 카운티들을 대상으로-, 지역연구, 27(2), 77-97.
16 윤희정, 김태현, 2009, AHP를 활용한 농촌관광마을 개발단계별 M&E 체계 연구, 관광학 연구, 33(3), 149-166.
17 이성우, 윤성도, 2008, 농업농촌정책평가를 위한 정량적 분석모형 연구, 농촌계획, 14(4), 97-108.
18 황한철, 2011,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에 대한 평가와 협력적 개선방안, 농업.농촌의 길 2011, 329-357.
19 허훈, 김종수, 2008, 지역사회개발의 이론적 모형과 한국적 적실성에 의한 농촌지역개발방안, 한국정책연구, 8(2), 4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