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e Peel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1초

Effects of grape pomace on the antioxidant defense system in diet-induced hypercholesterolemic rabbits

  • Choi, Chang-Sook;Chung, Hae-Kyung;Choi, Mi-Kyung;Kang, Myung-Hwa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2호
    • /
    • pp.114-120
    • /
    • 2010
  • The effects of grape seeds extract and grape peels extract prepared from grape pomace on the activity of antioxidant enzymes, degree of lipid peroxidation in serum and liver tissue were investigated in rabbits fed on high cholesterol diet.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divided as follows ; 1) NOR (normal group); 2) CHOL (cholesterol group); 3) GSH (cholesterol + grape seed extract group); 4) GPE (cholesterol + grape peel extract); 5) GSP (cholesterol + grape seed powder); 6) GPP (cholesterol + grape peel powder); 7) GE (cholesterol + grape seed and peel extract); 8) GP (cholesterol + grape seed and peel powder). Eight groups of rabbits were studied for 8 week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al period, rabbits were sacrificed and the liver tissue were removed. Then, GSH, GPx, GST, CAT and MDA in the liver were measured. In liver tissues, total glutathione contents (GSH), glutathione peroxidase (GPx) and catalase (CAT) activity,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by grape seed extract supplementation. The level of malondialdehyde (MDA) was lower in the serum of rabbits fed grape seed extract or grape peel powder plus cholesterol than in the serum of rabbits fed cholesterol alone. It is therefore likely that grape seed extract prepared from grape pomace functioned as antioxidants in vivo, negating the effects of the oxidative stress induced by 1% cholesterol diet. The grape seed extract was found effective in converting the oxidized glutathione into reduced glutathione, and in removing $H_2O_2$ that is created by oxidative stress. The grape peel powder was found to have small influence on reduced glutathione content, CAT and GPX activity, but it increased GST activity in liver tissues, resulting in promoting the combination of lipid peroxide and glutathione (GSH), and further, lowering the formation of lipid peroxide in the serum. Therefore, grape pomace (grape seed extract and grape peel powder) supplementation is considered to activate the antioxidant enzyme system and prevent damage with hypercholesterolemia.

포도 과피 첨가량에 따른 생면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after Addition of Grape-Peel Powder)

  • 조용기;김장익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822-828
    • /
    • 2008
  • Optimal Chinese-noodle product in the aspect of preference and quality that added functionality, the focus was put on developing the stable high value-added product in a farm househol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value for infrared water-content analysis of moisture was $85.74{\pm}0.12%$, crude protein was $1.31{\pm}0.01%$, the crude fat $3.91{\pm}0.08%$, the ash $1.83{\pm}0.01%$, carbohydrate $1.08{\pm}0.03%$, and crude fiber $6.12{\pm}0.10%$. For all experiments with Chinese noodles, the grape peels were frozen and dried, powdered, and filtered with a 150-mesh strainer. The grape-peel powder, was added to the composite flour in a proportion of 0%, 1%, 3%, 5%, and 7%. The color of the cooked noodle appeared brown, demonstrating that the L-value decreased as the amount of grape-peel powder increased. The value of a, which corresponds to the level of redness, increased and the cooked noodle appeared brown as the amount of grape-peel powder added increased. The yellowness of the cooked noodle tended to decrease as the value of b, which corresponds to the level of yellowness, gradually (p<0.05). In the texture analysis, hardness was highest in the 7% grape-peel powder group, while the 5% groups showed the highest springness values. The 1% groups showed the highest cohesivness while the 7% groups were the chewiest. The 7% groups had the lowest stickiness values (p<0.05). It terms of sensory quality, the overall surface color, texture and taste were perceived as superior for the 3% grape-peel powder-added groups and lowest for the 7% group (p<0.001). The 3% treatment showed the best overall quality.

  • PDF

Optimization of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for Antiradical Activities of Peel and Seed Extracts of Campbell Early Grapes

  • Ghafoor, Kashif;Choi, Yong Hee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1호
    • /
    • pp.32-37
    • /
    • 2009
  •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applied for the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from peel and seed of Campbell Early grapes and the extraction processes were optimized for the antirad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b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Optimal conditions were 53.45% of ethanol concentration, 45.99${^{\circ}C}$ of extraction temperature and 23.93 min of extraction time for the maximum antiradical activity of grape peel extract (54.98%) and 53.14% of ethanol 56.03${^{\circ}C}$ of temperature and 29.03 min of time for maximum antiradical activity of grape seed extract (90.60%).

천연 항산화제로의 활용을 위한 사과, 포도, 및 고구마 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Effects of Antioxidant Activities in Ethanol Extract of Apple Peel, Grape Peel, and Sweet Potato Peel as Natural Antioxidant)

  • 김미자;김영기;김현순;정철;장기효;강순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766-377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천연 항산화제로써의 활용을 위해 부산물인 사과 껍질, 포도 껍질과 고구마 껍질의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양이온 소거능, FRAP 환원능과 ORAC 지수를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사과 껍질 1g에 각각 7.76 ${\mu}M$ quercetin 당량과 1.03 ${\mu}M$ quercetin 당량으로 존재하여 포도 껍질과 고구마 껍질 보다 유의적으로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사과껍질 1 g이 각각 포도 껍질보다는 3.2배, 고구마 껍질보다는 4.6배로 나타났고, ABTS 양이온 소거능 또한 사과껍질 1g이 각각 포도 껍질보다는 2.8배, 고구마 껍질보다는 5.4배로 강력하게 소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FRAP 환원능과 ORAC 지수 또한 사과 껍질이 포도 껍질이나 고구마 껍질보다 유의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사과껍질을 이용한 천연 항산화제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Determination of some useful radiation interaction parameters for waste foods

  • Akman, F.;Gecibesler, I.H.;Sayyed, M.I.;Tijani, S.A.;Tufekci, A.R.;Demirtas, I.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0권6호
    • /
    • pp.944-949
    • /
    • 2018
  • The mass attenuation coefficients (${\mu}/{\rho}$) of food waste samples (pomegranate peel, acorn cap, lemon peel, mandarin peel, pumpkin peel, grape peel, orange peel, pineapple peel, acorn peel and grape stalk) have been measured employing a Si(Li) detector at 13.92, 17.75, 20.78, 26.34 and 59.54 keV. Also, the theoretical values of the mass attenuation coefficients have been evaluated utilizing mixture rule from WinXCOM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mon peel has the highest values of ${\mu}/{\rho}$ among the selected samples. From the obtained mass attenuation coefficients, we determined some absorption parameters such as effective atomic number ($Z_{eff}$), electron density ($N_E$) and molar extinction coefficient (${\varepsilon}$). It was found that the $Z_{eff}$ values of all food wastes lie within the range of 4.034-7.595, whereas the $N_E$ of the studied food wastes was found to be in the range of $0.301-1.720{\times}10^{25}$ (electrons/g) for present energy region.

포도과피를 첨가한 분쇄돈육의 냉장저장 중 품질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round Pork Meat Containing Grape Peel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최강원;이종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9호
    • /
    • pp.1041-1048
    • /
    • 2016
  • 본 연구는 포도과피 첨가가 분쇄돈육의 냉장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쇄돈육은 돈육 68%, 돼지지방 20%, 소금 2%, 냉수 10%를 배합하여 제조한 대조군(T0), 여기에 포도과피 0.3% 첨가한 T1, 0.7% 첨가한 T2 그리고 1.0%를 첨가한 T3 등 네 종류의 분쇄돈육을 제조하였다. 분쇄돈육의 pH는 냉장 중 높아졌으며, T3의 pH가 가장 낮았다(p<0.05). 명도(L-value)와 적색도(a-value)는 냉장 중 감소하였으며, T2 및 T3의 적색도가 T0 및 T1보다 높았다(p<0.05). 그리고 황색도(b-value)는 T0 및 T1의 경우 냉장 중 증가하였지만 T2 및 T3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p<0.05). TBARS는 냉장 중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T2 및 T3가 T0 및 T1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냉장 중 감소하였으며, T2 및 T3가 T0 및 T1보다 높았다(p<0.05). VBN함량은 냉장 중 T0 및 T1은 증가하였지만 T2 및 T3는 변화가 없었다(p<0.05). 보수력은 냉장 4일째 감소하였으며(p<0.05), 냉장 중 시료들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가열감량과 경도는 냉장 4일째 증가하였으며(p<0.05), 냉장 중 시료들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저작성은 냉장 중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시료들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포도과피는 분쇄돈육의 품질유지와 산화방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산머루 과피에서 분리한 proanthocyanidin 획분의 항산화 특성 (Antioxidant Properties of Proanthocyanidin Fraction Isolated from Wild Grape (Vitis amurensis) Peel)

  • 이혜련;황인욱;정호철;정우식;김영찬;정신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20-423
    • /
    • 2010
  • 산머루 부산물을 기능성 소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산머루 과피에서 proanthocyanidin 획분을 분리하고 그 항산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머루 과피의 70% 아세톤 조추출물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층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였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50% 메탄올, 75% 메탄올, 75% 아세톤으로 용출하여 9개의 획분을 얻었다. Proanthocyanidin 특성 및 함량은 BuOH-HCl 방법과 vanillin-$H_2SO_4$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Fr. 6의 proanthocyanidin 함량($49.35{\pm}2.75\;g%$)이 가장 높았다. 각 획분의 FRAP값과 총 페놀 함량은 각각 3.54-32.25 mmol/kg과 4.48-50.80 g/100 g이었으며 proanthocyanidin 함량은 DPPH radical 소거활성, FRAP값, 총 페놀 함량과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산머루 가공 부산물 중의 proanthocyanidin 획분은 향후 항산화성 건강기능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포도 중 Thiacloprid와 Lufenuron의 유/무대 차이에 따른 잔류량 비교 (Effect of Bagging Technique on the Residue Patterns of Thiacloprid and Lufenuron in Grape fruit (Vitis labrusca L.))

  • 진용덕;임성진;김상수;최근형;이학원;정두연;문병철;노진호
    • 농약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2-48
    • /
    • 2017
  • 본 연구는 침투성 살충제 thiacloprid와 비침투성 살충제 lufenuron을 포도에 살포시 유대와 무대조건에서 이들 약제의 잔류량 변화를 경시적으로 분석하여 잔류패턴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시험은 전북 김제 포장에서 수행하였으며 시험대상 포도의 품종은 켐벨이었다. 시험농약으로는 thiacloprid 10% 액상수화제와 lufenuron 5% 유제를 각각 2,000배 희석한 다음 배부식 동력분무기를 이용하여 경엽살포하였다. Thiacloprid 및 lufenuron 잔류시험은 수확 전 14-7-0일에 약제처리한 다음 최종살포 후 0, 1, 3, 5 및 7일에 수확하였고, 통시료, 과육 및 과피시료로 구분하여 균질화 한 후 두 약제를 HPLC-UVD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성분의 회수율과 RSD는 각각 76.5-104.3과 81.4-100.8%, 0.7-6.0과 1.4-6.8% 범위이었으며, 검출한계는 두 약제 모두 0.01 mg/kg이었다. 유대시료에서는 thiacloprid와 lufenuron 모두 검출한계 미만으로 검출되었고, 무대시료에서 thiacloprid의 잔류량은 통시료 0.47-1.09, 과육시료 0.18-0.33 및 과피시료 1.24-1.67 mg/kg으로 경시적으로 감소하였다. Lufenuron의 잔류량은 통시료 0.16-0.61 mg/kg, 과육시료 < LOD-0.08 및 과피시료 0.85-1.48 mg/kg으로 경시적으로 감소하였다.

포도 중 Tebuconazole의 잔류성에 미치는 몇 가지 변동요인의 영향 (Effect of Some Variation Factors on Dissipation of Tebuconazole in Grape)

  • 한성수;노석초;마상용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42-147
    • /
    • 2004
  • Tebuconazole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tebuconazole의 처리시기, 처리횟수, 봉지 씌우기(괘대) 및 세척방법에 따른 잔류성을 조사하였다. 수확 전 처리횟수가 3회${\sim}$5회 처리로 증가함에 따라 tebuconazole의 잔류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처리횟수가 동일한 조건에서는 최종 처리 후 경과일수가 길수록 잔류량이 적게 나타났다. 처리횟수 및 최종 처리 후 경과일수가 동일하더라도 최초 약제처리 시기에 따라 잔류량의 차이가 나타나 기상 조건 및 과실의 생육상태에 따른 잔류량 변동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과실 1개당 무게가 $2.5{\sim}7.5\;g$의 범위에서 과실 개체의 크기가 작을수록 높은 잔류량을 보였으며, 잔류성분의 대부분이 과피에 분포하였다. 괘대 과실의 과피에서 무괘대 과실의 과피에 비하여 매우 낮은 잔류량을 보였다. 과육 중의 잔류량은 괘대 포도에서는 검출한계 이하로, 무괘대 포도에는 0.05 mg/kg 수준으로 분포하였다. 세척 전의 잔류량이 0.86 mg/kg 수준인 포도 시료에서는 물에 1분간 침지하고 흐르는 물에 $1{\sim}2$회 세척 시에 잔류량의 약 $25{\sim}67%$가 제거되었으며, 침지처리 후 3회 세척한 시료에서는 검출한계 이하의 잔류량을 보였다. 세제용액에 침지하고 흐르는 물에 세척한 경우에는 물 침지에 비하여 높은 제거효과가 나타났으며, 세척 전 포도 중의 잔류량이 낮을수록 제거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포도 품종별 추출물의 혈당 완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Diabetic Activities by Extracts of Grape Cultivar)

  • 김민아;손형우;윤은경;최용희;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00-405
    • /
    • 2012
  • 포도 3종(Campbell early, MBA, 거봉)의 과피와 씨를 물과 ethanol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은 대부분의 추출물에서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물 추출물이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그에 따라 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streptozotocin (STZ)에 의해 유도된 당뇨 마우스모델의 고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캠벨(씨)의 물 추출물을 처리한 당뇨 유발 마우스의 혈당은 시간이 지날수록 그 수치가 떨어져 3시간이 지난 후에는 정상 수치까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거봉(씨) 물 추출물을 처리한 마우스에서는 혈당 상승이 1/3 수준으로 완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포도의 과피와 씨 추출물은 고혈당 개선에 효과를 지닐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향후 혈당에 관련된 기타분자표적의 추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