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fted-student in science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22초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예비 사사과정 학생들의 학습윤리 실태 조사 (The Survey of Academic Integrity of the Student in Mentorship Program at a Science Gifted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 윤은정;박윤배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2호
    • /
    • pp.275-287
    • /
    • 2013
  • 본 연구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예비 사사과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윤리 실태를 알아보고 학습윤리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K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2013 사사과정 합격생 5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은 '참고자료의 사용', '과제물 구매 대리 도용', '협동학습'의 세 가지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교육대상 학생들에게 학습윤리를 교육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때 윤리적 지식뿐만 아니라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로는 '과제물 구매 대리 도용', '참고자료의 사용', '협동학습'의 순으로 윤리의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협동학습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는 사사과정의 특성상 '협동학습'에 대한 윤리 의식이 부족한 것이 문제점으로 드러나 이 부분에 대한 교육이 강조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과학영재의 과학 노트를 활용한 정리활동 특성분석 (The Characteristics of Summarized Activities using Science Notebook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 조영석;강호감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1호
    • /
    • pp.46-5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writing styles and features of science writing by using science notebook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37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in P city. The preliminary 1 hour instruction was conducted to explain the usage of science notebook. The summarized activity using science notebook was conducted for 20 minutes following 4 hour lesson. These activities were performed for 8 time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n The content which is learned today (main learning content)' which is one of components of science note, the writing appears the most frequently in external expression types and features of scientific writing, followed by writing+drawing, drawing, cartoon, writing+cartoon, mind map, table. Science writing which uses inductive thinking appears the most frequently in internal expression types and features of scientific writing, followed by deductive thinking, creative thinking. Among the components of science note, 'thinking and feeling', 'question,' 'one's own thinking of question' which are the components of science note promote the reflective thin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gifted for science.

충북 소외지역의 영재교육기관 운영에 있어 초등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및 지원 요구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the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of Elementary Teachers in the Management of Gifted Institutions in the Rural Areas of Chungcheongbuk-do Province)

  • 최보미;정정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1호
    • /
    • pp.55-7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difficulties teachers face in the management of the elementary gifted institutions in the rural area of Chungbuk province. In this study, rural area was defined that the area where gifted education is difficult to access due to geographical accessibility or where gifted education service is restricted. The participants of the this study were three elementary gifted teachers who manage elementary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and is teaching science to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We collected data about the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for the management of the gifted institutions in the rural area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the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on difficulty that teachers expressed was the lack of parental attention and awareness of gifted education. Second,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perceived different difficulties according to their area, experience, and environment. Teacher A is the lack of awareness of the managers, teacher B is the difficulty of student selection, teacher C is the most difficult factor in teacher quality management. This difference in perceptions also led to differences in the support improvements required by gifted class teachers in the rural area. Third, the three teachers commonly referred to difficulties to access due to geographical accessibility, and demanded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gifted class in the rural area and the support for the expansion of the class.

초등 일반 학생과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학업적 열정 비교 (Comparison of Science Academic Passion Between Elementary General and Science-Gifted Students)

  • 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4호
    • /
    • pp.421-432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일반 학생과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학업적 열정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1개 초등학교에서 5-6학년 일반 학생 95명과 2개 영재교육기관에서 5-6학년 과학영재 학생 92명을 선정한 후 과학 학업적 열정 검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년 및 성별과 관계없이 일반 학생보다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학업적 열정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 학생의 경우에는 '조화열정', '중요함', '좋아함', '시간/에너지 투자', '강박열정' 순으로 점수가 높았고, 모든 하위 영역 사이의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반면 과학영재 학생의 경우에는 '중요함', '좋아함', '조화열정' 사이의 점수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세 영역의 점수는 '시간/에너지 투자' 및 '강박열정'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높았다. 또한 '시간/에너지 투자' 점수는 '강박열정'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높았다. 과학영재 학생 여부와 관계없이 학년과 성별에 따른 과학 학업적 열정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 학업적 열정이 학년이나 성별 등의 개인적 특성이라기보다 과학영재 학생을 특징짓는 하나의 변인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과학일기쓰기가 과학영재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ience Journal Writing on the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t Middle School Level)

  • 남경운;이봉우;이성묵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272-1282
    • /
    • 2004
  • 수도권 소재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중학교 2학년 학생 21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2개월 동안 과학일기쓰기를 실시하였다. 이들은 총 192편의 일기를 작성하였는데, 자신의 과학일기를 작성하여 탑재하고 다른 사람의 일기를 읽고 토론히는 활동을 하였다. 일기내용과 설문 응답 내용, 홈페이지에서의 상호작용 내용, 면담 내용 등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과학일기쓰기는 과학영재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인식과 흥미, 과학적 태도 등 정의적 영역의 모든 대범주에 현저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학영재아, 부모, 교사가 본 영재교육 (Viewpoints of Mathematics gifted students, parents, teachers about Gifted Education)

  • 강윤수;송세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33-5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S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육받고 있는 수학영재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영재아, 부모, 교사 면담을 실시하여 영재성, 영재교육의 필요성, 인과적 귀인 등에 관한 그들의 관점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다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영재아들의 부모나 교사는 지적 능력을, 영재아들은 창의성을 영재성의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하였다. 둘째, 영재아들은 교육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의사소통 능력을 보인다. 셋째, 수학영재아들은 자신의 영재성이나 문제해결능력을 내적요인에 귀인하는 반면, 부모나 교사는 외적요인에 귀인한다.

  • PDF

과학에 대한 태도, 성취동기, 또래관계, 부모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태도 분석-과학영재와 과학성적우수 일반학생들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Attitude Toward Science, Achievements Motivation, and the Peer Relationship, and Parents' Attitudes to Science Gifted Education)

  • 전복희;박경빈;전미란
    • 영재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443-46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교육원에 지원하여 교육을 받고 있는 과학영재 학생들과 지원하지 않은 과학성적우수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에 대한 태도, 또래집단척도, 성취동기, 부모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태도 등을 조사하였고, 각 검사별로 두 집단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학영재 학생들은 과학에 대한 태도, 성취동기, 또래집단척도, 부모의 과학에 대한 태도 모두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과학성적우수 일반학생에서는 성별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부모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부모의 인식과 태도가 자녀의 과학에 대한 영재교육원 선택 및 진로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과학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절실히 필요하며, 법적 제도적 장치 등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Flanders 언어상호작용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초등과학 영재수업에서의 유능한 영재교사 발언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Effective Teachers' Discourse in Science Gifted Class Using Flanders Interaction Analysis Program)

  • 조경미;여상인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6호
    • /
    • pp.1055-1076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유능한 초등과학 영재교사의 수업 관찰을 통해 교사 학생 간의 언어적 상호작용 및 교사의 발언 유형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유능한 영재교사는 영재교육전문가, 과학교육전문가의 추천을 받은 교사이다. 이렇게 선정된 유능한 초등과학 영재교사 3인의 수업에 참관하여 관찰과 녹화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전사한 후 Flanders의 언어상호작용 분류틀을 기초로 교사와 학생의 발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능한 초등과학 영재교사들의 영재수업에서 일정한 언어 상호작용 흐름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교사의 질문이나 강의/설명 발언 후 학생들이 넓은 반응을 보이는 긍정적인 언어적 상호작용의 흐름이 나타났다. 둘째, 유능한 초등과학 영재교사들의 수업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발언 유형 항목은 강의/설명이고 지시나 비판의 발언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감정의 수용, 칭찬 및 격려, 아이디어 수용의 비지시적 발언을 많이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유능한 과학영재교사는 지시나 비판의 지시적 발언보다 감정의 수용, 칭찬 및 격려, 아이디어 수용 같은 비지시적 발언의 사용으로 학생의 넓은 반응을 이끌어내는 긍정적인 언어상호작용을 하고 있었으며, 영재학생들의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켜주는 확산적 질문을 많이 사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과학 기반 STEAM 프로그램이 초등과학 영재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through the Science-Based STEAM Program in the Elementary Gifted Students)

  • 김권숙;최선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2호
    • /
    • pp.216-22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scientific attitude through the science-based STEAM program for the elementary gifted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eaching plan and worksheet for students based on STEAM was developed and applied.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fourth grade of both an experimental class (18 students) and a comparative class (20 students) at the gifted clas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in students' science creative problem solv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applying science-based STEAM program h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p<.05). Second, the scientific attitude score of the experimental class improved, but it has no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 for evaluating the program, experimental class students had a positive recognition in respect of the STEAM program and got higher satisfaction about the lesson. Therefore, science-based STEAM program applied in this study might be useful to improve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can be expected the scientific attitude' improving and better be widely applied to gifted education.

초등 정보과학 및 수과학 분야 영재학생들의 ICT 활용실태 분석 (Analysis of ICT Usage for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Computer Science, Mathematics, and Science Field)

  • 이재호;박경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63-71
    • /
    • 2013
  • 2012년 8월 경기도 소재 영재학급 중 정보과학전공 ${\bigcirc}{\bigcirc}$초등학교 학생 67명과 수과학전공 ${\bigcirc}{\bigcirc}$초등학교 38학생 명을 대상으로 2박 3일간의 융합형 정보과학영재캠프를 실시하였으며, 캠프 기간 중에 총 105명의 참여 학생에 대한 ICT 활용 실태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였다. 캠프에 참여한 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ICT 활용실태 관련 설문 문항은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ICT 활용실태 관련 조사 결과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영재학생들은 평균적으로 7~9세 사이에 컴퓨터 사용을 시작(51.9%)하였으며, 자신의 컴퓨터 활용 수준이 보통(50.0%)이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자신의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의 교육을 받고 싶어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보과학분야 영재학생들과 수과학분야 영재학생들과의 차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과학분야 영재학생들은 수과학 분야 학생들보다 컴퓨터 활용 시간이 많았으며, 자신의 컴퓨터 활용능력이 우수하다고 답변한 비율이 높았고, 컴퓨터의 활용이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비율도 높게 조사되었다. 둘째, 컴퓨터의 사용 측면에서도 정보과학분야 영재학생들은 교육 및 학습(56.9%)에 사용하는 것이 가장 많았던 반면, 수과학 분야 영재학생들은 여가활동(40.5%)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향후 배우고 싶은 컴퓨터 관련 분야에 대한 조사에서도 정보과학분야 영재학생들은 컴퓨터 프로그래밍(33.8%)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수과학 분야 영재학생들은 발표자료 작성(26.3%)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영재학생들의 ICT 활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 일반적인 부분에서는 두 그룹 간 큰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었으나, 컴퓨터 사용에 대한 자신감, 컴퓨터 사용 분야, 컴퓨터 관련 교육 분야 등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