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re Use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6초

판타지 장르의 트랜스미디어 연구 -왕좌의 게임(Game of Thrones)을 중심으로- (A Study of Trans-media in Fantasy Genre - Focusing on the Game of Thrones -)

  • 장동곤;강지영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8호
    • /
    • pp.173-197
    • /
    • 2017
  • 본 연구는 판타지 장르 트랜스미디어(Transmedia) 콘텐츠의 확장성에 대한 연구다. 이를 위해 본론에서는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특징을 살피고 판타지 장르의 콘텐츠가 어떤 과정을 거쳐 트랜스미디어가 되는지를 분석하였다.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특징을 구분함에 있어서는 OSMU(One Source Multi Use)와 크로스미디어(Crossmedia) 등 기존 이론과의 차이를 이용하였고, 동시에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특징인 확장성이 판타지 장르에 적용된 사례를 살펴보며 이에 해당하는 사례를 소설, 영상, 게임 등으로 다양하게 각색된 작품을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기준으로 판타지 장르의 작품 중 조지 R. R. 마틴의 소설 얼음과 불의 노래 (A Song of Ice and Fire)와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매체로 확장된 각색 작품들을 예시로 활용해 본 연구의 논지를 전개하였다. 소설 얼음과 불의 노래의 많은 각색 작품 중 가장 많은 조명을 받은 것은 미국의 방송사 HBO가 제작한 드라마 버전 왕좌의 게임(A Game of Thrones)이다. 본 연구에서는 드라마 버전 왕좌의 게임과 이후 각색된 모바일 게임 버전을 동시적으로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설과 드라마 그리고 게임 세 매체의 비교를 통하여 하나의 매체에서 다른 매체로 확장이 이루어지는 양상을 분석하고, 원작 소설을 드라마로 각색하며 발생한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왕좌의 게임이 반지의 제왕으로 대표되는 기존 판타지 장르 콘텐츠와 비교하여 트랜스미디어로 확장을 할 시에 원작 소설보다는 흥행에 성공한 영상 각색물을 통한 2차 각색에 가깝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차이점으로는 왕좌의 게임이 판타지 장르 콘텐츠임에도 기존의 데이터베이스화된 장르 요소를 계승하지 않았고, 이를 통해 인물의 역할부터 전개와 결말에 이르기까지 기존의 관습적인 형태와는 다른 양상을 가지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된 왕좌의 게임에 대한 분석들이 비단 트랜스 미디어에만 국한되는 요소들이 아닌 단일 콘텐츠에 마찬가지로 유효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에너지·친환경 기업들의 소셜미디어 브랜드 게시글 성공요인 분석 (Brand-Post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Media Success : Case of Energy/Eco-Friendly Company Brands in Facebook)

  • 김은지;이연님;조재홍;권오병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17
    • /
    • 2014
  •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ergy and eco-friendly companies take advantage of social media for image enhancement and product promotion. However, there were no in-depth empirical analysis to verify specific effectiveness of social media use in these se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key factors that are considered to use social media effectively for energy and eco-friendly companies. For this purpose, we regarded the effectiveness of social media as Post Awareness and Word of Mouth.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as a medium were measured separately, media richness and media genre, as independent variables of social media effectiveness. We investigated 413 posts in Facebook brand page of energy and eco-friendly companies and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post awareness of users was greater when post has richer media such as video. For media genre, word of mouth appeared to be greater when the posts provide information.

방송클립동영상 이용이 방송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sing Shot Clip on the Broadcasting Viewing Intention)

  • 조석현;이현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45-65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방송클립동영상 이용이 VOD 구매의도와 본방송 시청의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방송클립동영상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용동기와 이용시간, 이용시점, 장르, 이용패턴 등의 이용경험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방송클립동영상 이용동기 변인에서는 대인관계와 전체방송 대비이점이 높을수록, 방송클립동영상 이용경험 변인에서는 교육 장르, 게시된 영상보기, 게시된 영상 공유 및 추천을 이용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VOD를 구매하고자 하는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방송클립동영상 이용동기 변인에서는 이용유연성이 높을수록, 방송클립동영상 이용경험 변인에서는 드라마/영화 장르와 게시된 영상에 대한 댓글 읽기 및 작성 등과 같은 이용이 높을수록 본방송을 시청하고자 하는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텔레비전 시청 장르별 시민성 및 가치관 계발 효과의 차이 (Genre-specific Cultivation Effects of TV Programs: Cultivating Viewers' Citizenship and Value Attitudes)

  • 나은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150-157
    • /
    • 2013
  • 다매체다채널 및 미디어 융합 환경에서 콘텐츠를 형성하는 프로그램들의 유형과 성격들도 변화하는 가운데, 미디어 이용을 오락과 정보로 양분화하던 전통적 연구모형이 근래의 미디어 환경에서도 적절한가 탐구해볼 시점이다. 더욱이 오락 프로그램에 리얼리티 성격을 가미한 혼종 장르가 주요한 경향을 이루고 있는 현재 국내 상황에서 보다 세분화된 장르별 이용의 차별적인 효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 과거에 동일한 '정보'적 프로그램으로 간주되었던 뉴스와 시사토론, 교양다큐의 각 장르는 전통고수 및 성공지향의 가치관 계발에 관한 한 서로 상반되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마찬가지로, 과거에 동일한 '오락'적 프로그램으로 간주되었던 드라마와 리얼리티 장르 역시 가치관 계발 및 사회신뢰에 서로 구별되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드라마 시청은 사회신뢰에는 정적으로, 관용에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등 동일한 장르마저 시민성의 속성에 따라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n Empirical Encounter of Cultural Orientation and Cultivation Theory: Factors of Perception of Materialistic Realities and Dealing with Materialism of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

  • Cha, Yuri;Kwon, Yeji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7권4호
    • /
    • pp.226-25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the perceptions of materialistic realities of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can be explained by individual experience and media use. We examined: 1) relative consequences of awarenes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amounts of time spent on genre-specific media on perceptions of materialistic realities, 2) whether cultural orientation (allocentrism, self-monitoring, and masculinity) influences explanatory factors of awarenes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3) conditions of countervailing responses to materialistic reali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nline survey data of 330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the amount of time spent on the beauty or fashion genre and awarenes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explained the perceptions of materialist reality in Korean society. Although the perceptions that affected the accommodative response did not affect countervailing response, innovativeness had an interaction effect with perceptions of materialist reality in only countervailing response.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Bayesian Approach to Users' Perspective on Movie Genres

  • Lenskiy, Artem A.;Makita, Eric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5권1호
    • /
    • pp.43-48
    • /
    • 2017
  • Movie ratings are crucial for recommendation engines that track the behavior of all users and utilize the information to suggest items the users might like. It is intuitively appealing that information about the viewing preferences in terms of movie genres is sufficient for predicting a genre of an unlabeled movie. In order to predict movie genres, we treat ratings as a feature vector, apply a Bernoulli event model to estimate the likelihood of a movie being assigned a certain genre, and evaluate the posterior probability of the genre of a given movie by using the Bayes rule. The goal of the proposed technique is to efficiently use movie ratings for the task of predicting movie genres. In our approach, we attempted to answer the question: "Given the set of users who watched a movie, is it possible to predict the genre of a movie on the basis of its ratings?" The simulation results with MovieLens 1M data demonstrated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the proposed technique, achieving an 83.8% prediction rate for exact prediction and 84.8% when including correlated genres.

장르 특성 패턴을 활용한 매칭시스템 기반의 자동영상편집 기술 (Automatic Video Editing Technology based on Matching System using Genre Characteristic Patterns)

  • 문혜준;임양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861-869
    • /
    • 2020
  • 본 논문은 영화 장르마다 나타나는 클라이맥스 패턴이 다름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디바이스 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을 하나의 영상으로 자동생성해주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소개한다. 영화의 장르 특성 분류는 국내 영화 드라마, 액션, 공포와 국외 영화 드라마, 액션, 공포 장르를 분석하여 클라맥스 패턴 모델형을 만들었다. 클라이맥스 패턴은 영화의 특정 씬 부분에서 샷사이즈의 변화, 샷의 길이, 인서트샷 사용의 빈도를 특성 요소로 하였고, 결과를 시각화하였다. 장르별 시각화된 모델을 Firebase DB를 활용하는 템플릿으로 개발하였다.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저장된 이미지를 선택하여 장르별 템플릿으로 개발된 클라이맥스 패턴 모델과 매칭하였다. 짧은 영상이지만 장르의 특성이 반영되어 감성스토리 영상을 자동생성할 수 있는 것이 본 애플리케이션의 특징이다. 최근 유튜브, 네이버와 같은 플랫폼 사업자들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직접 촬영한 사진이나 영상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영상을 생성해주는 애플리케이션들을 매년 업그래이드하고 있으나, 영화와 같이 장르 특성을 갖는다거나, 스토리가 보이는 영상생성 기술을 포함한 애플리케이션은 아직 미흡하다. 제안한 자동영상편집은 감성전달이 가능한 영상편집 애플리케이션으로써의 발전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한다.

기산풍속화를 통하여 본 한국 근대복식 고찰 (A Study of Modern Korean Costumes on Kisan Genre Painting)

  • 이호정;조우현
    • 복식
    • /
    • 제62권4호
    • /
    • pp.15-31
    • /
    • 2012
  • This study is intended to understand the styles, colors and color arrangements of costumes expressed on Kisan Kim Jun-geun's genre paintings of Joseon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paintings vary according to the status and gender of the person wearing the costume as well as the time period and different situations the person belongs to. Als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 and value of Kisan's paintings in terms of the history of Korean costume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basic and common attire for people of all status and class is the jeogori(jacket), baji(pants) for men and Banhoijang jeogori, chima(skirt) for women. Men wear Po(coat) that represents their status and age, and they put on various hats according to different weather conditions or work-skill even when in the same status and class. However, women wear the Baeja(vest), Durumagi(coat) and head-dresses when they are cold. Overall, the costume patterns and shapes that appear on Kisan's paintings show the same patterns and structures when compared to different data during the same time period. Thus, they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help not only understand the changes of patterns and structures of costumes, but also the situations and emotions of the people of that time period. Moreover, it can be understood that various colors and color arrangements that reflect the situations and emotions of the late 19th century were used. This study that analyses the colors and color arrangements used in Kisan's genre paintings can provide the very basic and systematically arranged data to help understand the unique colors in Korea. These data can also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use of dyes and pigments during that time. Therefore, Kisan's genre paintings are meaningful and valuable in terms of the history of Korean costumes for these are the data, from which we can review the costumes, colors and color arrangements in the years from 1890 to 1910.

리얼리티 표방 TV 프로그램 장르의 문화계발 효과: 현실유사성 인식의 매개와 숙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Genre-specific Cultivation Effect of Reality-based TV Programs: Perceived Realism's Mediation and Fatalistic Beliefs)

  • 나은경;김도연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7권
    • /
    • pp.181-201
    • /
    • 2012
  • 이 연구는 (1) 기존의 텔레비전 전체 시청량이나 TV 뉴스와 드라마 장르에 집중되어온 문화계발 효과연구의 관심을 전환하여 근래 늘어나고 있는 리얼리티 표방 프로그램이라는 구체적인 장르의 효과에 주목하고, (2) 텔레비전의 시청이 계발하는 '사회적 현실 인식과 태도' 가운데 일상적인 삶의 가치와 태도로서 숙명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며, (3) 이러한 확장적 계발효과의 추론 근거로 '텔레비전 내용의 현실유사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탐구했다. 설문조사 자료 분석 결과, 고전적인 문화계발 효과이론이 주장하듯이 전체적인 TV 시청 총량은 숙명적 태도의 계발에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작용했다. 텔레비전 시청 총량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리얼리티 표방 프로그램 이용은 수용자의 숙명적 태도와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유사한 계발효과를 내는 것으로 기존 연구들에서 집중해 왔던 뉴스(사실) 장르와 드라마(허구) 장르의 이용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여전히 같은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리얼리티 표방 프로그램 시청의 이러한 계발효과는 텔레비전에 그려지는 내용이 수용자 자신은 물론 주변 사람들의 실제 현실과 비슷하다고 느낄수록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멀티플랫폼 환경에서 지상파TV 채널브랜드자산의 효과: 지상파TV 콘텐츠 선택과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Effect of the Terrestrial TV's Channel Brand Equity in the Multi-Platforms Environment: Focusing on the Choice and Use of the Terrestrial TV Contents)

  • 오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279-29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멀티플랫폼 환경에서 지상파TV의 채널브랜드자산이 시청자들의 지상파 콘텐츠 선택과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였다. 연구결과, 지상파TV 채널브랜드자산이 멀티플랫폼 상 지상파TV 콘텐츠 이용 정도에 미치는 영향은 SBS인지도만이 지상파TV 콘텐츠 이용 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TV 채널브랜드자산이 지상파 콘텐츠 시청 매체의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채널에서도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상파 콘텐츠 시청 플랫폼 유형별 이용에 미치는 영향은 지상파TV 채널별로 플랫폼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지상파TV 채널브랜드자산이 지상파 콘텐츠 이용 장르의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은 KBS인지도와 SBS인지도만이 지상파TV 콘텐츠 이용 장르의 다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상파 채널브랜드자산이 지상파TV 콘텐츠 장르 유형별 이용에 미치는 영향은 각 채널별로 특정 장르유형을 중심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채널브랜드자산이 멀티플랫폼 상에서 시청자들의 지상파TV 콘텐츠 선택 및 이용에 부분적이나마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해주며, 이는 경쟁적인 매체환경에서 방송채널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