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6.279

Effect of the Terrestrial TV's Channel Brand Equity in the Multi-Platforms Environment: Focusing on the Choice and Use of the Terrestrial TV Contents  

Oh, Mi-Young (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hat the effect of channel brand equity is in the environment of multi-platform and to raise how channel brand equity is important by investigating how terrestrial TV's channel brand equity influences viewers' choice and use of the terrestrial TV contents on the multi-platform.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terrestrial TV's channel brand equity partial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gree of use of Terrestrial TV contents on multi-platforms, but it did not on the diversity of media for viewing the terrestrial TV contents. In addition, it partially had an influence on the use of platform and service for viewing terrestrial TV contents by type. Finally, it also partially had impacts on the diversity of genre and the genre use by typ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channel brand equity can have effects on the viewers' choice and use of broadcasting contents on the multi-platforms, and thus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insights on what strategies are required for the competitiveness of broadcasting channels.
Keywords
Multi-Platform Environment; Terrestrial TV's Channel Brand Equity; Terrestrial TV Contents; Media Use; Platform Use; Genre Us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오미영, "지상파 프로그램에 대한 멀티플랫폼 이용이 지상파 채널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 이용경로의 수, 이용방식, 장르유형의 영향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30권, 제1호, pp.57-85, 2019.
2 김정현, "다채널 시대 채널 브랜드의 관리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10권, pp.169-189, 2003.
3 김정현, 김자경, "소비자 관점에서 국내 텔레비전 채널의 브랜드 자산측정 :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한 조사 연구," 광고연구, 제63호, pp.331-360, 2004.
4 김여라, "텔레비전 시청자의 채널브랜드자산 평가가 뉴스 신뢰도, 선호도 및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3권, 제6호, pp.87-125, 2009.
5 김지수, 최양수, "TV 메인뉴스 시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탬색적 연구," 사회과학논집, 제47권, 제1호, pp.194-217, 2016.
6 강지현, 양걸, 송정명, 전익기, "케이블TV 스포츠채널의 채널브랜드자산이 광고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1권, 제1호, pp.429-439, 2012.
7 임정수, "텔레비전을 떠난 지상파 콘텐츠: 수용자 선택과 이용을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제47권, 제2호, pp.74-99, 2010.
8 강남준, 조성동, "방송 프로그램의 크로스플랫폼 시청행위 측정을 위한 방법론적 제언,"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3호, pp.7-45, 2011.
9 황주성, "지상파TV 시청방식에 따른 집단 간 특성 비교: 인구학적 속성과 미디어 이용을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연구, 제21권, 제2호, pp.19-56, 2014.
10 이현우, 오형일, "지상파 콘텐츠 시청서비스 조합유형 분석," 한국방송학보, 제27권, 제4호, pp.251-293, 2013.
11 J. G. Webster and J. J. Wakeshlag, "A Theory of Television Program Choice," Communication Research, Vol.10, No.4, pp.430-446, 1983.   DOI
12 심미선, "지상파방송의 편성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7권, 제4호, pp.37-75, 2003.
13 D. A. Fergerson and E. M. Perse, "The Worldwide Web as a Functional Alternative to Televis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4, No.2, pp.155-174, 1993.   DOI
14 이준웅, 김은미, 심미선, "시청자 프로그램 평가가 채널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 경쟁적 방송환경에서 공영방송 편성전략을 위한 이론적 모형 검증," 방송연구, 여름호, pp.273-304, 2003.
15 방송통신위원회, 2017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2017.
16 신상기, "스마트 미디어시대 지상파 방송 콘텐츠의 경쟁력 확보 방안 연구-한국 지상파 방송사를 중심으로," 영상문화콘텐츠연구, 제15권, pp.177-208, 2012.
17 S. Chan-Olmsted, "The PBS Brand versus Cable Brand: Assessing the Brand Image of Public Television in a Multichannel Environment,"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6, No.2, pp.300-320, 2006.   DOI
18 D. A. Aaker, Building Strong Brands, New York, The Free Press, 한국상표자료센터 역. 강력한 브랜드 구축, 서울, KOTIC (한국상표자료센터), 1996.
19 김정현, "다채널 시대 채널 브랜드의 관리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10권, pp.169-189, 2003
20 오미영, 전형연, "채널브랜드자산 척도개발 및 평가에 관한 연구: 케이블TV채널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8권, 제4호, pp.128-165, 2006.
21 김여라, "텔레비전 시청자의 채널브랜드자산 평가가 뉴스 신뢰도, 선호도 및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3권, 제6호, pp.87-125, 2009.
22 심미선, 김은미, 이준웅, "지상파텔레비전의 채널 별장르인지도, 채널별 시청량, 프로그램 평가가 채널브랜드자산 및 채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49권, 제3호, pp.153-180, 2005.
23 심성욱, 민정선, 신일기, "채널 브랜드 개성과 채널 평판이 채널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중파 채널과 케이블 채널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18권, 제5호, pp.191-208, 2007.
24 이준웅, 김은미, 심미선, "시청자 프로그램평가가 채널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 경쟁적 방송환경에서 공영방송 편성전략을 위한 이론적 모형 검증," 방송연구, 여름호, pp.273-304. 2003.
25 심미선, 김은미, 이준웅, "지상파 텔레비전의 채널 별장르인지도, 채널별 시청량, 프로그램 평가가 채널브랜드자산 및 채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49권, 제3호, pp.153-180, 2005.
26 심미선, "융합매체환경에서의 장르이용에 관한 연구: 지상파와 케이블을 중심으로," 방송연구, 겨울호, pp.175-220, 2007.
27 K. V. Rees and K. V. Eijck, "Media Repertoires of Selective Audiences: the Impact of Status, Gender, and Age on Media Use," Poetics, Vol.31, No.5-6, pp.465-490, 2003.   DOI
28 심미선, "융합매체환경에서의 장르이용에 관한 연구: 지상파와 케이블을 중심으로," 방송연구, 겨울호, pp.175-220, 2007.
29 이찬구, 이종영, 성지연, "다매체 시대, 군집 유형에 따른 미디어 이용방식에 관한 연구-상대적 미디어 이용지수를 이용하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6권, 제3호, pp.201-242, 2009.
30 이현우, 오형일. "지상파 콘텐츠 시청서비스 조합유형 분석," 한국방송학보, 제7권, 제4호, pp.251-293, 2013.
31 임정수, "텔레비전을 떠난 지상파 컨텐츠: 수용자 선택과 이용을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제47권, 제2호, pp.74-99, 2010.
32 이광훈, "다이어리 자료를 이용한 N스크린 방송서비스 이용 행태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 제21권, 제3호, pp.1-21, 2014.
33 이찬구, 이종영, 성지연, "다매체 시대, 군집 유형에 따른 미디어 이용방식에 관한 연구" 상대적 미디어 이용지수를 이용하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6권, 제3호, pp.201-242, 2009.
34 박유리, "방송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매체 및 채널선택 분석," KISDI 이슈리포트, pp.10-12, 2010.
35 오미영, "지상파 프로그램에 대한 멀티플랫폼 이용이 지상파 채널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 이용경로의 수, 이용방식, 장르유형의 영향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30권, 제1호, pp.57-85, 2019.
36 김정현, "다채널 시대 채널 브랜드의 관리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10권, pp.169-189, 2003.
37 D. J. Loden, egabrands. Homewood, IL,: Business One Irwin. 1992.
38 T. M. Todreas, alue Creation and Branding in Television's Digital Age. Westport, Connecticut: Quorum Books. 1999.
39 D. A. Fergerson, "Channel Repertory in the Presence of Remote Control Devices, VCRs, Cable Television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 38, pp. 35-47. 1992.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