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enre-specific Cultivation Effects of TV Programs: Cultivating Viewers' Citizenship and Value Attitudes

텔레비전 시청 장르별 시민성 및 가치관 계발 효과의 차이

  • 나은경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 Received : 2013.06.17
  • Accepted : 2013.07.01
  • Published : 2013.07.28

Abstract

In this media convergence era when the 'hybrid' genres increase, it has been important to explore distinguishing genre-specific effects of contents use. This study revealed that news, current affairs/talk, and documentary genres respectively produces opposite directions of influences on values; likewise, drama and reality genres also respectively produces differentiated impact on values and social trust. Drama viewing itself shows contrary patterns on civic attitude, i. e., positive relationship with social trust while negative with tolerance.

다매체다채널 및 미디어 융합 환경에서 콘텐츠를 형성하는 프로그램들의 유형과 성격들도 변화하는 가운데, 미디어 이용을 오락과 정보로 양분화하던 전통적 연구모형이 근래의 미디어 환경에서도 적절한가 탐구해볼 시점이다. 더욱이 오락 프로그램에 리얼리티 성격을 가미한 혼종 장르가 주요한 경향을 이루고 있는 현재 국내 상황에서 보다 세분화된 장르별 이용의 차별적인 효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 과거에 동일한 '정보'적 프로그램으로 간주되었던 뉴스와 시사토론, 교양다큐의 각 장르는 전통고수 및 성공지향의 가치관 계발에 관한 한 서로 상반되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마찬가지로, 과거에 동일한 '오락'적 프로그램으로 간주되었던 드라마와 리얼리티 장르 역시 가치관 계발 및 사회신뢰에 서로 구별되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드라마 시청은 사회신뢰에는 정적으로, 관용에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등 동일한 장르마저 시민성의 속성에 따라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나은경, 김도연, "리얼리티 표방 TV 프로그램 장르의 문화계발 효과: 현실유사성 인식의 매개와 숙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57권, pp.181-201, 2012.
  2. 홍숙영, "가상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호, pp.202-212,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202
  3. M. E. Grabe and D. G. Drew, "Crime cultivation: Comparisons across media genres and channel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51, No.1, pp.147-171, 2007. https://doi.org/10.1080/08838150701308143
  4. W. T. Bielby and D. D. Bielby, "All hits are flukes: Institutionalized decision making and the rhetoric of network prime-time program development,"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99, No.5, pp.1287-1313, 1994. https://doi.org/10.1086/230412
  5. S. Neale, "Genre and television," In G. Creeber (Ed.) The television genre book, London: Palgrave Macmillan, 2008.
  6. R. P. Hawkins and S. Pingree, "Uniform messages and habitual viewing: Unnecessary assumptions in social reality effect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7, pp.291-301, 1981. https://doi.org/10.1111/j.1468-2958.1981.tb00576.x
  7. C. Lee and J. Niederdeppe, "Genre-specific cultivation effects: Lagged associations between overall TV viewing, local TV news viewing and fatalistic beliefs about cancer prevention," Communication Research, Vol.3, No.6, pp.731-753, 2011.
  8. S. Eschholz, T. Chirico, and M. Gertz, "Television and fear of crime: Program types, audience trai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neighborhood racial composition," Social Problems, Vol.50, No.3, pp.395-415, 2003. https://doi.org/10.1525/sp.2003.50.3.395
  9. D. Romer, K. H. Jamieson, and S. Aday, "Television news and the cultivation of fear of crime," Journal of Communication, Vol.3, No.1, pp.88-104, 2003.
  10. L. B. Snyder and R. A. Rouse, "The media can have more than an impersonal impact: The case of AIDS risk perception and behavior," Health Communication, Vol.7, pp.125-145, 1995. https://doi.org/10.1207/s15327027hc0702_3
  11. R. P. Hawkins, S. Pingree, J. Hitchon, B. W. Gorham, P. Kannaovakun, and E. Gilligan, "Predicting selection and activity in television genre viewing," Media Psychology, Vol.3, pp.237-263, 2001. https://doi.org/10.1207/S1532785XMEP0303_02
  12. E. Katz, J. G. Blumler, and M. Gurevitch, "Uses and gratification research," Public Opinion Quarterly, Vol.37, pp.509-523, 1973. https://doi.org/10.1086/268109
  13. M. D. Slater, "Persuasion processes across receiver goals and message genres," Communication Theory, Vol.7, pp.125-148, 1997. https://doi.org/10.1111/j.1468-2885.1997.tb00145.x
  14. S. P. Winch, Mapping the cultural space of journalism: How journalists distinguish news from entertainment, Westport, CT: Praeger Publishers, 1997.
  15. 김은미, 조성동, "텔레비전과 사회자본: TV시청 이 시민규범, 사회신뢰,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한 논의", 한국언론학보, 제56권, 제1호, pp.105-131, 2012.
  16. 조성동, 나은경, "매체의 이용 장르와 기능이 정 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정치참여에 대한 정치심 리 및 사회자본 변인의 역할을 고려하여",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1호, pp.242-286, 2011.
  17. J. C. Besley, "The role of entertainment television and its interactions with individual values in explaining political participation," The Harvard International Journal of Press/Politics, Vol.11, No.2, pp.41-63, 2006. https://doi.org/10.1177/1081180X06286702
  18. J. C. Besley, "Madia use and human values,"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85, No.2, pp.311-330, 2008. https://doi.org/10.1177/107769900808500206
  19. K. L. Cherry, Reality TV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erception, A dissertation presented at the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2008.
  20. S. H. Schwartz, A proposal for measuring value orientations across nations, Vol.17, 2003(2).
  21. 나은영, 차유리,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 추이: 1979년, 1998년 및 2010년의 조사 결과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제24권, 제4호, pp.63-93,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