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tional convergence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5초

간호사의 세대 차이에 관한 연구 -직업가치관과 직무열의를 중심으로- (Generational Differences between Nurses Focus on Work Value and Job Engagement)

  • 안성미;이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199-210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사 세대별 직업가치관과 직무열의의 차이를 확인하고, 직업가치관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간호사 25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간호사 세대별 직업에 대한 가치관과 직무열의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직업가치관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간호사들은 직업생활에서 경제적 보상, 고용안정성과 쾌적한 근무환경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자율성을 포함하는 자유 재량권, 승진기회 그리고 사회적 기여를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세대별 차이에서 Y-세대와 Z-세대는 X-세대에 비해 일의 흥미와 시간적 여유에 높은 가치를 두었고,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가치관의 세부요인은 사회적 기여가, 직업가치관 외 요인으로는 전반적인 건강상태, 업무에 대한 육체적 부담감, 우울로 파악되었다. 세대별 직업가치관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X-세대는 사회적 기여가, Y-세대는 사회적 인정이, Z-세대는 시간적 여유와 자아실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세대별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다양한 세대가 함께 일하는 간호조직에서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정책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그 의의가 있다.

간호사의 삶에 대한 가치관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대에 따른 차이 (Generational Differences in Values of Life and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among Korean nurses)

  • 이현숙;김영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217-228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사 세대별 삶에 대한 가치관의 차이를 확인하고, 간호사 세대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X-세대, Y-세대, Z-세대 간호사 29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간호사 세대별 가치관의 차이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X-세대와 Y-세대 간호사들은 삶에서 가족생활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생각하였고, 그 다음으로 X-세대는 일을, Y-세대 간호사는 여가시간을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하였다. 반면, Z-세대 간호사들은 삶에서 여가시간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하였다. X-세대와 Y-세대 간호사들은 직업생활에서 우울과 심리적 부담감이, Z-세대 간호사는 일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이 이직의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각 간호사 세대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다름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세대가 함께 일하는 간호조직에서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정책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그 의의가 있다.

한국인의 세대별 복지태도지형 탐색 연구 (A Exploratory Study on Topography of The Welfare Attitudes among Korean People by Generation)

  • 김신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189-193
    • /
    • 2021
  • 이 연구는 한국인의 세대별 복지태도 지형에 대한 탐색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현재를 살아가는 한국인이 가지는 복지에 대한 태도 측면이 세대에 의해 어떻게 분화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묘사하는 데 집중하고자 한다. 분산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복지지출 확대에 대한지지', '사회서비스 대상(보편 vs 선별)', '교육지출 확대', '주거지원 확대', '양육 및 보육 지원', '청년사회활동지원', '실업 및 고용지원'에서 세대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비교(post hoc comparison)분석에 따르면, 모든 변수들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20-30대'와 '60대 이상' 집단 간의 차이에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응일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사회문제 해결의 1순위'의 경우 '20-30대'는 '양육 및 보육', '실업문제', 주거문제'와 근접성을 보이고 있으며, '60세 이상' 세대는 '빈곤문제'와 '노후생활문제', 그리고 '장애인문제'와 근접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문제 해결의 2순위'의 경우, '20-30대'는 '양육 및 보육',과 '주거문제'와 근접성을 보이고 있으며, '40-50대'는 '빈곤문제'와 '노후생활문제', '60세 이상' 세대는 '건강 및 의료문제' 및 '장애인문제'와 근접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텔기업의 조직문화와 세대 갈등,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M세대, Z세대 차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generati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tel companies : Focusing on M Generation and Z Generation Differences)

  • 김명용;심주리;강정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643-650
    • /
    • 2024
  • 현재 한국은 구인난과 구직난이 공존하는 모순된 상황을 겪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퇴직자들은 상사/동료와의 갈등과 조직문화 불만족을 가장 큰 퇴사원인으로 삼고 있으며, 이는 특히 MZ세대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학자들은 MZ세대의 조직문화와 다른 변수간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선행연구들을 진행하여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은 MZ세대를 하나의 그룹으로 보는 MZ세대론을 바탕으로 진행되어 두 세대를 구분하여야 한다는 실무자들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호텔기업 종사원을 M세대와 Z세대로 구분하여 두 집단간 변수간 영향관계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M세대 170명, Z세대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AMOS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모든 세대에게 위계지향문화와 세대갈등이 유의한정의 관계에 있으며, 세대갈등은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M세대는 관계지향문화가 세대갈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Z세대에서는 영향관계가 없는 것과 같은 차이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M세대와 Z세대간 영향관계 차이를 파악할 수 있었다.

사회복지사 근로실태 경험과 인식 비교 분석 : 세대간 차이점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Work Status of Social Workers : Focusing on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 이방미;윤재영;서동명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233-241
    • /
    • 2024
  • 본 연구는 코로나 발생 이후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변화 중 '세대 간 차이'를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고 이들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경험과 인식, 사회복지사의 요구사항 등 2개의 영역에서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되었다. 세대별로 20대는 현재의 근무환경, 서울시 및 서울시사회복지사협회에 대한 요구와 관련된 진술이 많았고, 40~50대는 근무환경에 대한 언급은 많았지만 서울시와 서울시사회복지사협회에 대한 요구는 적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실천적·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낮은 보수수준과 근무여건 및 환경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사에게 안전한 업무환경이 필요하다. 셋째, 변화된 사회복지사의 인식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여기에 맞추는 노력이 필요하다.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Satisfaction for The Generational Integration Programs

  • Mi-Hwa JANG;Woo-Sik LEE
    • 웰빙융합연구
    • /
    • 제7권2호
    • /
    • pp.13-21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is to expand the role of local senior welfare centers as a place for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by analyzing the intergenerational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the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program.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empirical study conducted a survey on 205 participants (114 seniors, 91 teenagers) of the generation integration program being implemented at a senior welfare center located in Seoul. Results: Regarding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the generation integration program, both the elderly and youth showed that the more contact they had between generation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In the case of the elderly, the bett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older the respondent, and the lower the educational level, the higher the satisfaction, and the more frequently they met youth,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the longer the youth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weaker their negative emotions toward the elderly, and the higher the degree of visits to grandparents,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Conclusions: The biggest determinant of satisfaction with the generational integration program at senior welfare centers is the intensity and frequency of contact between the elderly and youth generations.

한국인의 세대 판별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복지태도와 가치관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upon The Factors for Discriminating Generations: Focusing on Welfare Attitudes Values on Social Issues)

  • 김신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169-174
    • /
    • 2024
  • 이 연구는 한국인의 연령집단 또는 세대를 구분하는데 기여하는 요인을 밝혀보고자 한다. 주된 관심을 가지고 분석에 투입한 변수는 응답자의 복지에 대한 태도이나, 그 밖에도 정치적 성향, 형평의식, 교육수준, 한국사회의 불평등에 대한 인식, 세금에 대한 인식, 그리고 건강상태 등의 변수들도 모형에 함께 투입되었으며, 따라서 이 연구는 일종의 탐색연구라고 할 수 있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2022년도 수집된 한국복지패널 17년차 년도 자료이며 선형판별분석기법이 활용될 것이다. 연구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세대구분에 대한 이론적 검토가 과거 국내외 문헌을 통해 진행될 것이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세대구분에 의미있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계량연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주관에 의해 세대구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즉 세대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날 것으로 추정되는 정치적 성향과 가치관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진행할 것이다. 가치관에 대한 검토에서 복지에 대한 인식과 태도 등이 논의 될 것이다. 다음으로, 분석 모형, 분석기법, 그리고 분석에 투입될 변수가 소개될 것이다. 분석결과의 제시 및 요약 후 이론적 및 방법론적 제언을 수행하고자 한다.

The Influence of Service Scape in Franchise Fast Food Restaurants on the Attitudes and Revisit Intentions of the MZ Generation

  • Moo-Ung SON;Seunghyeon LEE;Seong Soo CHA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10권4호
    • /
    • pp.1-8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servicescape elements in franchise fast food restaurants on the attitudes and revisit intentions of Generation MZ. Employing a mixed-methods approach, we surveyed 231 MZ consumers across five major urban centers. Our findings reveal that ambient conditions, spatial layout, and technology integration significantly influence MZ consumers' perceptions and behaviors. Specifically, sustainability-oriented design, customizable spaces, and seamless digital integration emerged as key drivers of positive attitudes and increased revisit intentions. Furthermore, we identify important generational differences, with Gen Z placing higher importance on Instagram-worthy aesthetics and contactless service options compared to Millennial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servicescape theory by proposing a novel framework tailored to MZ consumers in the fast food context. It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for franchise operators seeking to attract and retain this crucial demographic. Our study highlights the evolving preferences of younger consumers and underscores the need for adaptable servicescape strategies in the fast food industry. The results suggest that franchises investing in environmentally conscious designs, flexible spaces, and cutting-edge technology are likely to see improved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among MZ consumers. Future research could explore the long-term effects of these servicescape elements on brand perception and market share within the competitive fast food landscape.

퍼지 추론 기반의 유전알고리즘 선택 연산자 (Fuzzy Reasoning based Selection Operator for Genetic Algorithm)

  • 서기성;현수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16-121
    • /
    • 2008
  • 본 논문은 퍼지추론을 통해 개체의 유사성과 적합도의 종합적 평가를 이용한 유전알고리즘의 선택연산자를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적합도에 의한 선택 방법에 비해서 유사성에 대한 요소를 추가함으로써 조기에 수렴하는 현상의 감소와 성능향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세대형(generational)에서 점진형(steady-state)으로 진화 수행방식의 변형을 통해 보조적인 향상을 제공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을 f3deceptive 와 f5trap 등의 기만적 문제에 대해서 실험하였으며, 다른 연산자를 이용한 결과에 비하여 우수한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Revolutionizing Elderly Care in Korea: A Deep Dive into the 'Nomad Silver' Generation's Hospital Needs

  • Yoo, Seungchul;Tunas Puentes, Sofia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3권1호
    • /
    • pp.122-128
    • /
    • 2024
  • This study delves into the unique transformation of South Korea's elderly population, distinctively termed 'Nomad Silver'. Characterized by individuals aged 65 and above who actively seek novel experiences and embrace new activities, this demographic shift signifies a departure from traditional perceptions of the elderly. The Nomad Silver cohort, distinguished by their significant economic influence and evolving needs, necessitates a tailored approach to healthcare services. This paper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comprehending both the fundamental biological needs and the personalized desires of the Nomad Silver, aiming to enhance their satisfaction and overall well-being. Hospitals, in response, should innovate their services to resonate with the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ets of this age group. Consequently, the paper proposes a four-pronged strategy for hospitals to adapt: comprehensive healthcare provision, patient-centric service development, senior health education coupled with community engagement, and establishing a generational bridge hub. Furthermore, the paper posits that catering to the Nomad Silver not only promises substantial financial gains for hospitals but also fosters new business opportunities across various se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