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2

검색결과 55,966건 처리시간 0.063초

SOME PROPERTIES OF TENSOR CENTRE OF GROUPS

  • Moghaddam, Mohammad Reza R.;Niroomand, Payman;Jafari, S. Hadi
    • 대한수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49-256
    • /
    • 2009
  • Let $G{\otimes}G$ be the tensor square of a group G. The set of all elements a in G such that $a{\otimes}g\;=\;1_{\otimes}$, for all g in G, is called the tensor centre of G and denoted by $Z^{\otimes}^$(G). In this paper some properties of the tensor centre of G are obtained and the capability of the pair of groups (G, G') is determined. Finally, the structure of $J_2$(G) will be described, where $J_2$(G) is the kernel of the map $\kappa$ : $G{\otimes}\;{\rightarrow}\;G'$.

ON THE FIXING NUMBER OF FUNCTIGRAPHS

  • Fazil, Muhammad;Javaid, Imran;Murtaza, Muhammad
    • 대한수학회보
    • /
    • 제58권1호
    • /
    • pp.171-181
    • /
    • 2021
  • The fixing number of a graph G is the smallest order of a subset S of its vertex set V (G) such that the stabilizer of S in G, ��S(G) is trivial. Let G1 and G2 be the disjoint copies of a graph G, and let g : V (G1) → V (G2) be a function. A functigraph FG consists of the vertex set V (G1) ∪ V (G2) and the edge set E(G1) ∪ E(G2) ∪ {uv : v = g(u)}. In this paper, we study the behavior of fixing number in passing from G to FG and find its sharp lower and upper bounds. We also study the fixing number of functigraphs of some well known families of graphs like complete graphs, trees and join graphs.

제주지역 중학생의 총당류 섭취실태 연구 (A study of total sugar intake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Jeju Province)

  • 고양숙;김은미;채인숙;이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3호
    • /
    • pp.248-257
    • /
    • 2015
  • 본 연구는 제주지역 중학생 1,184명 (남학생 476명, 여학생 708명)에게 24시간 회상법으로 식사조사를 하여 총당류 섭취량을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1일 총당류 섭취량은 전체 60.3 g, 남학생 50.5 g, 여학생 66.9 g으로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1일 총당류 섭취량 중 각 개별 당류가 차지하는 비중은 서당 (23.9 g) > 포도당 (12.9 g) > 과당 (12.3 g) > 유당 (6.0 g) > 맥아당 (3.3 g)의 순이었다. 2. 끼니별 1일 총당류 섭취량은 아침 6.5g, 점심 9.0g, 저녁 11.8 g, 간식 33.0 g으로 간식에서 섭취하는 양이 가장 많았다. 식품군별 1일 총당류 섭취량은 곡류 (23.0 g) > 우유류 (11.0 g) > 과일류 (7.3 g) > 당류 (6.1 g) > 채소류 (5.8 g)의 순으로 높았다. 음식종류별 1일 총당류 섭취량은 빵 과자류 (11.5 g) >면류 (10.2 g) > 유제품류 (7.5 g) > 빙과류 (6.2 g) > 음료류 (5.3 g) > 과일류 (4.5 g) > 튀김류 (3.2 g)의 순이었다. 3. 조사대상자의 1일 총당류 섭취량 60.3 g 중 천연당은 18.3 g (30.3%), 첨가당은 35.8 g (59.4%), 혼합당은 6.2 g (10.3%) 이었다. 총당류에서 얻는 열량비율이 20% 이상인 고당류섭취군은 20% 미만인 사람에 비해 탄수화물, 칼슘, 비타민 B1, B2, C의 섭취량은 유의하게 높은 반면 철, 아연, 니아신, 비타민 B6, 비타민 E 섭취량은 유의하게 낮았다. 단맛선호군은 단맛저선호군에 비해 열량, 탄수화물 및 총 당류섭취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제주지역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1일 평균 총당류 섭취량은 60.3 g이었고, 이중 첨가당으로 인한 섭취가 59.4%로 가장 많았으며, 간식으로부터 섭취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중학생의 총당류 섭취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올바른 간식 식품선택에 대한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APPLICATIONS OF THE SCHWARZ LEMMA RELATED TO BOUNDARY POINTS

  • Bulent Nafi Ornek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B:순수및응용수학
    • /
    • 제30권3호
    • /
    • pp.337-345
    • /
    • 2023
  • Different versions of the boundary Schwarz lemma for the 𝒩 (𝜌) class are discussed in this study. Also, for the function g(z) = z+b2z2+b3z3+... defined in the unit disc D such that g ∈ 𝒩 (𝜌), we estimate a modulus of the angular derivative of g(z) function at the boundary point 1 ∈ 𝜕D with g'(1) = 1 + 𝜎 (1 - 𝜌), where ${\rho}={\frac{1}{n}}{\sum\limits_{i=1}^{n}}g(c_i)={\frac{g^{\prime}(c_1)+g^{\prime}(c_2)+{\ldots}+g^{\prime}(c_n)}{n}}{\in}g^{\prime}(D)$ and 𝜌≠1, 𝜎 > 1 and c1, c2, ..., cn ∈ 𝜕D. That is, we shall give an estimate below |g"(1)| according to the first nonzero Taylor coefficient of about two zeros, namely z = 0 and z ≠ 0. Estimating is made by using the arithmetic average of n different derivatives g'(c1), g'(c2), ..., g'(cn).

칼슘알긴산비드에 의한 염분의 흡착특성 (Characteristics of Salt Adsorption by Calcium Alginate Beads)

  • 방병호;서정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9-96
    • /
    • 2002
  • Ca-alginate bead로 소금의 흡착에 미치는 영향조건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a-alginate beads에 의한 소금 흡착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10분 후4.0g으로 최고의 흡착량을 나타내었다. 0.2M CaCl$_2$, 0.2M BaCl$_2$, 0.2M FeCl$_3$및 0.2M MgCl$_2$등의 경화용액으로 조제한 bead에 의한 소금 흡착량은 Fe-alginate beads가 5.6g으로 제일 높았으나 bead가 쉽게 부서지는 단점이 있었고, MgCl$_2$용액으로는 bead가 만들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0.2M CaCl$_2$, 0.2M BaCl$_2$및 0.2M SrCl$_2$용액으로 만든 bead는 각각 4.2g 정도의 대등한 흡착량을 나타내었다. CaCl$_2$경화 용액이 0.1M, 0.2M 및 1M 일때 소금 흡착량은 각각 4.8g, 4.2g 및 4.1g으로 나타났다. Alginate의 농도를0.6%, 1% 그리고 2%로 하여 제조한 비드로 소금 흡착량은 2.8g, 4.0g, 4.4g으로 각각 나타났으며, 그리고 bead의 크기를 각각 2.5mm, 3.5mm 그리고 4.5mm로 제조하여 소금의 흡착량을 살펴본 결과 각 크기별 모두 4.0~4.2g로 차이가 없었다. 초기 소금의 농도 4%, 8%, 12%그리고 16%에서, 각각 소금의 흡착율은 30%, 28%, 27% 그리고 25%이었으며, pH에 따른 염분의 흡탁율은 산성(pH 4.0) 및 중성(pH 6.8) 영역에서 보다는 염기성(pH 10.0)에서 더 높았다. 된장으로부터 내염성 세균을 분리한 후 alginate로 고정화한 beads와 비고정화한 bead와의 염분 흡착량은 고정화한 bead에 의한 염분 초기흡착속도가 보다 낮았으며, Ca-alginate bead 제조시 경화용액에 머무는 시간이 길수록 염분 흡착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회 사용한 bead를 증류수에 하루 동안 방치 후 이 bead를 재이용 함에 따라 염분 흡착량은 점점 감소하였다. 시료를 된장으로 하여 0시간, 3시간, 6시간, 12시간 및 24시간 후 소금 흡착율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더불어 증가하였다. 또한 소금이 감소된 된장의 pH를 측정한 결과, 4.90, 5.00, 5.01, 5.02, 그리고 5.03이였으며, 적정산도는 0.1N-NaOH 소모량이 4ml, 3.4ml, 3.2ml, 3.0ml 그리고 3.0 ml이었다. 저염 된장의 아미노태 질소를 적정 한 결과, 원료 된장이 840mg/된장 100g, 740mg/된장 100g, 630mg/된장 100g, 그리고 530mg/된장 100g으로 줄어들었다. 각 시료별 염분 흡착율은 된장이 다른 시료(Doengjang 100%, Kochujang 86%, Soy-sauce 78% and Jeotkal 71%) 보다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에리스리톨 생산 균주인 Moniliella suaveolens var. nigra를 이용한 배지 및 발효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Medium and Fermentation Conditions with Erythritol Producing Moniliella suaveolens var. nigra)

  • 최병욱;박홍우
    • KSBB Journal
    • /
    • 제14권5호
    • /
    • pp.628-632
    • /
    • 1999
  • 에리스리톨을 산업적으로 대량생산하기 위해서는 에리스리톨의 생산성을 높이고 부산물인 글리세롤의 생성을 억제하는 배지 및 발효 공정의 최적화가 필요하다. 에리스리톨 생성을 위한 최적 탄소원은 포도당이고 최적 농도는 400 g/L이며 최적 온도는 3$0^{\circ}C$였으며 이 때 산소는 과잉으로 공급해 주어야 함을 알았다. 에리스리톨의 수율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기고 배지가격을 줄이기 위해 효모 추출물의 사용을 5 g/L에서 3 g/L로 줄이고 urea 2.72g/L$K_2HPO_4$ 1.79 g/L, MgSO$_4$. $7H_2O$ 0.18 g/L를 첨가해 줌으로써 에리스리톨 수율을 31.4%에서 45.2%로 에리스리톨 생산성을 0.747 g/L/h에서 1.071 g/L/h로 향상시켰다. 또한 글리세롤의 생산량도 96.6 g/L에서 45.7 g/L로 줄었다. 이 최적 배지를 바탕으로 5L 발효기에서의 재현성과 pH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한 결과 pH를 조절한 경우에 에리스리톨 생산성이 낮아졌다. 5L 발효에서는 다량의 거품이 발생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 PDF

HPLC에 의한 aflatoxin 분석법에 관한 연구 형광 및 자외선 흡광 검출의 비교 (Determination of Aflatoxin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Fluorescence or UV Absorbence Detection)

  • 김종규;강회양;민경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6-44
    • /
    • 1996
  • A comparison was made of two detection methods(UV absorbence detection and fluorescence detection with pre-column derivatization, with trifluoroacetic acid) coupled with HPLC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aflatoxin $B_1, B_2, G_1$ and $G_2$. A good separation of the four aflatoxins was achieved on a reversed-phase $C_{18}$ column (30 cm x 3.9 mm) with methanol-acetonitrile-water(20+20+60) for absorbence detection or acetonitrile-water(25+75) for fluorescence detection at the flow rate of 1.0 ml/min. The calibration graphs were linear over the ranges 100 ppb-1 ppm for $B_1/G_1$ and 30~300 ppb for $B_2/G_1$ with absorbence detection, and 1~500 ppb for $B_1/G_1$ and 0.3~150 ppb for $B_2/G_2$ with fluorescence detec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greater than 0.94 and 0.99 for absorbance detection and for fluorescence detection, respectively. The detection limit was 100 ng for $B_1/G_1$ and 30 ng for $B_2/G_2$ with absorbence detection, and 1 ng for $B_1/G_1$ and 0.3 ng for $B_2/G_2$ with fluorescence detection. Recovery rates of aflatoxin $B_1, B_2, G_1$ and $G_2$ added to yeast-extract sucrose broth medium were 66.6%, 59.4%, 67.5% and 59.2%, respectively, for absorbence detection and 82.9%, 71.5%, 80.0% and 69.3%, respectively, for fluorescence detection. The four aflatoxins in culture medium were quantitatively detected by the two methods. The aflatoxins in the rice sample were not detected the absorbence detection method, but were below 10 ppb using the fluorescence detection method. Analysis of aflatoxins by both the absorbence and fluorescence methods coupled with HPLC showed acceptable linearity and good recovery. The absorbence detection was less timeconsuming and safer for treatment. The fluorescence detection was more elective and sensitive though elevated $B_1$ and $G_1$ contents were determined from the TFA-induced conversion of $B_1$ to $B_{2a}$ and $G_1$ to $G_{2a}$.

  • PDF

신경학적 이상이 동반된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 환아에서의 로타바이러스 유전형 (Genotype of rotavirus isolated from patients with rotaviral enteritis and neurological complications)

  • 최재형;김정미;김용주;오재원;김창렬;염명걸;설인준;강정옥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5호
    • /
    • pp.513-518
    • /
    • 2006
  •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 환아에서 신경학적 이상이 동반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여 로타 바이러스 유전형의 분포와 빈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 환아에서 로타바이러스 유전형을 밝힌 82례 중 71례는 신경학적 이상이 동반되지 않았으며 11례에서 신경학적 이상이 동반되었다. 4군의 G형과 4군의 P형이 reverse transcription,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 과 : 신경학적 이상이 동반되지 않은 군에서는 G4, G3, G2, G1형이 각각 24(35.3%), 23(33.8%), 17(25.0%), 4(5.6%)로, P6, P4, P8, P9형이 각각 26(36.1%), 23(31.9%), 22(30.6%), 1(1.4%)로 보고되었다. 또한 조합형으로 G2P4, G4P6이 가장 흔하게 관찰되었다. 신경학적 이상이 동반된 군에서는 G2, G3, G4형이 각각 9(75.0%), 2(16.7%), 1(8.3%)로, P4, P6, P8, P9형이 각각 8(66.7%), 2(16.7%), 1(8.3%), 1(8.3%)로 보고되었다. 또한 조합형으로 G2P4가 가장 흔하게 관찰되었다. 신경학적 이상이 있는 군에서 G2, P4, G2P4의 빈도는 신경학적 이상이 없는 군에 비해 그 빈도가 의미있게 높았다. 결 론 :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 환아에서 신경학적 이상이 동반된 경우, 신경학적 이상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에 비교하여 G1형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G2, P4, G2P4형이 더 흔하게 관찰되었다.

그룹 G상의 일반화된 하다마드 행렬을 이용한 \ulcorner 상의 일반화된 하다마드 행렬의 확장 (Expanding Generalized Hadamard Matrices over Gm by Using Generalized Hadamard Matrices over G)

  • 노종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0A호
    • /
    • pp.1560-1565
    • /
    • 2000
  • Over an additive abelian group G of order g and for a given positive integer λ, a generalized Hadamard matrix GF(g,λ) is defined as a gλ$\times$gλ matrix [h(i,j)] where 1$\leq$i$\leq$gλ,1$\leq$j$\leq$gλ, such that every element of G appears exactly λ times in the list h(i$_1$,1)-h(i$_2$,1), h(i$_1$,2)-h(i$_2$,2),...,h(i$_1$,gλ)-h(i$_2$, gλ) for any i$\neq$j.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of expanding a GH(\ulcorner,λ$_1$) = B = \ulcorner over G by replacing each of its m-tuple \ulcorner with \ulcorner GH(g,λ$_2$) where m=gλ$_2$. We may use \ulcornerλ$_1$(not necessarily all distinct) GH(g,λ$_2$)'s for the substitution and the resulting matrix is defined over the group of order g.

  • PDF

Spreadable 돼지 간제품의 영양학적 품질 (An Analysis of the Nutritional Quality of Spreadable Liver Product)

  • 김영붕;전기홍;이남혁;이현정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1-26
    • /
    • 2008
  • 본 연구는 돼지 간을 이용한 spreadable liver product의 영양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원료용 간의 수분함량은 70.5%, 단백질 20.3%, 지방 5.2%, 회분 1.2%의 결과를 보였다. 또한 제품의 수분함량은 55.3%, 단백질 19.4%, 조지방 21.6%, 조회분 3.7%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함량은 원료용 간이 18.69 g/100 g이었으며 그 중 glutamic acid가 2.57 g/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제품에도 아미노산 총 함량은 18.03 g/100 g으로 나타났으며, glutamic acid가 2.28 g/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제품의 필수아미노산은 전체 아미노산 함량 중 42%를 차지하였다. 원료용 간에서 지방산 조성은 불포화지방산 중 oleic acid가 28.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가 20.7%로 나타났다. 제품에서는 oleic acid의 함량이 40.0%, palmitic acid가 20.4%로 나타났다. 원료용 간 및 제품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178.1 mg/100 g 및 11.8 mg/100 g로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원료용 간이 K가 362.2 mg/100 g이었으며 P의 함량은 339.1 mg/100 g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제품의 무기질 함량은 원료용 간에 비해 Na가 894.5 mg/100 g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P의 함량은 336.1 mg/100 g이며, K는 213.3 mg/100 g를 포함하였다. 그 외에도 Mg, Ca 및 Fe 등 다양한 무기질도 함유하고 있었다. 돼지 간을 이용한 spreadable liver product는 영양학적으로 매우 우수하며 가공제품으로 쉽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