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ture perception

검색결과 1,494건 처리시간 0.028초

A Future Contraction Effect in Intertemporal Choice for Durable Goods

  • Kim, Byung Kyu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20권2호
    • /
    • pp.29-40
    • /
    • 2018
  • Recent research reported that perception of future time is non-linearly scaled. That is, as objective time gets longer,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objective time does not grow proportionally. The non-linear time perception implies that the same future time feels shorter when it starts in the future than when it starts immediately. The authors call this as a future contraction effect. The current research tests two important implications of the effect regarding consumers' intertemporal preference for durable goods. First, consumers who contract future more will be more impatient for durable goods compared to those who contract less because the former would feel to use the same durable goods longer when it is purchased immediately. Second, consumers' impatience will be alleviated when their tendency to contract future is reduced. The authors find support for these predictions through two studies. Taken together, the current research demonstrates a property of time perception that has important ramifications for understanding consumers' intertemporal preference for durable goods.

부모 애착, 학습에 대한 부모참여가 아동의 미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Parental Attachment, The Impact of Parental Involvement in Learning on a Child's Perception of The Future)

  • 정영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161-16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 애착, 학습에 대한 부모참여, 아동의 미래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각 변인들이 아동의 미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아동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었다. 한국아동패널 12차년도(2019년) 자료를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고, 변수간의 상관분석을 위해 Pearson's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아동의 미래에 대한 인식에 관한 부모 애착, 학습에 대한 부모참여의 설명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애착, 학습에 대한 부모참여, 아동의 미래 인식의 모든 잠재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미래에 대한 인식에 관한 설명력은 '모' 신뢰감, '가정' 기반 참여, '부' 신뢰감, '모' 의사소통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아동이 미래를 긍정적으로 인식 하는데 있어 부모의 신뢰와 온화하고 따스한 분위기의 가정 기반 학습 참여가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미세먼지에 대한 낙관적 편향,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 미래시간 조망과 우울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optimistic bias, subjective perception, risk perception, and future-time-perspectives in terms of particulate matter and depression)

  • 임현빈;이종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41-349
    • /
    • 2020
  • 이 논문은 미세먼지에 대한 낙관적 편향과 우울 관계에서 미세먼지에 대한 주관적 인식 및 위험 인식, 미래 시간 조망의 순차 다중매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참가자 54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특성변인인 낙관적 편향을 독립변인으로, 우울을 종속 변인으로 '미세먼지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위험 인식', '미래시간조망'은 매개변인으로 설정하고 SPSS Macro를 사용하여 순차다중매개모형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낙관적 편향은 우울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보다는 미세먼지에 대한 주관적 인식, 미래시간 조망이라는 간접적인 경로를 통해 순차적으로 우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낙관성의 부족은 미세먼지 대기질을 더 심각하다고 보고하는 경향성 및 제한된 미래 시간관과 관련이 있었으며, 나아가 우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에서 미세먼지로 인한 정신건강은 물론 삶의 질에 좀 더 관심을 두고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겠다.

중학교 교장의 중등단계 직업교육 기관에 대한 인식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Middle School Principals' Perception Changes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 이병욱;김신명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53-67
    • /
    • 2017
  • 본 연구는 중등단계 직업교육 기관에 대한 중학교 교장의 과거와 현재, 미래의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여 중등단계 직업교육 기관의 인식 변화를 구명하고, 중등단계 직업교육 기관의 인식 개선을 위한 정책 지원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학교 교장 214명을 대상으로 하여 중등단계 직업교육 기관에 대한 과거와 현재, 미래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중학교 교장이 인식한 중등단계 직업교육 기관에 대한 인식은 과거보다 현재가 더 긍정적으로 변화하였고, 현재보다 미래가 더 긍정적으로 변화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5년 이후 다양한 중등단계 직업교육 정책이 직업교육의 인식 개선의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가 있음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중학교 교장의 중등단계 직업교육 기관에 대한 과거 현재 미래의 인식의 내용에 대한 순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적성과 소질을 일찍 살릴 수 있음"과 "졸업 후 학생의 경제적 자립이 빠름"과 관련된 내용에서 과거 현재 미래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동일계 대학 진학이 용이함"과 관련된 내용은 과거와 현재에서는 높은 순위로 인식하였으나, 미래에는 낮은 순위로 인식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정부의 정책의 방향에 따른 중등단계 직업교육 기관에 대한 인식도 달라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내 건설기업의 안전인식수준과 건설생산성간의 상관관계 분석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afety Perception Level of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and Construction Productivity)

  • 전상섭;오준석;손승현;손기영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47-48
    • /
    • 2019
  • Currently, the government has made a lot of efforts to improve construction productivity but there are few studies which measure between safety perception level and productivity in the South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safety perception level of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and construction productivity. To achieve the objective, first, the concept of safety perception level was defined. Second, the safety perception level and construction productivity were investigated in the case projects. Thir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safety perception level and productivity.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a high level of safety perception of executive and manager would increase construction productivity. In addition, To improve the safety perception level in the construction company, it is suggested that the provision safety resources for managements and the equal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workers and managements and the development safety education tools considering the worker's experience. In the future, these findings can be utilized to develop future evaluation tools for a safety perception level in domestic construction company.

  • PDF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 (Analysis of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Using Social Media)

  • 서현정;윤정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29-45
    • /
    • 2022
  •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일반대중들의 인식변화를 분석한다. 기후변화는 지난 반 세기 동안 주요한 사회적 문제로 지속적인 관심을 받아왔다. 코로나19 이후에도 펜데믹 출현 가능성과 함께 기후변화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한 과업으로 재조명되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전후에 나타나는 기후변화 인식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주요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2019년 3월 1일부터 2022년 2월 28일까지 총 3개년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를 가공하여 기후변화 연관어, 기후변화에 대한 감성어 등과 기후변화 대응 주체별 움직임을 포착하였다. 분석결과, 기후변화가 기후위기로 인식되는 상황에서 부정적인 인식이 지배적이었으나, 긍정적인 인식도 일정부분 상존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책이 긍정적인 인식을 이끌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기후변화에 대한 국민적 인식변화를 포착하고, 주요주체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의 변화를 포착함으로써,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업의 전략과 정부의 정책을 수립하는 데 국민적 인식을 검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교육을 대비한 정보관련 정책들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n Policies related to ICT for Future Education)

  • 임상훈;조미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21-130
    • /
    • 2016
  • 미래를 주도할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 정부는 다양한 교육정책을 실시해왔다. 교육정책의 원활한 적용을 위해서는 교육 주체인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충청북도에 근무하는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미래교육 대비 정보 관련 주요 정책인 STEAM교육, 스마트교육, 소프트웨어교육, e-교과서, 교육정보통계시스템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실태를 조사하고, 주요 교육정책 간 교사의 인식 분포는 어떠한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정책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에 대해서는 많은 교사들이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으나, 교사들의 연수 경험이나 희망 수준, 그리고 지도 준비 수준은 높지가 않았다. 또한 각 교육정책 간 교사들의 인식 분포는 서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참고하여 정부의 교육 혁신 정책이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반영되기 위한 적절한 지원 및 교육 방안이 수립되어야 하겠다.

디지털산업에 대한 시민과 산업종사자 간의 인식 차이 연구: 상호지향성 모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Digital Industry between Citizen and Industry Workers: An Application of the Co-orientation Model)

  • 노재인;한승혜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59-169
    • /
    • 2023
  • The digital industry area based on digital technology is specialized and rapidly changing. This kind of change lead to a gap of understanding arises between the digital industry and the public. The digital industry is a trend that cannot be reversed, thus efforts to reduce the gap in understanding are necessary for positive social development in the future. This study aimed to find clues to reduce the gap in understanding by measur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public and the digital industry. To measur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this study applied the mutual orientation model proposed by McLeod and Chaffee(1973), As a result of the study, both groups agreed that the digital industry would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Korean economy in the future.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ssibility of mutual misunderstanding due to different views on the digital industry.

직업에 대한 아동의 성별 고정관념의 인식 (Children's Perceptions of Occupational Sex-Stereotypes)

  • 유미숙
    • 아동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7-32
    • /
    • 1986
  •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study (1) children's sex-stereotyped perception toward adult occupations, and (2) the impact of traditional sex-stereotypes on future occupational prefer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0 children, 3 to 8 years of age enrolled in kindergatens and elementary schools. The instrument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consisted of 10 occupations which are traditionally sex-typed in Korean society. 5 male and female sex-typed occupations were selected with the participation of 200 college students. These occupations were illustrated on 10 pictorial cards, and short verbal explanations were given for each of them. It was found that: (1) Levels of children's perception of occupational sex stereotypes show that children aged five to six are marked comparatively higher than those aged three to four in the perception of occupation, children of seven to eight age indicate slightly downward; however, they are not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ose of five to six. (2) As far as levels of children'5 perception of occupational sex stereotypes aged three to four, five to six and seven to eight are concerned, interaction between age and sex was not shown significantly. Female children were more stereotyped at almost all age levels. (3) Irrespective of sex and age, all subjects were more familiar with male than with female occupations. (4) in the choice of future occupations, boys as well as girls preferred sex-stereotyped occupations for themselves. Boy's choices were more stereotyped than girls', but the number of kinds of occupations chosen by boys and by girls was not different. (5) There was an increase with age in the number of children who gave future occupational choices.

  • PDF

의상 및 의류학과 개설과목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 관한 조사 -학사 , 석사, 박사 과정학생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Students Perception of curriculum in Clothing and Textile Studies: - Based on the sample of undengraduate and postgraduate students -)

  • 김혜영
    • 복식
    • /
    • 제50권2호
    • /
    • pp.81-95
    • /
    • 2000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way the future curriculum of clothing and textile studies should be compose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 of students as consumer of university teaching. For students, who are studying in the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have academic and practical interest in this area. But they also anticipate the demand of clothing and textile market in the future in which they will work. The sample of survey research was 607 students of 20 universities. First, this study asked the students what are important areas of study at present. Majority of student answered that clothing construction and fashion design are the most important ares of clothing and textile studies. This perception of the students seems to reflect the fact that most university departments have placed importance on such subjects. Secondly, students think that fashion marketing and fashion have placed importance on such subjects . Secondly , students think that fashion marketing and fashion design should be emphasised in the future.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the current trend in the fashion industry which has gone beyond simple clothing construction to fashion design and marketing which yield higher profit than clothing construction. Although there are many other factor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mposition of future curriculum, this study shows that fashion marketing and design should be at the core of university teaching in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 stud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