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Digital Industry between Citizen and Industry Workers: An Application of the Co-orientation Model

디지털산업에 대한 시민과 산업종사자 간의 인식 차이 연구: 상호지향성 모델을 중심으로

  • 노재인 (한국인터넷기업협회 디지털경제연구원) ;
  • 한승혜 (한국인터넷기업협회 디지털경제연구원)
  • Received : 2023.07.20
  • Accepted : 2023.08.16
  • Published : 2023.08.31

Abstract

The digital industry area based on digital technology is specialized and rapidly changing. This kind of change lead to a gap of understanding arises between the digital industry and the public. The digital industry is a trend that cannot be reversed, thus efforts to reduce the gap in understanding are necessary for positive social development in the future. This study aimed to find clues to reduce the gap in understanding by measur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public and the digital industry. To measur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this study applied the mutual orientation model proposed by McLeod and Chaffee(1973), As a result of the study, both groups agreed that the digital industry would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Korean economy in the future.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ssibility of mutual misunderstanding due to different views on the digital industry.

Keywords

References

  1. 김봉철, 조병량, 이병관, "방송광고 심의제도에 대한 상호지향성 연구: 광고주․심의기구․소비자 단체 간 비교분석", 광고연구, 제62권, 2004, 161-186. 
  2. 김성환, "플랫폼 지배력에 대한 몇 가지 오해들" in 온라인 플랫폼 산업 해부(D.E.View vol.3), 서울: 한국인터넷기업협회, 2023. 
  3. 김태환, 이상용, "개인의 모바일 정보격차가 모바일 인터넷의 인지적 가치 차이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경영정보학연구, 제19권 제2호, 2017, 159-183.  https://doi.org/10.14329/isr.2017.19.2.159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 2022. 
  5. 권호중, 민대환, "비대면 근무에 대한 인식 비교 후속 연구: 근로자와 관리자의 상호지향성", 한국IT 서비스학회지, 제20권 제3호, 2021, 27-40. 
  6. 문효진, "한국의 국가평판 인식에 관한 연구: 상호지향성 모델의 주관적 일치도를 중심으로", The Jo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제5권 제3호, 2019, 93-100. 
  7. 박철, "한국, 중국, 미국의 모바일 정보역량과 삶의 질에 관한 비교연구", 정보화정책, 제23권, 제2호, 2016, 19-34.  https://doi.org/10.22693/NIAIP.2016.23.2.019
  8. 송효진, "질적 정보격차와 인터넷 정보이용의 영향 요인 고찰: 이용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인식,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8권, 제2호, 2014, 85-116. 
  9. 안준모. "온라인 플랫폼의 운영 실태와 과제: 자율규제 적용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경제규제와 법, 제15권 제2호, 2022, 68-85.  https://doi.org/10.22732/CELPU.2022.15.2.68
  10. 양재찬, "경제기사의 뉴스가치에 대한 기자와 수용자의 인식유형과 상호지향성 연구", 주관성 연구, 제29호 2009, 61-85. 
  11. 이원태, 조성은, 정선민, 오다슬, 양지성, 이명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 사회갈등 이슈 분석 및 사회통합정책 방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기본연구, 20-08-03, 2020.12. 
  12. 이현승, 김영욱,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전문가와 사업장 소재 지역주민 간 상호지향성 연구: 충남 지역 미세먼지 문제를 중심으로 한 분석",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제30권 제1호, 2002, 5-44. 
  13. 임재형, 고경민, 이성우, 한낙훈, "갈등의 해결수단으로서 선거의 효용성 연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연구용역 보고서, 2014. 
  14. 최인호․정세훈, "연령, 소득 및 리터러시가 온라인 개인정보 노출 및 보호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63권 제5호, 233-266. 
  15. 한국인터넷기업협회, "한국의 갈라파고스 규제(I): 기존의 규제와 신산업의 갈등", 이슈페이퍼, 22-5호, 2022a. 
  16. 한국인터넷기업협회, "한국의 갈라파고스 규제(II): 신산업에 대응하는 새로운 규제의 등장", 이슈 페이퍼, 22-6호, 2022b. 
  17. 한국인터넷기업협회, 인터넷산업규제 백서, 2022c. 
  18. 한국인터넷기업협회, "인공지능에 관한 새로운 챕터의 시작", 이슈페이퍼 23-3호, 2023. 
  19. 허만섭. "인터넷 심화 활용이 인터넷 사회적 자본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분석: 디지털 정보 활용수준격차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제22권 제9호, 2021, 1467-1476.  https://doi.org/10.9728/dcs.2021.22.9.1467
  20. 허성호, "근거이론 기반의 디지털 젠더 격차 해소 방안에 관한 연구",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제23권 제9호, 2022, 1767-1774.  https://doi.org/10.9728/dcs.2022.23.9.1767
  21. 황태연, 이창언, 오수길, "디지털 전환 시대의 사회적 갈등조정 및 관리 방안", 한국비교정부학보, 제25권, 제4호, 2021, 173-198. 
  22. Brinkman, R.L. and J.E. Brinkman, "Cultural lag: Conception and theory", International Jornal of Social Economics, Vol.24, No.6, 1997, 609-627.  https://doi.org/10.1108/03068299710179026
  23. Davis, F.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 No.2, 1989, 319-340.  https://doi.org/10.2307/249008
  24. Dwivedi, Y.K., L. Hughes, E. Ismagilova, G. Aarts, C. Coombs, T. Crick, Y. Duan, R. Dwivedi, M. Janssen, and More Authors, "Artificial Intelligence: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on emerging challenges, opportunities, and agenda for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ol.57, 2019, 101994. 
  25. Fisher, R.J., Interactive conflict resolution, Syracuse University Press, 1997. 
  26. Grishchenko, N., "An inverted digital divide during Covid-19 pandemic? Evidence from a panel of EU countries",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72, 2022, 1-17.  https://doi.org/10.1016/j.tele.2022.101856
  27. Hargittai, E. and A. Hinnant, "Digital inequality: Differences in young adults' use of the internet", Communication Research, Vol.35, No.5, 2008, 602-621.  https://doi.org/10.1177/0093650208321782
  28. Lythreatis, S., S.K. Singh, and A.N. El-Kassar, "The digital divide: A review and future research agenda",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Vol.175, 2022, 1-11.  https://doi.org/10.1016/j.techfore.2021.121359
  29. McLeod, J.M. and S.H. Chaffee, "Interpersonal Approaches to Communication Research",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16, No.4, 1973, 469-499.  https://doi.org/10.1177/00027642730160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