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w-learning

검색결과 760건 처리시간 0.027초

간호대학생의 그릿과 학습몰입과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optimism between grit and learning flow of nursing students)

  • 김영숙;이경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4-151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optim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learning flow in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s: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grit, optimism and learning flow. The study was conducted on 200 nursing students in P, U and J cities between September 1 and September 20, 2020.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SPSS/WIN 23.0. Results: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learning flow and grit (r=.60, p<.001), between learning flow and optimism (r=.42, p<.001), and between grit and optimism (r=.42, p<.001). Additionally, optimism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learning flow (Z=3.11, p<.001).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terventions to increase the level of grit along with optimism is necessary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nursing college students' learning flow.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온라인 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사회심리적 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Flow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diating Effects of Psychosocial Well-being)

  • 박주영;강민주;박찬규;배태빈;유서희;하지연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41-48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social well-be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flow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148 nursing students with online class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PROCESS macro, and bootstrapping methods with SPSS Statistics 26.0.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self-leadership, learning flow, and psychosocial well-being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and self-leadership had a direct effect on learning flow.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self-leadership, the higher the learning flow of nursing students. Psychosocial well-being was partially mediated by self-leadership and learning flow.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programs for self-leadership and psychosocial well-being enhancement as a strategy to enhance nursing students' learning flow.

몰입에 기반한 학습이 과학 학업성취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arning Based Flow Theory on Scientific Achievement and Attitude toward Science)

  • 배훈;유병길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25-23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arching the effect of the flow level increasing by using flow learning on scientific achievement and attitude toward science in 4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learning factors, and the better way to approach scientific institude than now in used. Participants included 52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two classe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class and control class. The control class takes a regular instructions and the experimental class takes a flow learning instructions. Two chapter were selected, 'Plant's World' and 'Fossil and Rock', for this study. Students were treated for 18 hou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low learning related program about plant's world, fossil and rock is increasing 4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low level in science class. Second, students are not increasing their scientific achievement according to increasing their flow level. Third, students are not increasing their attitude toward science according to increasing their flow level. But in attitude toward scientific inquiry, adoption of attitude toward science and preference of job related science subordinated, students are increasing subordinate factors of attitude toward science.

몰입이론을 적용한 프로그래밍 WBI가 학습자의 몰입수준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Programming WBI Based on the Flow Theory on Flow Level and Academic Achievement)

  • 채유미;조성환;김성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5-22
    • /
    • 2009
  •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은 프로그래밍과 디버깅 과정을 통해 컴퓨터 작동원리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논리적 사고력, 문제해결력과 같은 고차원적 사고능력을 함양시켜주는 교육적 효과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에서 학습자들의 내재적인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학습을 지속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몰입이론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몰입의 구성 요소를 적요한 교수 학습 전략들을 개발한 후, 이것을 WBI로 설계, 구현하였다. 또한, 구현된 WBI를 실제 교수-학습 현장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몰입수준 변화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몰입이론을 적용한 WBI 학습이 학습 목표의식과 도전감, 구체적인 피드백을 이루어 몰입 수준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 몰입 경험이 학습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쳐 학업성취도(프로그래밍 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 PDF

대학생의 학습몰입, 자기주도학습, 학습성과가 비대면 온라인 수업만족도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flow,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Outcomes on Uncontacted Online Class Satisfaction)

  • 임종미;김신향;백민자;김경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393-401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몰입, 자기주도학습, 학습성과가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활성화할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학생의 학습몰입, 자기주도학습, 학습성과, 온라인 수업만족도는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학습몰입, 학습성과는 정적인 영향이 있었으나 자기주도학습은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다.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은 49%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온라인 수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온라인 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학습몰입, 학습성과를 향상시킬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교수자와 대학은 온라인 수업의 질적인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과 지원이 요구된다.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몰입의 상관관계: 학습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Correlation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Flow in Beauty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A Focus on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Attitude)

  • 강은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75-28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몰입의 상관관계에서 학습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남에 소재한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지향성, 학습몰입, 학습태도에 관한 질문을 포함하여 조사한 335부의 설문지를 SPSS통계패키지(PASW, ver 21.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숙달접근과 학습태도 변인이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숙달접근과 학급몰입 간 관계에서 학습태도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수행회피와 학습몰입 간 관계에서 학습태도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보고되었다.

대학생의 학습민첩성과 폐기학습, 학습몰입의 관계: 성별에 따른 조건부 효과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Agility, Unlearning, and Learning Flow of University Students: Conditional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y Gender)

  • 위영은;김우철;이지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13-325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민첩성과 폐기학습, 학습몰입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조건부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65명 대학생에게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Process v3.5 for SPSS를 활용하여 연구모델의 조건부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학습민첩성은 폐기학습과 학습몰입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학습민첩성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조절된 효과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대학생의 학습민첩성과 학습몰입 간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폐기학습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육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m-Bizmaker를 활용한 앱 프로그래밍 교육이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from App Programming Education Using m-Bizmaker)

  • 한순재;김성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1-48
    • /
    • 2018
  • 본 연구는 m-Bizmaker를 활용한 앱 프로그래밍 교육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봄으로써 앱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현재 일선 학교에서는 SW선도학교를 중심으로 컴퓨팅사고력을 증진하기 위한 SW교육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SW교육 방법들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앱 프로그래밍 교육이 학습 성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학습몰입이 필요하며 학습만족도가 높아야 앱 프로그래밍 교육이 지속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앱 저작도구의 하나인 m-Bizmaker를 활용한 앱 프로그래밍 학습 내용을 수업에 적용해 본 결과 학습몰입의 일부 요인(통제감, 자의식의 상실)과 학습만족도 증진에 유의미함이 입증되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앱 프로그래밍 교육 방안으로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코로나 19 (COVID-19)로 인해 온라인 전공 수업을 경험한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Learning Flow of Health Science Students Taking Online Classes due to COVID-19)

  • 구상미;강문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9호
    • /
    • pp.81-89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전공 수업이 학업스트레스, 학습 만족도,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보건계열 전공자 129명으로 2020년 11월 15일부터 2020년 12월 22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스트레스는 학습만족도(r=.-78, p<.001), 학습몰입(r=.-70, p<.001) 간에 음의 상관관계를, 학습만족도는 학습몰입(r=.71,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온라인 수업 시 과제 분량, 지난 학기에 이수한 온라인 실습 교과목의 수. 학업스트레스와 학습만족도는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전체 설명력은 61.0%로 나타났다. 따라서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업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전략과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정서지능과 학습몰입이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Emotion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on Career Stress)

  • 박의정;정경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5-72
    • /
    • 2016
  • Purpose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intelligence, learning flow and career stress of nursing students and influence factors for career stress. Methods : This study targeted 197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freshman-senior year attending College of Nursing located in P Metropolitan City. For collected data, real numbers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using PASW 21.0 program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 intelligence, learning flow and career stress was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 Emotional self-awareness(M=3.80, SD =.71), clear goals(M=3.39, SD=.90) and school environment stress(M=2.97, SD=.96) were found to be high in the degree of emotion intelligence, learning flow and career stress of the subj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r=.489, p<.01) in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 intelligence, learning flow, career stress and emotion intelligenc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eer stress(r=-.204, p<.01). Emotion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show that career stress is predicted significantly (${\beta}$ =-.15, p < .01) and explained a career stress variate as 18%(F = 24.5, p < .01). Conclusion : Emotion intelligence of nursing students was found to be very influential on the degree of learning flow or career str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plication studies on emotion intelligence and career stress are needed and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to increase emotion intelligence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