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bacterial disease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3초

Aeromonas veronii의 실험적 감염에 의한 양식 메기, Silurus asotus의 병리학적 변화 (Pathological Changes in Cultured Korean Catfish (Silurus asotus) Artficially Infected with Aeromonas veronii)

  • 김진도;도정완;최혜승;서정수;정승희;조혜인;박명애;이남실;박성우
    • 환경생물
    • /
    • 제31권4호
    • /
    • pp.486-492
    • /
    • 2013
  • 최근 국내의 양식 메기에 표피 박리와 근육 괴사를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질병이 발생하였다. 그 폐사율은 낮으나 질병으로 인한 상품가치의 저하로 경제적 손실이 크다. 병어로부터 원인균을 분리하고 자연감염어와 인위감염어의 병리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원인균은 Aeromonas veronii로 동정되었으며, 원인균을 건강어에 인위감염시켜 폐사 및 증상의 발현을 매일 관찰하였다. 인위감염된 어류의 증상은 자연감염어와 유사하였으며 원인균을 감염시킨 후 7일 이내에 모두 폐사하였다. 병어의 조직표본을 제작하여 관찰한 결과, 자연감염어의 간, 비장, 신장의 울혈 및 간세포 변성과 비장 협조직의 초자적변성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심장에서 염증성 변성과 세균응집체가 관찰되었다. 소화관에서의 울혈과 점막고 유층의 섬유화 현상도 특징적이었다. 자연감염어에 비해 약한 경향이지만 인위감염어의 조직학적 변화도 관찰되었으며, 소화관에서의 조직학적 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해양 유해세균에 대한 감태 추출물의 항균특성 (Antibacterial Property of Ecklonia cava Extract against Marine Bacterial Pathogens)

  • 김지훈;김세봉;황혜진;김영목;이명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80-385
    • /
    • 2016
  • 사람과 어류에게 감염증을 유발하는 Edwardsiella sp., Streptococcus sp. 및 Vibrio sp. 의 해양 유해세균에 대한 해조류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4종의 식용 해조류 중에서 감태 MeOH 추출물이 본 연구에서 사용 된 6종의 모든 해양 유해세균에 대해 넓은 범위의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감태의 MeOH 추출물의 유기용매 분획 추출물들 중에서, EtOAc 분획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6종의 해양 유해세균에 대하여 $128{\mu}g/mL$에서 $256{\mu}g/mL$의 MIC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HPLC 분석에 의해 감태 EtOAc 분획 추출물에 phlorotannin 화합물인 dieckol이 다량 존재하고 있는 것이 확인 되었다. 결론적으로, 감태 추출물의 phlorotannin 화합물이 여러 유해세균에 대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처럼, 해양 유해세균에 대해서도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유영 증상 국내산 양식 넙치에서의 슈도알테로모나스 분리·동정 및 항생제 감수성 연구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from Korean Olive Flounders (Paralichthys olivaceus) Showing Abnormal Swimming Behavior, and Sstudy of Antibiotic Susceptibility)

  • 권혜민;양소리;김지형;전진우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3권1호
    • /
    • pp.81-87
    • /
    • 2021
  • 2020년 11월, 국내의 넙치 양식장에서 양식 중이던 넙치가 이상 유영 소견을 보이다가, 지속적으로 폐사하였다. 질병 진단 과정 중, 폐사어의 신장에서 세균(KNCFKW-PN1)이 분리되었다. gyrase B subunit 유전자의 시퀀스 분석 결과, KNCFKW-PN1 분리주는 기존에 보고된 LMG 2227T 균주의 해당 유전자 시퀀스와 99.59% 유사도를 보여 Pseudoalteromonas nigrifaciens 로 동정이 되었다. 항생제 감수성 실험 결과에 따르면, KNCFKW-PN1 분리주는 ciprofloxacin에 대하여 중등도의 내성을 나타내었고, ampicillin, cefepime, cefotaxime, ceftazidime, amikacin에 내성을 나타내었다. 본 사례는 다제 내성 Pseudoalteromonas nigrifaciens 세균이 넙치로부터 분리된 최고의 보고이다.

Streptococcus parauberis 인위 감염에 의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심장의 병리학적 변화 (Pathological changes of the heart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experimental Streptococcus parauberis infection)

  • 김진우;조미영;원경미;김병관;최희정;한명철;박명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53-262
    • /
    • 2009
  • 병든 넙치에서 분리한 Streptococcus parauberis (FP2284)를 스트레스 조건을 달리하여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 인위감염한 후 조직 내 생균수 변화 및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인위감염 실험은 건강한 넙치 (평균 어체 중 40.4 g)에 $2{\times}10^{8}$ CFU/fish 농도로 복강주사하고 스트레스를 주지 않거나 하루 2번, 2분간 Netting 스트레스를 처리하였다. 스트레스를 주지 않은 그룹과 Netting 스트레스를 준 그룹의 누적 폐사율은 각각 70% 및 95%로 나타났다. 인위감염 시킨 넙치에서는 체색흑화와 심장의 염증이 주요 임상소견으로 나타났으며, 심장에서는 주로 심외막염, 심근염 및 심근의 섬유화가 관찰되었다. 인위감염 후 심장 조직의 세균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주사 후 3주째까지 심장 1 g당 $10^{4}$ CFU의 세균수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조건하에서 심장에서의 병리조직학적 변화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장 조직내 세균의 점차적인 감소가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Norcardia 감염증에 의한 양식 가물치의 대량 폐사 (Mass Mortality Caused by Nocardial Infection in Cultured Snakehead, Channa arga in Korea)

  • 박명애;이덕찬;조미영;최희정;김진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7-165
    • /
    • 2005
  • 2005년 여름에 국내에서 사육되는 가물치에서 대량폐사를 수반하는 새로운 질병이 발견되었다. 감염 어류는 복부팽만과 항문 주위 출혈 이외의 특이한 외부 증상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복부를 절개하면 많은 수의 백색 결절이 간, 비장 및 신장을 포함한 내부 장기에서 관찰되었다. 특히 내부 장기의 조직병리학적 관찰에서 granuloma가 관찰되었다. 이들 감염 어류에서 Gram 양성의 사상균이 분리되었다. 분리균은 Nocardia spp.와 non-Nocardia 균의 16S rRNA 염기 분석에 기초한 Nocardia 특이 primer를 사용한 PCR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이것은 어류에서 발생한 Nocardia 감염증의 국내 첫 사례이다.

항생제 사용과 세균성 어류질병의 치료 (The utilization of antibiotics and the treatment of bacterial diseases in fish)

  • 정현도;전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7-48
    • /
    • 1992
  • 항생제란 어떤 미생물의 생성물질로서 다른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살균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4000여종의 항생제중, 수산용으로는 약 20여종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항생제의 분류는 화학적 구조와 부수되는 기능에 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효과는 적용되는 병원성균의 종류와 어류가 처해있는 환경에 따라 대단히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항생제의 종류와 적용방법은 정확한 질병에 대한 원인 규명이 있은 후 결정되어져야 할 것이다. 무절제하게 사용된 항생제는 자연적으로 발생하여 존재하고 있는 내성균을 선택적으로 증식 가능케 한다. 이미 일본의 수많은 양어장에서 내성균 출현의 보고가 있었고, 많은 종류의 내성균은 R plasmid를 가지고 있다는 것도 밝혀졌다. 우리나라의 양어장에서도 내성균 출현과 R plasmid에 의한 내성균 확산은 곧 문제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므로 전반적인 역학조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상용항생제의 어류에 대한 약동력학, 잔존량, 임상적용 실험등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되어 있어 적절한 이들 항생제의 사용이 가능하지만, 현재까지 대부분의 수산용 항생제에 대해서는 연구해야 될 부분이 아직 많이 남아 있다. 그러므로 어류질병 치료와 항생제의 정확한 사용을 위해서는 양식사업을 하고 있는 현장과 진단을 할 수 있는 실험실의 긴밀한 협조관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것이다.

  • PDF

한국 주요 양식종의 수산동물 폐사피해 모니터링 (Monitoring of the mortalities in the aquaculture farms of South Korea)

  • 김진우;이한나;지보영;우승호;김영재;이무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71-277
    • /
    • 2012
  • 2012년 5월에서 11월 사이에 우리나라 넙치, 조피볼락, 무지개송어, 뱀장어, 흰다리새우, 전복 양식장에서 발생하는 폐사피해를 표본조사를 통해 모니터링하였다. 조사의 방식은 해당 양식장과 거래하고 있거나 관계를 맺고 있는 전국의 수산질병관리사 조사요원의 직접 현장 방문을 통한 면접과 표준 매뉴얼을 통한 진단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중 넙치 양식장에서는 총 27.9%의 누적 피해율을 보여주었고, 이중 스쿠티카병, 연쇄구균병, VHS, 비감염성 원인에 의한 폐사, 비브리오병, 활주세균병의 순으로 폐사피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피볼락 양식장에서는 13.6%의 누적 피해율을 보여주었고, 아가미 흡충병, 연쇄구균병, 비브리오병, 활주세균병, 비감염성 원인에 의한 폐사 순의 폐사피해가 나타났다. 무지개송어의 경우 총 17.1%의 피해율을 기록하였고, 비감염성 원인에 의한 폐사와 백점병이 주된 폐사 원인으로 집계되었다. 뱀장어의 경우 비교적 낮은 0.6%의 피해율을 기록하였으며, 에드워드병, 백점병, 아가미흡충병이 주된 피해요인이었다. 흰다리새우는 71.2%의 피해율을 보였으며, 대부분 비감염성 원인에 의한 폐사으로 집계되었고, 바이러스성 흰반점병도 12.5%의 피해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전복의 경우 10.7%의 피해율 모두가 비감염성 원인에 의한 폐사 피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Occurrence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fish bacteria isolated from Oreochromis niloticus (Nile tilapia) and Clarias gariepinus (African catfish) in Uganda

  • Wamala, S.P.;Mugimba, K.K.;Mutoloki, S.;Evensen, O.;Mdegela, R.;Byarugaba, D.K.;Sorum, H.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1권2호
    • /
    • pp.6.1-6.10
    • /
    • 2018
  • The intention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bacterial pathogens infecting Oreochromis niloticus (Nile tilapia) and Clarias gariepinus (African catfish), and to establish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fish bacteria in Uganda. A total of 288 fish samples from 40 fish farms (ponds, cages, and tanks) and 8 wild water sites were aseptically collected and bacteria isolated from the head kidney, liver, brain and spleen.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by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conventional biochemical tests and Analytical Profile Index test kits.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selected bacteria was determined by the Kirby-Bauer disc diffusion method. The following well-known fish pathogens were identified at a farm prevalence of; Aeromonas hydrophila (43.8%), Aeromonas sobria (20.8%), Edwardsiella tarda (8.3%), Flavobacterium spp. (4.2%) and Streptococcus spp. (6.3%). Other bacteria with varying significance as fish pathogens were also identified including Plesiomonas shigelloides (25.0%), Chryseobacterium indoligenes (12.5%), Pseudomonas fluorescens (10.4%), Pseudomonas aeruginosa (4.2%), Pseudomonas stutzeri (2.1%), Vibrio cholerae (10.4%), Proteus spp. (6.3%), Citrobacter spp. (4.2%), Klebsiella spp. (4.2%) Serratia marcescens (4.2%), Burkholderia cepacia (2.1%), Comamonas testosteroni (8.3%) and Ralstonia picketti (2.1%). Aeromonas spp., Edwardsiella tarda and Streptococcus spp. were commonly isolated from diseased fish. Aeromonas spp. (n = 82) and Plesiomonas shigelloides (n = 73) were evaluated for antibiotic susceptibility. All isolates tested were susceptible to at-least ten (10) of the fourteen antibiotics evaluated. High levels of resistance were however expressed by all isolates to penicillin, oxacillin and ampicillin. This observed resistance is most probably intrinsic to those bacteria, suggesting minimal levels of acquired antibiotic resistance in fish bacteria from the study area.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establish the occurrence of several bacteria species infecting fish; and to determine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fish bacteria in Uganda. The current study provides baseline information for future reference and fish disease management in the country.

군산 내만에서 분리된 세균총에 대한 약제 내성 조사 (Drug Resistance of Bacterial Flora Isolated from Kunsan Bay)

  • 최민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1-119
    • /
    • 2000
  • 군산내만에서 분리한 미생물총 Vibrio spp.(44균주), Pseudomonas spp.(42균주), Aeromonas spp.(26균주), Moraxella spp.(9균주), Enterobacteria spp.(6균주), Bordetella spp.(3균주), Alkaligenesis spp.(3균주), Staphylococcus spp.(3균주), Flavobacterium spp.(2균주)를 총 123주를 대상으로 Ampicillin(AM), Penicillin-G(PM), Rifampicin(RF), Streptomycin(SM), Oxolinic acid(OA), Nalidixic acid(NA), Oxytetracycline(OT), Amikacin(AK), 및 Enorfloxacin(EF)등의 약제에 대해서 감수성검사를 실시하였다. 공시약제에 대한 감수성균주는 42균주(34.1%)이었으며, 내성균주는 81균주(65.9%)로서 약제 내성율은 AM(54균주/43.9%), PM(47균주/38.2%) 및 RF(35균주/28.4%) 등에는 고빈도의 내성을 보였으며, SM(9균주/7.3%), OA(5균주/4.06%) 및 NA(1균주/0.8%)등에는 저빈도의 내성을 보였다. 그렇지만 OT, AK 및 NF에는 내성을 보이지 않았다. 내성 유형은 총 15유형(1-4제)으로서 이중 단일약제 내성 균주는 모두 35균주(28.4%)로서 AM(20균주/16.3%), PM(10균주/16.3%)및 RF(10균주/8.1%)약제에 내성 출현율이 높았다. 한편, 다제내성은 12유형을 나타내었으며, AM-PM-RF(16균주/13.4%), AM-PM(8균주/6.5%) 및 PM-RF(7균주/5.6%)유형이 비교적 출현빈도가 높았다. 따라서 본 해역은 다양한 약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미생물총이 서식하고 있어서 향후 다제내성균이 빠르게 확산 되어 어류질병의 치료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 PDF

세균성(細菌性) 아가미병(病)에 실험적(實驗的)으로 감염(感染)된 무지개송어에 있어서 Flavobacterium branchiophila에 대한 전자현미경학적(電子顯微鏡學的) 연구(硏究)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n Flavobacterium branchiophila in experimentally induced gill disease of rainbow trout)

  • 허강준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81-387
    • /
    • 1992
  • 건강한 무지개송어의 치어와 실험적으로 세균성 아가미병을 감염시킨 무지개송어의 치어에 있어서 아가미 조직과 그 병원균인 Flavobacterium branchiophila에 대하여 주사형 전자현미경(SEM)과 투과형 전자현미경(TEM)으로 관찰하였다. F branchiophila는 길이 $5{\sim}8{\mu}m$, 폭 약$0.5{\mu}m$의, 2~3균체가 서로 연결된 길고 가는 장간균으로서 균체의 주위에는 다수의 선모(pili)를 갖고있었다. 세균성 아가미병의 초기병소는 초미세 형태학적으로 이차새변의 비후에 의해 시작되며 병원균은 아가미 표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부착되어 있었다. 주사형 전자현미경의 관찰에서 건강한 물고기의 아가미 표면은 미로와 같은 모양과 미세 섬모상의 돌기로 특정지어 질 수 있는 상피세포가 보이나 실험적으로 감염된 아가미 표면에서는 새변의 선단에서 부터의 증생 융합과 함께 표면의 미세구조가 붕괴되어 잘 관찰되지 않았다. F branchiophila는 표면에 실뭉치와 같이 엉클어져 부착되어 있었으며 5% 식염처리후에는 그 형태가 일정치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