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safety design

검색결과 675건 처리시간 0.031초

화재·피난시뮬레이션의 커플링방식별 인명안전성평가 결과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arison of Life Safety Assessment Results according to Three Coupling Methods of Fire and Evacuation Simulation)

  • 구현모;오륜석;안성호;황철홍;최준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1호
    • /
    • pp.121-129
    • /
    • 2019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성능위주설계 시 시뮬레이션을 통한 인명안전성평가를 의무적으로 수행해야한다. 일반적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한 인명안전성평가 방식에는 3가지 종류가 있다. (1)화재 피난시뮬레이션을 각각 독립수행하여 특정지점에서의 ASET과 RSET을 비교하는 논커플링방식(non-Coupling)과 (2)화재 피난시뮬레이션의 결과값의 화면을 겹쳐보는 세미커플링방식(semi-Coupling), (3)화재시뮬레이션의 결과인 화재의 영향을 피난시뮬레이션에서 연동하여 수행하는 커플링수행방식(Coupling)이다. 이 중 현재까지 국내 모든 설계자들은 논커플링방식을 사용해왔다. 논커플링방식은 특정지점에서 ASET과 RSET을 비교하는 방법인 만큼 특정지점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특정지점위치설정에 대한 별다른 규정이 없어 설계자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정해지고 있다. 즉, 설계자에 따라 특정지점의 수, 위치가 달라져 인명안전성평가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논커플링 방식, 세미커플링방식, 커플링수행방식 3가지의 방법으로 인명안전성평가를 진행하여 결과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파악하고, 시뮬레이션 수행 방식에 있어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고층 공동주택의 피난특성 및 관련 법규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cuation Character and Regulation for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in Korea)

  • 이용재;이범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3-21
    • /
    • 2000
  • 공동주택이 등장한 이래 지속적으로 고층화하고 있다. 한편 고층 공동주택의 화재위험성 및 화재로 인한 피해의 규모는 더욱 증대되고 있으며 많은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그러나 화재안전을 위한 현재의 방법론과 법규정은 최소한의 규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층 공동주택에서의 화재시 피난 특성을 분석하고, 한국 미국 일본의 피난관련 법규정의 분석을 통해 그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화재로 인한 예측되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법규정 및 실질적인 피난안전성능에 관한 검토가 필요하다.

  • PDF

설문조사를 이용한 국내 소방 구급자동차의 안전성과 효율성 측면에서의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Fire-Fighting Ambulances about the Aspects of Safety and Efficiency using the Question Investigation)

  • 신동민;김승용;한용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44-53
    • /
    • 2015
  • 본 연구는 119구급차 유형별 구조와 기능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구급차 내부 디자인을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4개 시 도의 구급대원 755명을 대상으로 2007년 영국 National Patients Safety Agency (NPSA)에서 개발한 환자 안전을 위한 미래 구급차에 관한 보고서와 이와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이용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소방 구급차 내 안전성과 효율성 증진을 위한 디자인 개선을 위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자료는 설문지를 전자우편 또는 직접 배포하여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또한,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 백분율로, 구급차 내부 디자인 개선관련 항목은 카이제곱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승합차 개조 소방구급차에서는 내부공간이 좁은 문제와 화물차 개조 구급차에서는 승차감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함을 도출하였다. 또한, 구급요원의 안전벨트와 구급요원의 처치 위치의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이와같은 결과를 토대로 소방 구급자동차의 많은 개선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성능위주 연기제어 설계지침 분석 (Analysis of Performance-based Design Guides of Smoke Control System)

  • 김정엽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4호
    • /
    • pp.6-13
    • /
    • 2016
  • 건축물에서의 연기제어 시스템과 관련하여 국내에서는 거실에 대한 배연기준과 피난계단 및 부속실에 대한 제연기준이 제시되고 있으나, 대형화 고층화 복합화 되어가는 첨단 건축물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면 국내 설계기준에 따른 연기제어 시스템은 화재시 연기안전을 확보하기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대형 고층 복합의 첨단 건축물에 대한 화재시 연기안전성을 높이고 화재와 건축물 특성에 따른 상호 연기제어 연계성 확보와 통합적 설계가 가능한 성능위주 연기제어의 적용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연기제어 기준을 분석하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제시하였으며, 선진외국에서의 성능위주 설계 수행에 대한 법체계와 성능위주 연기제어 설계의 지침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FDS와 CFAST를 이용한 액체 풀화재의 수정된 디자인 화재곡선 평가 연구 (Evaluation of Modified Design Fire Curves for Liquid Pool Fires Using the FDS and CFAST)

  • 백빛나;오창보;이치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2호
    • /
    • pp.7-1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뮬레이션에 사용하기 위해 제안된 기존의 디자인 화재곡선을 일부 수정한 디자인 화재곡선을 제안하였다. ISO 9705 구획실 내 형성된 헵탄과 옥탄 풀화재를 대상으로 기존에 제안된 1-stage 디자인 화재곡선과 수정된 2-stage 디자인 화재곡선을 입력조건으로 적용하여 FDS와 CFAST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FDS와 CFAST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온도와 $O_2$, $CO_2$ 농도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2-stage 디자인 화재곡선이 1-stage 디자인 화재곡선보다 잘 예측하였으며, 특히 화재 초기 성장단계에서 온도에 대한 예측은 2-stage 디자인 화재곡선의 결과가 더 합리적임을 확인하였다. 구획실 내 온도변화에 대한 FDS와 CFAST 시뮬레이션 결과는 상층부에 대해서는 비교적 합리적으로 예측하였고 두 계산결과에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하층부에 대해서는 두 계산 모두 너무 낮게 예측하였으며 두 계산결과에도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도터널 화재시 승객 생존율 예측을 위한 확률론적 평가코드 개발연구 (Development of Probabilistic Fatality Estimation Code for Railway Tunnel Fire Accidents)

  • 곽상록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45-450
    • /
    • 2004
  • Tunnel fire accident is one of the critical railway accidents, together with collision and derailment. For the safe operation many tunnel design guidelines are proposed but many Korean railway tunnels do not satisfy these guidelines. For the safety improvement, current safety level is estimated in this study. But so many uncertainties in major input parameters make the safety estimation difficult. In this study, probabilistic techniques are applied for the consideration of uncertainties in major input parameters. As results of this study, probabilistic safety estimation code is developed.

  • PDF

성장화재통계 기반 건축물 용도별 화재위험도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Fire Risk by Building Use based Growth Fire Statistics)

  • 서동구;이종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18-219
    • /
    • 2020
  • The risk of a fire in a building is closely related to the usage of the building. In particular, all fires that occur in a building are not risky to safety of human life, and it is associated with the combustion area and the increase of total floor area of the building.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safety of human life in terms of the statistics of fire with considering the aspect of growing fires and analyzed the statistical data of fire for 10 years. As for the analysis on fire, the time of occurrence by usages of buildings, frequency of occurrence and the ratio of casualties etc. were analyzed. It is expected that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evaluations on a variety of parts in terms of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buildings.

  • PDF

성능기반 화재안전설계를 위한 침실 공간에서의 실화재 실험 (The Real Fire Test in Bedroom for the Performance Based Fire Design)

  • 김형준;권인규;권오상;김흥열;채승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32-37
    • /
    • 2013
  • 건축물에서의 성능기반 화재안전설계를 위해서는 구획 공간 내에서의 화재성장 및 화재크기와 같은 화재특성을 우선적으로 판단하여야 하지만, 건축물에서의 구획공간의 형태, 환기조건 등과 같은 상이한 조건과 실규모 화재실험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관련 기초 자료가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에서의 구획공간에 대한 실규모의 화재 실험을 통해 공학적 화재 특성 데이터인 열방출률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규모의 화재실험은 침실공간으로 설정하였으며, 화재실험은 2.4 (L) ${\times}$ 3.6 (W) ${\times}$ 2.4 (H) m의 구획 모델에서 실시하였다. 초기착화는 쓰레기통에서 발생하였으며, 화재실험은 총 30분에 동안 진행되었다. 화재실험결과, 실험 시작 7분 50초 이후부터 화염이 외부로 출화되었으며, 최대 열방출률은 실험 시작 9분 34초에 3810.6 kW로 측정되었다.

건축물화재시의 피난안전에 관한 평가기술에 대한 사례조사 (A Case Study on the Evaluation Technique of Evacuation Safety in Building Fire)

  • 권영진;이병흔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15-116
    • /
    • 2020
  • Recently, due to fires in high-rise residential and commercial buildings and apartments in Ulsan and Busan, the issue of evacuation safety in the event of a building fire is being closely watched. In the evacuation safety design for these building fires, it is important to secure evacuation routes consider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occupants and to take measures to protect the evacuation routes in order to ensure the safety of the occupants in the event of a fire. Although simulation is mainly used in Korea to assess the safety of evacuation,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that the Building Standards Act provides tools that can be calculated more than simulation in neighboring Japan. In addition to the evaluation method, which is called the "Building Law Assessment Methods" in Japan, the research team considered that it is important to know the process of evaluation in future domestic research, and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the evaluation process and wanted to apply it first to domestic buildings in the future.

  • PDF

고속철도 터널의 정량적 위험도 분석(QRA)을 위한 세부기준에 관한 고찰 (Review on the detailed standards for Quantitative Risk Analysis in High Speed Railway Tunnels)

  • 최원일;최정환;문연오;김선홍;유호식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8권6호
    • /
    • pp.393-407
    • /
    • 2008
  • 철도터널에서의 화재 등과 같은 불의의 사고를 예방하고 사고 발생시에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철도시설에 대한 안전기준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건설교통부(현 국토해양부)에서는 "철도시설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2005년 10월 27일)"과 "철도시설 안전세부기준(2006년 9월 22일)"을 고시하여 일반철도와 고속철도 터널에 적용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방재관련 법규는 터널 방재설비의 과다 및 과소 설계를 방지하기 위하여 5가지 주요시설물(방연문, 배연설비, 대피통로 접속부, 대피통로 간격, 연결송수관 설비)에 대하여 안전성 분석결과에 따라 설치하도록 하여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방패시설물의 합리적인 설치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안전성 분석방법은 기존 사고사례 및 자료를 토대로 화재강도, 가능한 시나리오, 사건발생 가능성, 사고영향, 사고발생확률 등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방법에 따라 안전성 분석 결과의 차이가 크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속철도 터널 안전성 분석에 대하여 단계별로 세부적인 수행방법을 소개하였으며, 이를 참고하여 합리적인 범위 및 기준을 개발하는 데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