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broblastic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4초

저출력 레이저 광선이 백서연조직 창상 치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Low Power Density Laser (ASGA) on the Wound Healing of Rat Tongue and Skin)

  • 김기석;김영구;정성창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0권1호
    • /
    • pp.91-104
    • /
    • 1985
  • In order to study the effects of the low power density laser (AsGa) on the wound healing of tongue and skin, thirty two healthy rats were anesthetized with pentothal. The tongue wound, approximately 1 mm in depth and 2mm in diameter, was created on the anterior of the tongue and the skin wound, approximately, 2mm in depth and 6-8mm in diameter, was created on the back of rat with the tip of small rongeur forcep. Wounds of experimental groups were irradiated with AsGa laser (Stomalaser, SEDATELEC Co., France) every other day by ninth day. The areas of wounds were measured at 1, 3, 5, 7, 9 days after wounding and the specimens were sectioned, stained, and observed with light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the AsGa laser irradiated wound of tongue, the epithelial and fibroblastic regeneration were accelerated when compared with controls. 2. In the AsGa laser irradiated wound of skin, the epithelial and fibroblastic regeneration were accelerated when compared with controls. 3. When the wound areas were compar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P < 0.01: 2-Way NOVA).

  • PDF

슬관절내에 발생한 심부 양성 섬유성 조직구증 - 1례 보고 - (Deep Benign Fibrous Histiocytoma of the Knee - A Case Report-)

  • 김형석;홍기도;하성식;이영화;이효진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90-193
    • /
    • 1999
  • Benign fibrous histiocytoma is characteristically composed of fibroblastic and histiocytic cells. Most commonly, this tumor occurs in the dermis and superficial subcutis, but it is uncommon in the knee. We experienced a case of deep benign fibrohistiocytoma in a 38-year-old woman who complained of palpable tender mass on the medial aspect of the right knee. MR imaging findings included a well-delineated oval mass with low signal intensity on T1-weighted and high-signal intensity of T2-weighted images, as well as a marked peripheral contrast enhancement. Histopathologically, the lesion contained a mixture of fibroblastic and histiocytic cells that were often arranged in a cartwheel or storiform pattern and accompanied by varying numbers of inflammatory cells, foam cells, and siderophages. After surgical removal of the lesion, no recurrence was observed.

  • PDF

치료적 방법을 연부조직 손상단계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지침에 관한 연구 (Study on Guidelines for Using Therapeutic Modalities According to Injury Phases of Soft Tissue)

  • 권원안;김식현;전경희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2권3호
    • /
    • pp.497-507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ing on guidelines for using therapeutic modalities according to injury phases of soft tissue. Clinical decisions on how and when therapeutic modalities may be used should be based on recognition of signs and symptoms. as well as some awareness of the time frames associated with the various phases of the Healing process. The physical therapist must have a sound understanding of that process in terms of the sequence of the various process of healing s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Once an acute injury has occured, the healing process consists of the imflammatory response phase, the fibroblastic-repair phase, and the maturation-remodeling phase and can impede by various pathologic factors. 2. Modality use in the initial acute injury phase and the inflammatory response phase should be directed toward limiting the amount of swelling and reducing pain. 3. Modality use in the Fibroblastic repair phase may be change from cold to heat. The purpose of heat is to increase circulation to the injured area to promote healing. 4. During the Maturation-Remodeling phase, some type of heating modalities, ultrasound, or short wave and microwave diathermy should be used to increase circulation to the deeper tissue. In this phases, physical therapists must control training and conditioning habits to allow the injury to heal sufficiently.

  • PDF

인체 치은 섬유아세포의 성장과 부착에 관한 Chlorhexidine의 효과 (THE EFFECTS OF CHLORHEXIDINE ON THE ATTACHMENT AND GROWTH OF CULTURED HUMAN GINGIVAL FIBROBLASTS IN VITRO)

  • 이호;이인규;김형섭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3권3호
    • /
    • pp.507-516
    • /
    • 1993
  • The Chlorhexidine(CHX) has been a widely used adjunt in periodontal therapy due to its bactericidal effect. In spite of the effects of CHX exhibits cytotoxic to human cells and delays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Therefore,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CHX on fibroblast attachment and cell growth will provide the rationale for its use during healing phase of periodontal surgery.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effects of standardized CHX-pretreated dentin slices and direct CHX exposure on human gingival fibroblasts. The results were as follow : 1. In experiment 1,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number of fibroblast attachment in 0.12, 1%-pretreated groups relative to the control, 0.05%-pretreated groups(P<0.05). 2. In experiment 1, the control, 0.05%-pretreated groups showed considerable attachment and typical fibroblastic morphology, but 0.12, 1%-pretreated groups showed irregular, round-up (unattached) fibroblastic morphology. 3. In experiment 2, it appeared that all experimental groups exhibits significant inhibition of cell growth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 PDF

복벽에 발생한 데스모이드 종양의 급속 조영 CT 소견 : 2례 보고 (CT Findings of Desmoid Tumor arising at Abdominal Wall: Two Cases Report)

  • 조대현;조재호;장재천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2권2호
    • /
    • pp.386-392
    • /
    • 1995
  • 데스모이드 종양은 섬유아세포양 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심부 섬유종증으로 조직학적으로 양성이지만 침습적인 성장 양상과 높은 재발율을 보인다. 방사선학적으로 초음파상 경계가 비교적 뚜렷한 고형종괴로 보이며 내부의 에코는 비특이적이며 CT 소견상 근섬유의 주행방향을 따라 길쭉한 모양을 보이고 조영제 주입전에는 주변 근육과 비슷한 등음영 또는 약간 저음영을 보이고 조영후에는 시간이 감에 따라 점차 조영증강되는 소견을 보인다. 저자들은 급속조영 CT를 시행하여 시간에 따른 조영 양상을 관찰함으로써 종괴의 조직학적 구성을 짐작할 수 있었고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데스모이드 종양 2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Radiographic manifestations of fibroblastic osteosarcoma: A diagnostic challenge

  • Tahmasbi-Arashlow, Mehrnaz;Barnts, Kelcie Louise;Nair, Madhu K.;Cheng, Yi-Shing Lisa;Reddy, Likith V.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9권3호
    • /
    • pp.235-240
    • /
    • 2019
  • Osteosarcoma is the most common primary bone tumor after plasma cell neoplasms. Osteosarcoma has diverse histological features and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malignant spindle cells and pluripotent neoplastic mesenchymal cells that produce immature bone, cartilage, and fibrous tissue. Osteosarcoma most frequently develops in the extremities of long bones, but can occur in the jaw in rare cases. The clinical and biological behavior of osteosarcoma of the jaw slightly differs from that of long-bone osteosarcoma. The incidence of jaw osteosarcoma is greater in the third to fourth decades of life, whereas long-bone osteosarcoma mostly occurs in the second decade of life. Osteosarcoma of the jaw has a lower tendency to metastasize and a better prognosis than long-bone osteosarcoma. Radiographically, osteosarcoma can present as a poorly-defined lytic, sclerotic, or mixed-density lesion with periosteal bone reaction response.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is useful for identifying the extent of bone destruction, as well as soft tissue involvement of the lesion. The current case report presents a fibroblastic osteosarcoma involving the left hemimandible with very unusual radiographic features.

양성 뇌수막종의 조직학적 아형 및 이형성 뇌수막종에서 PCNA와 Ki-67 표지지수의 비교 (Comparison of Proliferative Activity in Each Histological Subtypes of Benign and Atypical Intracranial Meningiomas by PCNA and Ki-67 Immunolabeling)

  • 최승진;장은덕;권성오;계대곤;박춘근;이상원;강준기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9호
    • /
    • pp.1215-1221
    • /
    • 2000
  • 목 적 : 양성 뇌수막종에 비하여 이형성 및 악성 뇌수막종이 나쁜 임상적인 예후 및 양상을 보이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나, 양성 뇌수막종에 있어서 각각의 병리조직학적 아형에 따른 생물학적 양상의 차이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거나 일부 논란이 되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형성 뇌수막종 및 양성 뇌수막종의 각각의 병리조직학적 아형에 따른 증식능의 차이여부를 알아보고자 PCNA와 Ki-67표지지수를 분석하였다. 방 법 : 본원에서 뇌수막종으로 수술을 시행하여 얻은, 재발을 보여 재수술을 시행한 2례를 포함하여, 파라핀에 포매시킨 27개의 조직을 대상으로 병리학적인 증식능을 분석하기 위해, PCNA에 대한 단일항체 및 MIB-1 단일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조직학적 분류상 meningothelial type이 8례, transitional type이 9례, fibroblastic type이 5례였으며, 이형성 수막종이 5례였다. 결 과 : PCNA표지지수의 평균값은 양성 수막종에서 meningothelial type이 $4.82{\pm}5.10%$, transitional type이 $9.01{\pm}4.25%$, fibroblastic type이 $5.66{\pm}5.32%$를 보였으나 이형성 수막종에서는 $27.62{\pm}19.67%$의 높은 지수를 나타냈고, Ki-67 표지지수의 평균값은 양성 수막종의 아형에서 각각 $0.43{\pm}0.85%$, $0.44{\pm}1.08%$, $0.24{\pm}0.18%$를 보이고, 역시 이형성 수막종에서는 $0.84{\pm}0.59%$의 높은 지수를 보였다. 즉, 양성 수막종에서 각각의 아형에 따른 PCNA 및 Ki-67 표지지수는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나(p>0.05), 이형성 수막종에서는 의미있는 높은 표지지수를 보여(p<0.05) 양성 수막종에서 보다 높은 증식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 PCNA 및 Ki-67 표지지수를 이용한 증식능의 비교결과, 양성 뇌수막종에서는 각각의 아형에 따른 생물학적 양상이나 예후는 차이가 없을것으로 생각되나, 이형성 수막종에서는 높은 증식능을 보여 이에 대한 예후를 예상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이러한 표지지수가 병리조직학적으로 양성과 이형성의 감별에 많은 도움이 될것으로 사료된다.

  • PDF

통상성 간질성 폐렴 환자 예후인자로서의 섬유모세포병소(fibroblastic foci)의 유용성 (Prognostic Value of Fibroblastic Foci in Patients with Usual Interstitial Pneumonia)

  • 박용범;강길현;심태선;임채만;이상도;고윤석;김우성;김원동;;김동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3호
    • /
    • pp.309-318
    • /
    • 2002
  • 연구배경 :통상성 간질성 폐렴(UIP)은 일반적으로 생존기간 중앙값이 약 3년이하로 보고되는 치명적인 질환이나 환자들간에 예후에 차이가 많다. UIP의 조직학적 소견은 늑막 직하부의 국소적(patchy) 섬유화병변으로 여러 시기의 섬유화 병변이 같이 공존하는 것이 특징이다. 섬유모세포 병소(fibroblastic foci: FBF)는 활발히 증식하는 근-섬유모세포들이 모여있는 급성 폐병소 부위로서 UIP의 활동성 및 예후를 반영할 가능성이 많으나 UIP의 예후인자로서 FBF의 유용성에 관해서는 서로 상반된 결과가 보고되어 논란이 많다. 이에 저자들은 UIP에서 FBF의 예후인자로서의 유용성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7월부터 2000년 4월까지 서울중앙병원에서 수술적 폐생검검사로 진단되고 일년이상 경과가 관찰된 UIP환자 46명(연령 $59{\pm}12$, 남:여=33:13)으로 모든 조직표본을 재검토하여 ATS/ERS 분류에 의한 IPF-UIP로 확인된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FBF 정도는 폐생검조직에서 0에서 3 (absent:0, mild:1, moderate:2, severe:3)까지 반정량적인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 1) 대상 환자들의 46명의 진단 후 생존기간 중앙값은 26개월이었고, 추적관찰 기간중에 사망자는 13명이었다. 2) 사망군과 생존군을 비교 하였을 때 진단시의 FVC와 DLco, 흡연 유무, FBF 정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진단시 FBF 정도가 비중증군 (FBF :2이하)의 103개월로 중증군(FBF :3)의 평균 생존기간이 48 개월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다. 또한 FVC가 73.5% 이상인 군에서(평균 생존기간 86개월) 73.5% 미만인 군(65개월)보다, $D_Lco$가 60.5% 이상인 군(평균 생존기간 83개월)에서 60.5% 미만 군(69개월)보다 생존기간이 길었다. 4) 환자의 나이, 성별, 흡연 그리고 Kaplan Meyer 분석을 이용한 단변수 분석 상 생존과 연관이 있는 인자로 나타난 $D_Lco$, FVC, FBF정도에 대하여 Cox regression분석을 시행한 결과, FBF 정도 만이 UIP사망의 독립적인 예측인자로 확인되었다. 결 론 : 수술적 폐생검상 FBF 정도와 환자의 생존기간의 연관성이 관찰되어, FBF가 UIP의 예후의 예측인자로 추측되었다.

가토 피부상처에서의 개방드레싱과 밀봉드레싱의 효과에 대한 형태학적 비교 (Morphological Comparision of the Effect of Open and Occlusive Dressing on Rabbit Skin Wound)

  • 강영희;홍해숙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5권1호
    • /
    • pp.23-33
    • /
    • 2003
  • 본 연구는 체중 3.0kg의 가토 수컷 10마리를 이용하여 피부의 외상을 입힌 후 개방드레싱과 밀봉드레싱이 상처의 치유과정에서의 효과와 형태학적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1cm의 절개창과 $1.0{\times}0.2cm$의 피부절제창을 만든 후 개방드레싱군은 1일 2회 betadine으로 소독한 후 상처부위를 노출시켜 5, 10 및 15일째에 관찰하였으며, 밀봉드레싱군은 매일 betadine으로 소독하고 1% silver sulfadiazine 크림을 도포한 후 거즈를 덮어 5, 10 및 15일째에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피부를 절개한 군과 절제한 군을 개방드레싱 및 밀봉드레싱을 각각 시행한 5일 후에는 딱지가 형성되었고 표피의 재생은 상처의 가장자리에서부터 시작하였다. 진피의 표층에는 호중구, 단구 및 림프구의 침윤이 일어났고 부종과 섬유아세포의 증식이 경하게 일어났다. 수상 후 개방드레싱 및 밀봉드레싱을 시행한 10일 후에는 딱지는 탈락되었고 표피는 재생되어 연속적이었다. 모세혈관의 수와 염증세포의 침윤은 감소하였다. 부종과 섬유아세포의 증식은 더욱 증가하였다. 수상 후 개방 및 밀봉드레싱을 시행한 후 15일에는 표피의 재생은 완성되어 각질이 형성되었다. 진피에는 염증세포의 침윤, 부종 및 혈관의 증식은 소실되었고 섬유아세포 및 교원섬유의 양은 증가하였다. 피부를 절개한 군은 절제 군에 비해 반흔의 양은 적었고 드레싱방법에따른 치유과정의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상처의 치료는 드레싱의 방법보다 상처의 소독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선천성 면역조절자인 항생펩타이드 분류 (Classification of Antimicrobial Peptides among the Innate Immune Modulators)

  • 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833-838
    • /
    • 2015
  • 다제약제 내성을 가지는 슈퍼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기생충 감염은 주요한 건강위협인자들이다. 하지만, 건강위협 상황을 극복하기위해 현재 약제의 대안들중 항생펩타이드를 들 수 있다. 항생펩타이드는 자연계 다양한 종에서 생산된다. 항생펩타이드는 작은 단백질로 어류, 양서류, 파충류, 식물 그리고 동물의 감염으로부터 다세포생명체를 보호하는 선천성 면역에 관여하고 있다. 1980년대 이후로 매년 항생펩타이드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박테리아, 원생생물, 곰팡이, 식물, 동물로부터 동정된 2,000가지 이상의 항생펩타이드가 항생펩타이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다. 이러한 항생펩타이드의 대부분은 11-5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고 하전상태는 0에서 +7까지이며 소수성은 31-70%를 차지하고 있다. 본 보고는 항생펩타이드를 생물학적 원천, 생물학적 기능, 펩타이드 성질, 공유결합패턴, 3차구조등에 의해 분류하였다. 항생펩타이드의 기능은 항균작용외에 세포주화성과 같은 세포생물학적 활성에도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림프절 스트로마로부터 기원한 fibroblastic reticular cell (FRC)에 염증상황 유도시 항생펩타이드가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FRC로부터 유도된 항생펩타이드는 whey acidic protein (WAP) 도메인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것은 단백질 도메인에 의해서도 항생펩타이드를 분류 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