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nostic Value of Fibroblastic Foci in Patients with Usual Interstitial Pneumonia

통상성 간질성 폐렴 환자 예후인자로서의 섬유모세포병소(fibroblastic foci)의 유용성

  • Park, Yong-Bu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School of Medicine) ;
  • Kang, Gil-Hyun (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School of Medicine) ;
  • Shim, Mae-S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School of Medicine) ;
  • Lim, Chae-M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School of Medicine) ;
  • Lee, Sang-D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School of Medicine) ;
  • Koh, Youn-Suc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School of Medicine) ;
  • Kim, Woo-S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School of Medicine) ;
  • Kim, Won-D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School of Medicine) ;
  • Kitaichi, Masanori (Clinical Pathology University of Kyoto) ;
  • Kim, Dong-S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School of Medicine)
  • 박용범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학교실) ;
  • 강길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병리학교실) ;
  • 심태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학교실) ;
  • 임채만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학교실) ;
  • 이상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학교실) ;
  • 고윤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학교실) ;
  • 김우성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학교실) ;
  • 김원동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학교실) ;
  • ;
  • 김동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02.09.30

Abstract

Background : Usual interstitial pneumonia (UIP) is a fatal progressive fibrotic disorder of the lung with unknown etiology and characterized by a poor response to conventional immunosuppressive therapy. The histologic hallmark of UIP is parchy distribution of subpleural fibrosis and fibroblastic foci(FBF) with interposed normal appearing lung. Because FBF is a collection of actively proliferating myofibroblasts, it can be a marker of activity and prognosis of UIP. However, there were contradictory reports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FBF and survival. Therefore we perform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value of FBF as prognostic marker of UIP. Methods :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46 patients(M:F=33:13, mean age:$59{\pm}12$ years) with UIP diagnosed by the surgical lung biopsy at the Asan Medical Center, Seoul, Korea between 1990 and 2000 and had follow-up of more than a year. All the biopsy specimens were reevaluated and diagnosed as UIP according to the ATS/ERS classification. Semiquantitative grading of FBF(absent, 0; mild 1; moderate 2; marked 3) by the experienced pathologists who did not know the clinical findings were compared to the clinical data and the follow up course. Results : Thirteen patients(28.2%) died of UIP progression during the study period. The median survival time of all the subjects was 26 months after the biopsy. At the univariate analysis, FVC, $D_Lco$, smoking history and the grade of FBF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urvial. The survival was longer in subjects with lesser degrees of FBF, higher DLco, higher FVC and history of smoking. However the multivariate analysis with Cox regression test showed the extent of FBF was the only independent prognostic marker of UIP. Conclusion : These data suggested that the extent of FBF on the surgical lung biopsy can be used as a prognostic marker of UIP.

연구배경 :통상성 간질성 폐렴(UIP)은 일반적으로 생존기간 중앙값이 약 3년이하로 보고되는 치명적인 질환이나 환자들간에 예후에 차이가 많다. UIP의 조직학적 소견은 늑막 직하부의 국소적(patchy) 섬유화병변으로 여러 시기의 섬유화 병변이 같이 공존하는 것이 특징이다. 섬유모세포 병소(fibroblastic foci: FBF)는 활발히 증식하는 근-섬유모세포들이 모여있는 급성 폐병소 부위로서 UIP의 활동성 및 예후를 반영할 가능성이 많으나 UIP의 예후인자로서 FBF의 유용성에 관해서는 서로 상반된 결과가 보고되어 논란이 많다. 이에 저자들은 UIP에서 FBF의 예후인자로서의 유용성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7월부터 2000년 4월까지 서울중앙병원에서 수술적 폐생검검사로 진단되고 일년이상 경과가 관찰된 UIP환자 46명(연령 $59{\pm}12$, 남:여=33:13)으로 모든 조직표본을 재검토하여 ATS/ERS 분류에 의한 IPF-UIP로 확인된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FBF 정도는 폐생검조직에서 0에서 3 (absent:0, mild:1, moderate:2, severe:3)까지 반정량적인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 1) 대상 환자들의 46명의 진단 후 생존기간 중앙값은 26개월이었고, 추적관찰 기간중에 사망자는 13명이었다. 2) 사망군과 생존군을 비교 하였을 때 진단시의 FVC와 DLco, 흡연 유무, FBF 정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진단시 FBF 정도가 비중증군 (FBF :2이하)의 103개월로 중증군(FBF :3)의 평균 생존기간이 48 개월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다. 또한 FVC가 73.5% 이상인 군에서(평균 생존기간 86개월) 73.5% 미만인 군(65개월)보다, $D_Lco$가 60.5% 이상인 군(평균 생존기간 83개월)에서 60.5% 미만 군(69개월)보다 생존기간이 길었다. 4) 환자의 나이, 성별, 흡연 그리고 Kaplan Meyer 분석을 이용한 단변수 분석 상 생존과 연관이 있는 인자로 나타난 $D_Lco$, FVC, FBF정도에 대하여 Cox regression분석을 시행한 결과, FBF 정도 만이 UIP사망의 독립적인 예측인자로 확인되었다. 결 론 : 수술적 폐생검상 FBF 정도와 환자의 생존기간의 연관성이 관찰되어, FBF가 UIP의 예후의 예측인자로 추측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