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Proliferative Activity in Each Histological Subtypes of Benign and Atypical Intracranial Meningiomas by PCNA and Ki-67 Immunolabeling

양성 뇌수막종의 조직학적 아형 및 이형성 뇌수막종에서 PCNA와 Ki-67 표지지수의 비교

  • Choi, Seung Jin (Department of Neurosurgery, St. Vincen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Chang, Eun Deok (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St. Vincen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won, Seung Oh (Department of Neurosurgery, St. Vincen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ye, Dae Kon (Department of Neurosurgery, St. Vincen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Park, Choon Keun (Department of Neurosurgery, St. Vincen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Sang Won (Department of Neurosurgery, St. Vincen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ang, Joon Ki (Department of Neurosurgery, St. Vincen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최승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장은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임상병리학교실) ;
  • 권성오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계대곤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박춘근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이상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강준기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Received : 2000.02.24
  • Accepted : 2000.03.27
  • Published : 2000.09.28

Abstract

Objective : The clinical prognosis and biological behavior of atypical and especially malignant meningiomas are well known to be worse than benign meningioma, but the degree of biological aggressiveness in each classical subtypes of benign meningioma is controvers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roliferative activity between each different histological subtypes of benign meningioma as well as atypical meningioma. Methods : Paraffin-embedded surgical specimens of 27 meningiomas, including two recurrent tumors, were studied to evaluate proliferative activity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 with monoclonal antibodies to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PCNA) and MIB-1. The specimens consisted of 8 cases of meningothelial, 9 cases of transitional, 5 cases of fibroblastic subtypes and 5 cases of atypical meningiomas. Results : Mean PCNA labeling indices of meningothelial, transitional and fibroblastic meningiomas were $4.82{\pm}5.10%$, $9.01{\pm}4.25%$ and $5.66{\pm}5.32%$, but that of atypical meningiomas was $27.62{\pm}19.67%$, noting a higher value compared to all three subtypes of benign meningiomas. Mean Ki-67 labeling indices of the above 3 subtypes were $0.43{\pm}0.85%$, $0.44{\pm}1.08%$ and $0.24{\pm}0.18%$, and that of atypical meningiomas was also revealed to be of higher value ($0.84{\pm}0.59%$). PCNA and Ki-67 labeling indice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histological subtypes of benign meningioma(p>0.05), but the differences of both immunolabeling between benign and atypical meningioma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Conclusion : Immunolabeling of PCNA and Ki-67 in intracranial meningiomas reveals no prognostic difference between meningothelial, transitional and fibroblastic subtypes in classical benign meningiomas by measuring expression of PCNA and Ki-67, but it seems to be helpful in differentiating benign and atypical meningioma, later showing more proliferative activity and biological aggressiveness.

목 적 : 양성 뇌수막종에 비하여 이형성 및 악성 뇌수막종이 나쁜 임상적인 예후 및 양상을 보이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나, 양성 뇌수막종에 있어서 각각의 병리조직학적 아형에 따른 생물학적 양상의 차이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거나 일부 논란이 되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형성 뇌수막종 및 양성 뇌수막종의 각각의 병리조직학적 아형에 따른 증식능의 차이여부를 알아보고자 PCNA와 Ki-67표지지수를 분석하였다. 방 법 : 본원에서 뇌수막종으로 수술을 시행하여 얻은, 재발을 보여 재수술을 시행한 2례를 포함하여, 파라핀에 포매시킨 27개의 조직을 대상으로 병리학적인 증식능을 분석하기 위해, PCNA에 대한 단일항체 및 MIB-1 단일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조직학적 분류상 meningothelial type이 8례, transitional type이 9례, fibroblastic type이 5례였으며, 이형성 수막종이 5례였다. 결 과 : PCNA표지지수의 평균값은 양성 수막종에서 meningothelial type이 $4.82{\pm}5.10%$, transitional type이 $9.01{\pm}4.25%$, fibroblastic type이 $5.66{\pm}5.32%$를 보였으나 이형성 수막종에서는 $27.62{\pm}19.67%$의 높은 지수를 나타냈고, Ki-67 표지지수의 평균값은 양성 수막종의 아형에서 각각 $0.43{\pm}0.85%$, $0.44{\pm}1.08%$, $0.24{\pm}0.18%$를 보이고, 역시 이형성 수막종에서는 $0.84{\pm}0.59%$의 높은 지수를 보였다. 즉, 양성 수막종에서 각각의 아형에 따른 PCNA 및 Ki-67 표지지수는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나(p>0.05), 이형성 수막종에서는 의미있는 높은 표지지수를 보여(p<0.05) 양성 수막종에서 보다 높은 증식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 PCNA 및 Ki-67 표지지수를 이용한 증식능의 비교결과, 양성 뇌수막종에서는 각각의 아형에 따른 생물학적 양상이나 예후는 차이가 없을것으로 생각되나, 이형성 수막종에서는 높은 증식능을 보여 이에 대한 예후를 예상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이러한 표지지수가 병리조직학적으로 양성과 이형성의 감별에 많은 도움이 될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