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ng-shui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2초

장수마을계획을 위한 S마을 풍수특성 기초조사 (Analysis on the Feng-Shui Characteristics of S village for the Longevity Village Plan)

  • 권영휴;고제희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9권1호
    • /
    • pp.13-25
    • /
    • 2007
  •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 village according to the Feng-Shui theory(風水理論). People's life span is affect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hereditary constitution, dietary life and life habits but recently there is an opinion that longevity village in Korea are commonly located in areas at a proper altitude.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basic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 village from the viewpoint of Feng-Shui(風水). As for this study, it will be given help to a longevity village plan.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field survey and map investigation of the natural geographic situation of S village focused on Ryong(龍, contiguous line of terrestrial stratum), Hull(穴, village location), Sa(砂, geographical feature of surrounding mountains), Su(水, water flow) and Hyang(向), which are Feng-Shui(風水) objects to be observ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 Village, which has mountains in the rear and a river in the front, was found to be in fine geographic situation equipped with Sashinsa(四神砂). According to the Feng-Shui theory(風水理論), the village was hang-ju-hyoung(行舟形), which means that people and properties flourish together. A shortcoming of the village was the absence of Ahnsan(案山) to block harmful winds blowing to the fore of the village. In addition, another shortcoming of the village in terms of Feng-Shui(風水) was the large variation of temperature because of its location surrounded by high mountains as if the village was situated inside a bowl. The Hyang(向) of village houses were arranged by the geographical feature and not by Feng-Shui(風水).

지리산(智異山) 화엄사가람(華嚴寺伽藍)의 조영사상(造營思想)에 관(關)한 연구(硏究) -풍수사상을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Organizing Principle of Hwaeomsa Temple in Chiri Mountain - Focused on the Theory of Feng-Shui(Configuration of the Ground) -)

  • 이동영;최효승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77-84
    • /
    • 2000
  • Kurye-gun, which Hwaeomsa temple is located, has huge scale'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such as mountains, rivers and open fields. This is really blessing area because of Som-jin river at the bottom of Ghiri mountain and open fields, which this situation is very difficult. The location of Hwaeomsa temple is an end of The Baek-Doo Mountains and very important spot(where influences to its geometric converge) of the theory of feng-shui. On exposure logic of the Korean traditional theory of feng-shui, the organization in Ga-Ram of Hwaeomsa temple is inconsistent with representative theory and analyzing system. So, this is one of successful examples with the theory of feng-shui because exhalation from the earth and water was organized well with accuracy.

  • PDF

한국농촌지역 전통주택과 마을입지의 이기풍수(理氣風水) 해석 - 의성 김씨 종택을 중심으로 - (A location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and farm village based on the Eagi(理氣)theory in Feng Shui : Case study on the head family house of Mr. Kim located in Uisung County, Kyongsang Province)

  • 권영휴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1권1호
    • /
    • pp.3-1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ize the 'Eagi(理氣)' theory in Feng Shui which has been neglected in Korea because of its difficulties in the current Feng Shui theory and to make it easier to apply in the art of placement. The study also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of a sample village in terms of Feng Shui. Besides the placement analysis, the interpretation of the Yangtaek(陽宅) theory was analysed on the layout of the outdoor space of the building. As the initial step, various theories about Feng Shui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ose, the framework of the Feng Shui theory was summarized for application to the case study. Yangtaeksamyo(陽宅三要) was referred to for consideration of Feng Shui theory outside the residential buildings. At the same time, configurational analysis of the ground was carried out with the naked eye and actual measurements were taken using a specific compass(佩鐵).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Eagi' theory in Feng Shui, which finds a 'lucky site(穴)' selects the 'geomagnetic aspect(坐向)' by analyzing the natural forces of wind and water. In this theory, the aspect was regarded of most importance. 'Yangtaek Feng Shui (陽宅風水)' was the theory that people's ups and downs depends on the direction of the place where they live on, and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I ching(周易)'. Second, the village and the house in the case study have been considered as lucky places from old times and this was equally verified by the 'Eagi (理氣)' theory and the "Yangtaek (陽宅)' theory.

팔공산(八公山) 동화사(桐華寺)의 풍수(風水) 및 가람배치( 伽藍配置)의 특징(特徵) (A study on the location of Donghwa temple from feng-shui perspective)

  • 성동환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65-80
    • /
    • 2001
  • 본 연구는 팔공산의 지형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동화사(桐華寺)의 입지와 가람배치의 풍수지리적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동화사의 풍수지리적인 특성에 대한 해석과 연구는 향후 동화사의 토지이용이나 건물의 증 개축, 진입로의 개설, 가람의 변경 유지 등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동화사는 산과 물이 에워싸인 지세로 풍수지리적인 조건을 잘 갖추고 있는 곳으로 종교적 장소성을 확보하기에 용이한 조건을 갖추었다. 봉황과 관련된 안온한 지세와 어울리게 가람이 배치되었으며, 봉황을 상징하는 시설물들이 누각과 문, 비에 남아있고, 대나무와 오동나무가 많이 식재(植栽)되어 있다. 동화사의 중심공간이 잘 부각되고, 사찰의 경역(境域)을 청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주 진입로의 복원, 주차장의 폐쇄, 새로운 진입로의 개설 등과 같은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풍수서(風水書) "지리인자수지(地理人子須知)" 산도(山圖)의 지형표현 연구 (The Expression of Landform in Feng-shui Map in Chinese Feng-shui Manual Jiriinjasuji)

  • 이형윤;성동환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5
    • /
    • 2010
  • 산도(山圖)는 가장 이상적이라고 생각하고 관찰한 지형을 풍수지리적 공간모형에 빗대어 표현한 지도로 풍수지리의 혈(穴)과 명당을 표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중국 명나라 때 발간된 대표적인 풍수서인 "지리인자수지(地理人子須知)"에 게재된 산도를 분석하여 지형표현의 특징을 산도의 시점, 중심지향적 지도, 투시점, 이중적축척, 산론(山論), 혈의 세부적 표현 등의 세부항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지리인자수지(地理人子須知)"에 게재된 산도의 지형표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시점은 부감법이 사용되었으며 묘지의 중심, 즉 혈처를 중심으로 세밀하게 지형이 묘사되는 중심지향적 지도로 혈처 주위의 중요지형은 실제 지형보다 파장되거나 생략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묘지에서 판찰되지 않는 중요지형은 사점이동을 통해 관찰하고 이를 세밀하게 표현하였다. 산론 부분에는 지리적 위치와 산맥의 흐름과 체계, 풍수적 특징, 묘지의 좌향과 주변지형, 발복 정도를 설명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산도의 방위성은 상대적인 것이고, 축척의 개념이 드러나지 않으나 병당 공간과 거점도시 및 방위성을 갖는 지형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아중적 축척을 사용하거나 근경 중경 원경을 묘사하는 과정에서 다중적 축척을 사용한 경우가 많았다.

  • PDF

광교신도시의 지리적·풍수적 특성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주거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Geographical and Feng Shui Characteristics of Gwanggyo New Town on Residential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sidence Value)

  • 정태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453-464
    • /
    • 2021
  • 본 연구는 광교신도시의 지리적.풍수적 특성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주거가치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하는지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이론적, 제도적, 실무적 함의를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광교신도시 거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주거만족도에 영향요인을 조사를 한 한 결과, 지리적·풍수적 특성은 주거가치와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였으며 주거가치도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전문적 풍수적 특성요인보다는 일반적 지리적 특성요인이 주거가치나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 일반 거주민에 익숙하고 더 유의한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주거만족에 영향요인으로 풍수적 특성요인과 지리적 특성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는 데 연구 차별성이 있다. 또한 이런 분석 결과를 기초 자료로 신도시 개발 및 주거만족도 제고를 위한 정책설계 시 제도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데 연구 의의가 있다.

신라말 구산선문(九山禪門) 사찰의 입지 연구 - 풍수적 측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ocation of Zen Buddhist Temples During the Late Silla Dynasty in Korea - from Feng-shui(風水) Perspective -)

  • 조성호;성동환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53-81
    • /
    • 2000
  • 신라 말 선종계열 사찰을 대표하는 구산선문(九山禪門)의 개산(開山)은 지방문화의 발흥과 자신감의 표현이었으며 지방 호족들의 사회 경제적 기반을 토대로 한 것이었다. 선종(禪宗)이 유행하던 시기에 주로 재창되었던 구산선문의 입지 특색은 풍수적 논리를 따른 것이다. 풍수가 성행하기 이전에 건립된 사찰들은 주로 전통적인 토착신앙 세력들이 신성시하던 성소, 성지(聖所, 聖地)를 택해 입지했고, 신라의 경우 왕성의 도심 곳곳에 사찰이 수없이 많이 건립되었다. 이후 신라말기에 선종의 유행으로 인해 선종사찰들이 많이 건립되고 풍수도 본격적으로 성행하게 되어 사찰의 입지에 풍수논리가 뒷받침되기 시작했다. 구산선문이 개산(開山)하기 이전의 사찰은 주로 삼산, 오악(三山, 五岳) 등의 영지(靈地)개념에 따른 입지가 많았으나 구산선문은 당시로서는 변방이라 할 수 있는 지역으로 확대되어 독립적인 산문을 재창하였다. 구산선문 각 사찰의 경우 산과 물이 짜임새 있게 조화를 이루고 있어 풍수지리적인 전체성이 잘 드러나고 있다. 각 사찰은 계곡물이 모여 완만히 감싸는 곳, 물을 얻기 용이하면서도 산이 사방으로 들러쳐진 아늑한 곳, 즉 풍수에서 길지(吉地)로 여기는 '산에 기대고 물에 접한' 땅에 입지하여 풍수적인 조건을 잘 갖추고 있다. 구산선문은 주로 분지상의 지세에 입지하였으며 사찰의 축선(軸線)은 지형(내룡(來龍)의 맥세(脈勢))에 따라 이루어졌다. 각 사찰에서 나타나는 장소의 약점은 풍수적인 비보책(裨補策)을 통해 보완하였다.

  • PDF

조선시대 족보(族譜)에 게재된 산도(山圖)의 특성과 지형표현 - "기계유씨족보(杞溪兪氏族譜)"와 "반남박씨세보(潘南朴氏世譜)"를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of Landform in Feng-shui Map on Genealogical Table in the Choson Dynasty)

  • 이형륜;성동환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0-57
    • /
    • 2011
  • 山圖(산도)는 풍수지리적 길지, 즉 혈(穴)과 명당의 국면을 표현한 지도이다. 산도는 가정 이상적이라고 생각하고 관찰한 자연지형을 풍수지리적 공간모형에 빗대어 표현한 것이다.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족보 중 "기계유씨족보(杞溪兪氏族譜)"와 "반남박씨세보(潘南朴氏世譜)"에 게재된 2개의 산도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족보(族譜)에 게재된 산도의 제작기법, 지형표현의 특징을 산도의 구도, 시점, 중심지향적 지도, 물의 흐름, 산론 등의 세부항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 산도는 이원적 축척과 부감법을 사용하였으며 묘지를 중심으로 지형을 묘사하고 중요지형을 실제 지형보다 과장해서 표현하였다. 또한 묘지에서 관찰되지 않는 중요지형은 시점이동을 통해 관찰하고 이를 세밀하게 표현하였다. 산론(山論) 부분에는 지리적 위치와 산맥의 흐름과 체계, 풍수적 특징, 묘지의 좌향과 주변지형을 설명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 PDF

선운사 입지의 공간구성과 가람 배치 (Space Composition and Layout of the Location of Seon-Un Temple)

  • 배영한;박정해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2호
    • /
    • pp.137-151
    • /
    • 2024
  • 본 연구는 고창 도솔산(兜率山) 선운사(禪雲寺) 입지에 대한 풍수적인 특징을 현장조사와 문헌고찰을 통해 형세론적 관점과 이기론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이다. 풍수가 갖는 특징적인 요소는 자연과 조화를 최우선 하며 합리적인 방법을 통하여 입지선정의 기준점으로 삼았다. 신라시대 입당승들은 형세풍수가 처음 나타난 강서지역에 유학을 하였는데, 강서지법의 형세풍수가 우리나라에 유입되어 사찰의 입지선정과 가람배치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선운사는 도솔산 아래에 입지하여 그 의미가 클 수밖에 없었고, 부처님의 나라로 들어가는 도솔천(兜率川)과 도솔암(兜率庵)을 통한 불교적 완성을 이루고자 하는 바람의 실천이었다. 따라서 고창 도솔산(兜率山) 아래에 자리한 선운사 입지에는 다양한 풍수적 특징이 반영되었는데, 특히 도솔산 선운사의 입지에는 풍수가 가지고 있는 특징과 의미를 논리적으로 사용하였고, 불교의 가장 신성한 의미를 갖는 불교 교리와 사상 전파를 목적으로 하는 자연과 하나되는 모습을 실천하였다.

도시의 특성을 활용한 스마트 도시계획 연구 - 정조포석의 수원화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rban Planning Utilizing City Characteristics - The Focused on Suwon Hwaseong Fortress of jeongjo Strategy -)

  • 김민국;김도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4호
    • /
    • pp.23-29
    • /
    • 2020
  • The latest urban planning is taking advantage of the city's spatiality, and its weight is increasing. The spatiality of the city extends to the three-dimensional air space, including the underground space and the surface space, and this is the relative location of land-use situations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ng shui geography. In this study, the urban planning of the Suwon Department and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uwon Hwaseong Fortress were analyzed based on the feng shui geography, using the topography and geographical features of Paldal Mountain as the center of the data. Natural-friendly urban planning is required to adapt to natural laws and to preserve and share the ecosystem while harmonizing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