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of Landform in Feng-shui Map on Genealogical Table in the Choson Dynasty

조선시대 족보(族譜)에 게재된 산도(山圖)의 특성과 지형표현 - "기계유씨족보(杞溪兪氏族譜)"와 "반남박씨세보(潘南朴氏世譜)"를 중심으로 -

  • Lee, Hyung-Yu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 Sung, Dong-Hwan (Department of Feng-shui & Tourism, Daegu Haany University)
  • 이형륜 (대구가툴릭대 지리교육과) ;
  • 성동환 (대구한의대 대학원 풍수지리관광학과)
  • Received : 2010.12.04
  • Accepted : 2011.01.15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A feng-shui map is a kind of map that features such propitious positions as fortune-bringing spots or ideal grave sites. The map is a representation of the most ideal natural terrains in terms of feng-shui perspectives. This study did research on two feng-shui maps registered on some genealogical tables in order to see how the map was drawn up. In addition,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landform expressions like the frame of the map, viewpoints, center-oriented mapping, water flow, mountain theories were delved in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 feng-shui maps for this research used the techniques of double scale and aerial view, described terrains with grave sites in their centers, and enlarged important terrains compared with surroundings for exaggeration purposes. In addition, other vital landforms not observed from grave sites were depicted with viewpoints moved and were represented in fine details. The part of mountain theories had the following points as their main subject matter: geographical locations, overall orientations of mountain ranges, topographical traits, grave seat directions and surrounding terrains.

山圖(산도)는 풍수지리적 길지, 즉 혈(穴)과 명당의 국면을 표현한 지도이다. 산도는 가정 이상적이라고 생각하고 관찰한 자연지형을 풍수지리적 공간모형에 빗대어 표현한 것이다.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족보 중 "기계유씨족보(杞溪兪氏族譜)"와 "반남박씨세보(潘南朴氏世譜)"에 게재된 2개의 산도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족보(族譜)에 게재된 산도의 제작기법, 지형표현의 특징을 산도의 구도, 시점, 중심지향적 지도, 물의 흐름, 산론 등의 세부항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 산도는 이원적 축척과 부감법을 사용하였으며 묘지를 중심으로 지형을 묘사하고 중요지형을 실제 지형보다 과장해서 표현하였다. 또한 묘지에서 관찰되지 않는 중요지형은 시점이동을 통해 관찰하고 이를 세밀하게 표현하였다. 산론(山論) 부분에는 지리적 위치와 산맥의 흐름과 체계, 풍수적 특징, 묘지의 좌향과 주변지형을 설명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