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nce-Type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8초

수동운전(ATS)구간에서 PSD 적용 기술의 성공적 요인 분석연구 (A Study of Successful Factor on PSD Application Technique for Manual Operation Mode(ATS))

  • 손영진;박근수;민경윤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55-770
    • /
    • 2006
  • 1974. 8.15 SeoulMetro, beginning with the first electric railway established at six cities, so it is managing mass transportation of traffic. Especially, in case of seoul, It is managing that from one to eight lines, 286.9km, 265 stations have installed and now it is carrying about 5.5million of passengers everyday, and 2,000million passengers a year. So accident is increasing from the station every year. For this measure, SeoulMetro prepares safety fence for passengers crash but, as suicides or people who watch the accident took place, for at the bottom of passengers crash protection, PSD installing is needed. Even though, PSD is managing ATO section but, in controlling SeoulMetro, one to four lines sections are (ATS, ATC)section. Between as ATS, ATC section, ATO section, subway gate and PSD must have opened and crossed always at the time. And the interlock control corrosion protection gate, managing skills with installation, method, using in history, apply to 10rail cars one train sets, and maximum applying 224% sections of passengers congested that consideration is to be needed. So 2004, SeoulMetro improved technology and basic design of PSD at ATS section. Based on this, from 2005.4 to 2006.6, using subway 2lines per 12stations set the model installation(full type 11stations, half type 1station) After installing in case of success, it is going about to suggest that effective analysis and hereafter subject.

  • PDF

韓國 통시(뒷간) 文化의 地域的 硏究 (A Regional Study on the Korean Toilet Culture)

  • 장보웅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55-268
    • /
    • 1995
  • 뒷간에 관한 호칭으로서 한반도에서 가장 넓게 분포되었던 용어는 통시이나, 이 통 시라는 표현은 현재 많이 사용하는 용어가 아니다. 그러나 과거에는 한반도 어느 지역에서 나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 용어임을 답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돼지울과 뒷 간이 함께 만들어진 경우에 통시라고 호칭하는 경향이 있었다. 제주도에서의 통시는 돌로 울을 만들어 돼지울을 만들고, 돼지울의 한쪽에 높게 고상의 형태로 뒷간을 만든다. 즉 돼지 울과 뒷간이 하나의 세트로 이루어졌다. 지리산을 중심으로 고상의 통시가 분포되어 있다. 통시에 돼지를 사육하는 마을도 있고, 고상의 통시이지만 현재는 돼지를 사육하지 않는 마 을도 있다. 선암사와 송광사의 뒷간도 고상의 구조이나 돼지의 사육과는 관계가 없다. 사찰 에서 고상의 뒷간을 만든 이유는 인분을 고화시키면 악취도 안 나고 처내기에 편리하기 때 문이다. 우리 나라에서 가장 단순한 구조를 갖는 뒷간은 디딤돌 뒷간이다. 이 경우는 지면에 디딤들을 2개 놓고 그 위에서 뒤를 보게 되어 있으며, 돼지의 사육과는 관련이 없다. 가장 단순한 구조의 뒷간이다. 서해안 도서 지방의 뒷간을 보면 돼지울과 뒷간이 나란히 배치되 어 있는 경우가 많다. 낙동강 상류 지방에는 남녀 유별의 통시가 많다. 과거 강원도 화전민 의 통시는 안채에 붙어 있다. 다설 지역인 울릉도 나리 분지에 있는 통시는 겨울의 적설기 에 대비한 통시의 구조이다.

  • PDF

창덕궁 승화루(承華樓) 일곽의 화계(花階) 조성과 변화 양상 (A Study on Creation of Terraced Flower Beds and Aspect of Change in the Seunghwaru Area, Changdeokgung Palace)

  • 오준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5-25
    • /
    • 2022
  • 본 연구는 창덕궁 승화루(承華樓) 남측 공간에 위치한 화계(花階)의 조성 경위를 탐색하고, 화계 조성 전후의 실상을 파악하여 향후 내전(內殿) 지역의 복원정비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00년대 초반 승화루 남측 공간은 낙선재(樂善齋) 일곽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지대(地帶)를 형성하고 있었다. 또한 북고남저지형을 따라 행각으로 위요된 마당, 낙선재 서행각(西行閣)과 연결되는 장방형 공지(空地)가 조성되어 있었다. 특히 장방형 공지는 일정 간격으로 장대석 석렬을 배치한 계단형 경사지였다. 둘째, 승화루 화계는 1920년대 후반에 시행된 낙선재 서행각의 신관(新館) 개축공사로부터 비롯되었다. 신관 건립 과정에서 건축 및 부대공간 조성에 필요한 가용지(可用地)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승화루 남측 공간의 원지형을 절토한 이후 절개지를 따라 지형처리 목적의 화계가 조성되었다. 셋째, 화계 조성 이후 승화루 남측 공간의 지형지물에 많은 변형이 발생하였다. 승화루의 앞마당은 낙선재 일곽보다 고지대에 자리하고 있었지만, 화계가 조성되는 과정에서 대부분 절토되어 사라졌다. 계단형 경사지 역시 신관 건축과 화계 조성 이후 자취를 감추었다. 화계의 선형을 따라 승화루 기단과 담장이 새롭게 조성되었으며, 독특한 양식의 협문과 부속 계단도 신설 담장으로 이설되었다.

매립지 누출위치 실시간 파악을 위한 전극검지법의 적용 사례 (Application of electrical leakage detection method for waste landfill)

  • 한상재;김병일;홍강한;정재현;김수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798-804
    • /
    • 2009
  • Damaged liners may be detected by using leakage detection systems. For the reason, many types of leakage detection systems are applied to analyze or detect damages of lining system such as electrical detection method for the landfill sites. However, most of them can be applied in the new landfill construction sites because sensors should be installed in the bottom of liner systems. This paper shows a case study reviewing the development of a fence type leakage detection method, monitoring system and pilot plant test results, so that they can be economically and efficiently applied to actual used or in-use sites without a leakage detection system.

  • PDF

Eight new species of two genera Dysidea and Euryspongia (Demospongiae: Dictyoceratida: Dysideidae) from Korea

  • Kim, Young A;Lee, Kyung Jin;Sim, Chung Ja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56-67
    • /
    • 2020
  • Eight new species of two genera Dysidea and Euryspongia (Demospongiae: Dictyoceratida: Dysideidae) are described from Gageodo, Ulleungdo, Geomundo, and Jejudo Islands, Korea. Four new species of the genus Dysidea are differentiated by the fibre structure, cored detritus, and fibre arrangement. Dysidea mureungensis n. sp. is characterized by the honeycomb shape of surface and no distinction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fibres. Dysidea glavea n. sp. differs by large sands cored in fibres and that the membrane easily separates from fibres. Dysidea geomunensis n. sp. has fibres that are thinner than those of D. glavea n. sp.. Dysidea corallina n. sp. is characterized by folded fan shape and the arrangement of secondary fibres. Four new species of the genus Euryspongia are differentiated by the fibre structure, cored detritus, shape of sponge, and fibre arrangement. Euryspongia radicula n. sp. is very different from other species by having regularly arranged fibres. Euryspongia spina n. sp. has a fence-like skeletal structure. Bridged type secondary fibres are arranged near the surface and web types are at the base of fibres. Euryspongia flabellum n. sp. has a very unique wide, thin leaf-like shape. String-like primary fibres of E. linea n. sp. are very unique and cored with large sized sands.

경남 하동지역의 전통 상류주거 (A Study on the Traditional Noble House in the Ha-Dong Area, Kyeong-Nam)

  • 김화봉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1호
    • /
    • pp.49-6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sis of traditional noble houses style of Ha-Dong area in Kyeong-Nam. The sequence of this study is at first finding the list of survey object, and investigating of those houses, after than drawing the site and floor plan, and lately analysis the characters of inner and outer space of them. It required six months.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m are as follows. 1. The noble traditional houses in Ha-Dong are found eight samples which are not noticed in academic society. 2. The constructions of noble housing in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are divided in three parts as a general role. Its grade is similar in Ha-Dong. The number of traditional noble house of (old) volunteer class is two cases. The (new) rich-farmer class is four cases. And there are two cases of (long) authority class. 3. The type of site plan is based on Korean south area style which is the style of departed rectangular type. But outdoor spaces are divided in several space by many fence than other area. It is the special item of construction. 4. The special character of indoor space is the use of 'Gong-ru'. It is called similar space used in top of main entrance building of large building. But it is located in various space in Ha-dong. It is included in any space of Sarang-Che, An-Che, Are-Che. The traditional noble houses of Ha-Dong area have special spacial characters. For long time there space was developed based on local identity. And its characters was divided various classes. Thus Ha-Dong area is definite place of useful identified traditional culture.

  • PDF

수동운전(ATS)구간에서 PSD 적용 기술의 성공적 요인 분석연구 (A Study of Successful Factor on PSD Application Technique for Manual Operation Mode(ATS))

  • 손영진;박근수;민경윤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57-66
    • /
    • 2007
  • 1974. 8. 15 SeoulMetro, beginning with the first electric railway established at six cities, so it is managing mass transportation of traffic. Especially, in case of seoul, It is managing that from one to eight lines, 286.9km, 265 stations have installed and now it is carrying about 5.5million of passengers everyday, and 2,000million passengers a year. So accident is increasing from the station every year. For this measure, SeoulMetro prepares safety fence for passengers crash but, as suicides or people who watch the accident took place, for at the bottom of passengers crash protection, PSD installing is needed. Even though, PSD is managing ATO section but, in controlling SeoulMetro, one to four lines sections are (ATS, ATC)section. Between as ATS, ATC section, ATO section, subway gate and PSD must have opened and crossed always at the time. And the interlock control corrosion protection gate, managing skills with installation, method, using in history, apply to 10rail cars one train sets, and maximum applying 2224% sections of passengers congested that consideration is to be needed. So 2004, SeoulMetro improved technology and basie design of PSD at ATS section. Based on this, from 2005.4 to 2006.6, using subway 2lines per 12stations set the model installation(full type 11stations, half type 1station) After installing in case of success, it is going about to suggest that effective analysis and hereafter subject.

산지목장 방문자의 목장 경관 기대와 목초지 및 초지시설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양떼목장 방문객의 경우 (Studies on Hilly Pasture Landscape Expectancy, Satisfaction of Tourist on Grassland Facility: A case Study of Yangtae Farm Visitor)

  • 강대구;이효진;이효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8-79
    • /
    • 2017
  • 첫째, 방문응답자은 여자, 40대, 사무직, 기혼, 대졸이 가장 많았다. 둘째, 목가적 초원에 대한 기대는 연령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가축을 방목하는 드넓은 초원이 모든 연령집단에서 가장 많았으나, 평균보다 높은 집단은 30대뿐이었고, 다른 집단은 모두 낮았으며, 가장 낮은 집단은 50대였다. 셋째, 초지의 색깔은 잡초, 야생화가 어우러진 다양한 색과 공원의 잔디밭 같은 녹색이 41%정도로 두 가지 유형이 80%이상의 응답을 차지하고 있었다. 넷째, 선호하는 초지형태는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20대미만과 50대는 끝이 보이지 않는 넓은 면적의 초지, 40대와 60대 이상은 산림이 둘러싸여있는 구릉지 초지, 20대는 넓은 면적의 초지와 구릉지 초지가 동일하게 가장 많았으며, 30대는 구릉지초지와 초지사이에 나무가 적당히 섞인 초지가 동일하게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다. 다섯째, 방목형태는 연령별로는 20대, 30대는 양, 젖소, 말의 혼목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고, 40대, 50대, 60대 이상은 양, 염소, 유산양 혼목을 원했으며, 20대미만은 양, 염소, 유산양 혼목과 양, 젖소, 말 혼목을 모두 가장 많이 선호하였다.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경우는 양, 젖소, 말의 혼목이 모두 높았으나, 결혼경험이 있는 집단은 양만 방목하거나, 양, 염소, 유산양 혼목이 평균치보다 높았으며, 미혼집단은 양, 젖소, 말의 혼목, 양과 토끼 혼목, 기타의 경우가 높았다. 여섯째, 선호하는 목장유형은 성별과 연령별로 5%수준에서 유의차가 있었고, 집단별 선호도에서는 각각 가장 많은 경우가 양떼방목이었으나, 남자보다는 여자가 보다 많았고, 연령별로는 30대, 40대, 50대 연령집단이 평균보다 많았으며, 20대, 20대미만, 60대 이상은 평균보다 낮았다. 일곱째, 목장의 목책은 생나무에 쳐진 둥근 철사목책, 나무에 쳐진 철사목책, 철조망 목책 순이었고 가시 있는 철조망목책, 철사로 된 전기목책, 기타는 5%미만이었다. 목책기둥의 재료와 색은 결혼여부에 따라서 5%수준에서 유의차가 있었다. 가장 선호하는 목책은 모두 나무 목책을 선호하였으나, 미혼자는 검정색 방부처리기둥, 시멘트기둥을 선호하였고, 결혼경험자는 흰색금속재기둥, 흰색목재기둥, 나무목책을 선호하였다. 여덟째, 직업별이나 결혼여부별로는 모두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은 흙길이었다. 평균보다 높은 직업은 사무직과 기타였고, 학생, 기술직, 자영업, 전문직은 낮았으며, 결혼경험자의 흙길의 선호가 보다 높았다. 목장길 옆의 초생의 형태는 긴 목초가 있는 길을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경우는 20대미만이고, 그 외집단은 야생화와 목초가 혼재된 길을 선호하였으며, 학생을 제외한 다른 직업들은 야생화와 목초가 혼재된 길을 선호하고 학생은 긴 목초형을 선호하였다. 아홉째, 목장방문자의 만족도는 가장 마음에 들었던 부분은 체험프로그램이나 양과의 접촉보다는 경관요소를 만족했다.

강풍시 도로의 주행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종합적인 방풍대책 (An overall wind shielding program for enhancing driving stability)

  • 권순덕;정운용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통권76호
    • /
    • pp.263-27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강풍을 받는 차량의 주행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일련의 종합적인 대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세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로 차종별 속도제한 및 통행제한 기준을 마련하였다. 두 번째는 방풍대책의 필요여부를 판단할 설치 기준을 작성하는 것으로, 국부적인 지형의 보정을 통한 기상자료의 확률적인 모델을 이용하여 위험도를 판단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는 풍속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풍벽을 제안하는 것으로 전산유체해석과 풍동실험을 통하여 풍속감소 효과, 경제성, 시각적 개방성을 고려한 방풍벽을 설계하였다. 아울러 현장실험을 통하여 4가지 방풍벽의 성능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생육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owth Status of the Large Old Trees as the Natural Monuments of Korea)

  • 방광자;이승제;강현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5-45
    • /
    • 200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ggest growth status data of the large old trees as the natural monuments of Korea. Field investigation of 70 large old trees as the natural monuments of Korea was carried out in Seoul, Inchon, Kyungki, Chungbuk, Chungnam, Chonbuk, Chonnam. The main field of this study is classified into the growth condition, soil state and management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elow : The age distribution of the large old trees as the natural monuments of Korea is as follows : above l00years in 5.9%, above 200years in 8.9%, above 300 years in 11.8%, above 400 years in 16.2%, above 500 years in 16.2% and above 600years in 41.1%. Location types of the large old trees as the natural monuments of Korea are found in 11 types; the types are hill side(22.9%), historical monument area(15.7%), field(l4.3%) and building area(12.9%), etc. Also, growth type of the trees is individually placed. In the aspect of soil environment, the acidification of soils has been appearing in all surveyed areas, and the soil of Seoul area has much acidum phosphoricum because of excessive fertilizer. Finally, in management situation. major factors inhibiting growth of the large old trees as the natural monuments of Korea are soil covering of protruded root above ground, soil hardening by human, embankments, small area that has been surrounded fence. Continuous monitoring and accumulation of status data are necessary to preserve the large old trees as the natural monuments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