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S

검색결과 325건 처리시간 0.028초

Green Fluorescent Protein(GFP)의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er(FACS) 분석을 통한 유전자 이입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Gene Transfection Using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er(FACS) Analysis of Green Fluorescent Protein(GFP))

  • 김태경;박민태;이균민
    • KSBB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377-379
    • /
    • 1999
  • CHO/dhfr- 세포에 대해 LipofectAmine$^{TM}$을 이용한 유전자 이입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지질과 DNA의 최적 농도를 구하였다. Reporter 유전자로서 GFP 유전자를 이용하였으며, 여러 농도의 지질 DNA로 유전자 이입된 각 세포군에서 나타나는 green fluorescence intensity를 FACS 분석함으로써 유전자 이입 효율을 정량화 할 수 있었다. 그 결과 24-well plate에서 $2.0{\mu}L$LipofectAmine$^{TM}$$0.4{\mu}g$ DNA를 조합하여 사용했을 때 최적의 유전자 이입 효율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GFP는 유전자 이입 최적화를 수행하는 데에 여러가지 면에서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를 위한 표정 부호화 시스템(FACS) 적용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Facial Action Coding System for Product Design Process)

  • 황차오;고정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80-88
    • /
    • 2019
  • 사용자와 감성적인 소통(Emotional Communication)이 중요한 제품 디자인 영역에서 디자이너가 사용자 감성을 보다 명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은 제품 디자인 연구의 매우 핵심적인 활동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품디자인과정에 감성측정의 활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행위적 감성 측정 방법인 표정 부호화 시스템(Facial Action Coding System, FACS)을 제품디자인 평가에 활용하였다. 표본으로 선정한 감성 제품의 Image Map을 활용하여 긍정적, 부정적, 중성 감성을 유발하는 제품 자극물 총 6개를 선정하여 20대 일반 제품 사용자를 실험 대상으로 FACS 실험을 진행하고 사용자 얼굴 표정을 통하여 자극물에 대한 감성상태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통하여 표정 부호화 시스템이 제품디자인에 적용 과정에서 "사용자 무의식적인 얼굴 표정을 기록할 수 있다" 등 장단점을 분석하였으며 "사용자 반응도 높은 제품 자극물을 선정해야 한다" 등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새로운 제품을 시장에 출시하기 전에 제품디자인 시안 단계에서 사전 사용자 감성 예측 방법으로 FACS를 활용성 검토에 도움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FACS 기반을 둔 3D 얼굴 모델링 (3D Face Modeling based on FACS (Facial Action Coding System))

  • 오두식;김유성;김재민;조성원;정선태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1015-1016
    • /
    • 2008
  • In this paper, the method which searchs a character of face and transforms it by FACS(Facial Action Coding System) for face modeling is suggested. FACS has a function to build an expression of face to AUs(Action Units) and make various face expressions. The system performs to find accurate Action Units of sample face and use setted AUs. Consequently it carries out the coefficient for transforming face model by 2D AUs matching.

  • PDF

감정표현을 위한 FACS 기반의 안드로이드 헤드의 개발 (Development of FACS-based Android Head for Emotional Expressions)

  • 최동운;이덕연;이동욱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537-544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FACS(Facial Action Coding System)에 기반을 둔 안드로이드 로봇 헤드의 개발을 통한 감정표현 방법을 제안한다. 안드로이드 로봇은 인간과 가까운 외모를 가진 로봇을 말하며, 인공 피부, 인공 근육을 가지고 있다. 감정 표현을 로봇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인공 근육의 개수와 배치를 정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인간의 얼굴 움직임을 해부학적으로 분석하였다. FACS는 해부학을 기반으로 하여 표정을 만들 때의 얼굴의 움직임을 분석한 시스템이다. FACS에서는 표정은 AU(Action Unit)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며, 이 AU를 기반으로 로봇의 인공 근육의 수와 위치를 정하게 된다. 개발된 안드로이드 헤드는 30개의 인공 근육에 해당되는 모터와 와이어를 가지고 있으며, 표정 구현을 위한 인공 피부를 가지고 있다. 제한된 머리 공간에 많은 모터를 탑재하기 위해 spherical joint와 스프링을 이용하여 초소형 안구 모듈이 개발되었고, 와이어 경로의 효율적인 설계를 기반으로 30개의 모터가 배치되었다. 제작된 안드로이드 헤드는 30 자유도를 가지고 13개의 기본 감정 표현을 구현 가능하였고, 전시회에서 일반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인식률을 평가 받았다.

영상객체 spFACS ASM 알고리즘을 적용한 얼굴인식에 관한 연구 (ASM Algorithm Applid to Image Object spFACS Study on Face Recognition)

  • 최병관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12
    • /
    • 2016
  • Digital imaging technology has developed into a state-of-the-art IT convergence, composite industry beyond the limits of the multimedia industry, especially in the field of smart object recognition, face - Application developed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actively studied in conjunction with the phone. Recently, face recognition technology through the object recognition technology and evolved into intelligent video detection recognition technology,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object detection recognition process applies to skills through is applied to the IP camera, the image object recognition technology with face recognition and active research have. In this paper, we first propose the necessary technical elements of the human factor technology trends and look at the human object recognition based spFACS (Smile Progress Facial Action Coding System) for detecting smiles study plan of the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recognizes objects. Study scheme 1). ASM algorithm. By suggesting ways to effectively evaluate psychological research skills through the image object 2). By applying the result via the face recognition object to the tooth area it is detected in accordance with the recognized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of a person demonstrated the effect of extracting the feature points.

Pro-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of Spleen Dendritic Cells in Mouse Toxoplasmosis

  • Nam, Ho-Woo;Ahn, Hye-Jin;Yang, Hyun-Jo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9권2호
    • /
    • pp.109-114
    • /
    • 2011
  • Dendritic cells have been known as a member of strong innate immune cells against infectious organell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cytokine expression of splenic dendritic cells in chronic mouse toxoplasmosis by tissue cyst-forming Me49 strain and demonstrated the distribution of lymphoid dendritic cells by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er (FACS).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L-$1{\alpha}$, IL-$1{\beta}$, IL-6, and IL-10 increased rapidly at week 1 post-infection (PI) and peaked at week 3 PI. Serum IL-10 level followed the similar patterns. FACS analysis showed that the number of $CD8{\alpha}^+/CD11c^+$ splenic dendritic cells increased at week 1 and peaked at week 3 PI. In conclusion, mouse splenic dendritic cells showed early and rapid cytokine changes and may have important protective roles in early phases of murine toxoplasmosis.

FACS 기반 GAN 기술을 이용한 가상 영상 아바타 합성 기술 (Video Synthesis Method for Virtual Avatar Using FACS based GAN)

  • 김건형;박수현;이상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40-342
    • /
    • 2021
  • 흔히 DeepFake로 불리는 GAN 기술은 소스 영상과 타겟 이미지를 합성하여 타겟 이미지 내의 사람이 소스 영상에서 나타나도록 합성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GAN 기반 영상 합성 기술은 2018년을 기점으로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며 다양한 산업에 접목되어지고 있으나 학습 모델을 얻는 데 걸리는 시간이 너무 오래 소요되고, 감정 표현을 인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 두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Facial Action Coding System(FACS) 및 음성 합성 기술[4]을 적용한 가상 아바타 생성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Development of a New Approach to Determine the Potency of Bacille Calmette-Guérin Vaccines Using Flow Cytometry

  • Gweon, Eunjeong;Choi, Chanwoong;Kim, Jaeok;Kim, Byungkuk;Kang, Hyunkyung;Park, Taejun;Ban, Sangja;Bae, Minseok;Park, Sangjin;Jeong, Jayoung
    • Osong Public Health and Research Perspectives
    • /
    • 제8권6호
    • /
    • pp.389-396
    • /
    • 2017
  • Objectives: To circumvent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golden standard method, colony-forming unit (CFU) assay, for viability of Bacille Calmette-$Gu{\acute{e}}rin$ (BCG) vaccines, we developed a new method to rapidly and accurately determine the potency of BCG vaccines. Methods: Based on flow cytometry (FACS) and fluorescein diacetate (FDA) as the most appropriate fluorescent staining reagent, 17 lots of BCG vaccines for percutaneous administration and 5 lots of BCG vaccines for intradermal administration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percentage of viable cells measured by flow cytometry along with the total number of organisms in BCG vaccines, as determined on a cell counter, was used to quantify the number of viable cells. Result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of FACS and CFU assays for percutaneous and intradermal BCG vaccines were 0.6962 and 0.7428, respectively, indicating a high correlation.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value of the FACS assay was less than 7%, which was 11 times lower than that of the CFU assay. Conclus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valuation of new potency test method for FACS-based determination of viable cells in BCG vaccines. Accordingly, quality control of BCG vaccines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국인 표준 얼굴 표정 이미지의 감성 인식 정확률 (The Accuracy of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Standard Facial Expression)

  • 이우리;황민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76-483
    • /
    • 2014
  • 본 논문은 국내 표정 연구에 적합한 얼굴 표정 이미지를 제작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1980년대 태생의 한국인의 표준 형상에 FACS-Action Unit을 결합하여, KSFI(Korean Standard Facial Image) AU set를 제작하였다. KSFI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6가지 기본 감성(슬픔, 행복, 혐오, 공포, 화남, 놀람) 이미지를 제작하여, 감성 별 인식 정확률과 얼굴 요소의 감성인식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정확률이 높은 행복, 놀람, 슬픔, 분노의 이미지의 경우 주로 눈과 입의 얼굴 요소를 통해 감성을 판단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표정 이미지의 AU 변경할 수 있는 KSFI 콘텐츠를 제안하였다. 향후 KSFI가 감성 인식률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학습 콘텐츠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