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2-F1

검색결과 16,843건 처리시간 0.033초

6배체 트리티케일과 밀의 잡종초기세대의 교잡 친화성, 교잡종자의 발엽율 및 화분임성 (Crossability, Germination Rate, and Pollen Fertility of Progeny Drived from Cross between Hexaploid Triticale(X Triticosecale Wittmack) and Wheat(Triticum aestivum L.))

  • 황종진;이홍석;하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6-235
    • /
    • 1991
  • 트리티케일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위해, 6배체 트리티케일인 신기호밀(TC)과 6배체 보통밀 5개 품종을 교잡한 잡종 초기세대의 교잡친화성, 발아율, 및 화분의 활력등을 검토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응과 같다 1. 신기호밀(TC)과 밀의 교배에서 교잡율은 조합에 따라 28.8~41.8%로, 평균 34.1%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의 역교배에서는(밀X신기호밀) 교잡율이 극히 낮았다. F$_1$에 신기호밀을 환분친으로 여교잡(F$_1$/P$_1$)했을 때는 평균 3.99%, 밀을 환분친으로 여교잡(F$_1$,P$_2$) 했을 때는 평균 21.9%의 교잡율을 보였고, F$_1$을 자식시킨 에서는 평균 3.61%의 임실율을 보였다. 2. 트리티케일과 밀의 F$_1$에 양친을 여교접할 때 F$_1$/밀이 /F$_1$보다. 트리리케일/F$_1$이 F$_1$/트리티케일보다 교잡율이 높았다. 3. 모든 단교배 F$_1$ 종자의 발아율은 80% 이상이었으며 트리티케일/밀에서 F$_1$/P$_2$세대는 평균81%, F$_1$/P$_1$은 62%, F$_2$는 66.3%로 세대별로 차이가 있었다. 4. 트리티케일 품종 신기호밀을 화분친으로 사용하여 밀과 교배할 경우 배란형성이 안되었으며, 이때의 배란게놈 조성은 AAABBBDDR 이었다. 5. 트리티케일과 밀을 교잡한 F$_1$의 화분 임성은 평균 30.2%로 나타났다. 6. 트리티케일과 밀의 F$_1$의 화분 임성과 교잡율(F$_1$, F$_2$, F$_1$/P$_2$)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A NOTE ON EXTREMAL LENGTH AND CONFORMAL IMBEDDINGS

  • Chung, Bo-Hyun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8권5_6호
    • /
    • pp.1315-1322
    • /
    • 2010
  • Let D be a plane domain whose boundary consists of n components and $C_1$, $C_2$ two boundary components of D. We consider the family $F_1$ of conformal mappings f satisfying f(D) $\subset$ {1 < |w| < ${\mu}(f)$}, $f(C_1)=\{|w|=1\}$, $f(C_2)=\{|w|={\mu}(f)\}$. There are conformal mappings $g_0$, $g_1({\in}F_1)$ onto a radial and a circular slit annulus respectively. We obtain the following theorem, $$\{{\mu}(f)|f\;{\in}\;F_1\}=\{\mu|\mu(g_1)\;{\leq}\;{\mu}\;{\leq}\;{\mu}(g_0)\}$$. And we consider the family $F_n$ of conformal mappings $\tilde{f}$ from D onto a covering surfaces of the Riemann sphere satisfying some conditions. We obtain the following theorems, {$\mu|1$ < ${\mu}\;{\leq}\;{\mu}(g_1)$} ${\subset}\;\{{\mu}(\tilde{f})|\tilde{f}\;{\in}\;F_2\}\;{\subset}\;\{{\mu}(\tilde{f})|\tilde{f}\;{\in}\;F_n\}$ and ${\mu}(\tilde{f})\;{\leq}\;{\mu}(g_0)^n$.

QUADRATIC ρ-FUNCTIONAL INEQUALITIES

  • YUN, SUNGSIK;LEE, JUNG RYE;SEO, JEONG PIL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B:순수및응용수학
    • /
    • 제23권2호
    • /
    • pp.145-153
    • /
    • 2016
  • In this paper, we solve the quadratic ρ-functional inequalities (0.1) ${\parallel}f(x+y)+f(x-y)-2f(x)-2f(y){\parallel}$ $\leq$ ${\parallel}{\rho}(4f(\frac{x+y}{2})+f(x-y)-2f(x)-2f(y)){\parallel}$, where $\rho$ is a fixed complex number with $\left|{\rho}\right|$ < 1, and (0.2) ${\parallel}4f(\frac{x+y}{2})+f(x-y)-2f(x)-2f(y){\parallel}$ $\leq$ ${\parallel}{\rho}(f(x+y)+f(x-y)-2f(x)-2f(y)){\parallel}$, where ρ is a fixed complex number with |ρ| < $\frac{1}{2}$. Furthermore, we prove the Hyers-Ulam stability of the quadratic ρ-functional inequalities (0.1) and (0.2) in complex Banach spaces.

QUADRATIC (ρ1, ρ2)-FUNCTIONAL EQUATION IN FUZZY BANACH SPACES

  • Paokant, Siriluk;Shin, Dong Y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B:순수및응용수학
    • /
    • 제27권1호
    • /
    • pp.25-33
    • /
    • 2020
  •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following quadratic (ρ1, ρ2)-functional equation (0, 1) $$N(2f({\frac{x+y}{2}})+2f({\frac{x-y}{2}})-f(x)-f(y)-{\rho}_1(f(x+y)+f(x-y)-2f(x)-2f(y))-{\rho}_2(4f({\frac{x+y}{2}})+f(x-y)-f(x)-f(y)),t){\geq}{\frac{t}{t+{\varphi}(x,y)}}$$, where ρ2 are fixed nonzero real numbers with ρ2 ≠ 1 and 2ρ1 + 2ρ2≠ 1, in fuzzy normed spaces. Using the fixed point method, we prove the Hyers-Ulam stability of the quadratic (ρ1, ρ2)-functional equation (0.1) in fuzzy Banach spaces.

QUADRATIC ρ-FUNCTIONAL INEQUALITIES IN BANACH SPACES: A FIXED POINT APPROACH

  • PARK, CHOONKIL;SEO, JEONG PIL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23권2호
    • /
    • pp.231-248
    • /
    • 2015
  • In this paper, we solve the following quadratic $\rho$-functional inequalities ${\parallel}f(\frac{x+y+z}{2})+f(\frac{x-y-z}{2})+f(\frac{y-x-z}{2})+f(\frac{z-x-y}{2})-f(x)-x(y)-f(z){\parallel}\;(0.1)\\{\leq}{\parallel}{\rho}(f(x+y+z+)+f(x-y-z)+f(y-x-z)+f(z-x-y)-4f(x)-4f(y)-f(z)){\parallel}$ where $\rho$ is a fixed complex number with ${\left|\rho\right|}<\frac{1}{8}$, and ${\parallel}f(x+y+z)+f(x-y-z)+f(y-x-z)+f(z-x-y)-4f(x)-4f(y)-4f(z){\parallel}\;(0.2)\\{\leq}{\parallel}{\rho}(f(\frac{x+y+z}{2})+f(\frac{x-y-z}{2})+f(\frac{y-x-z}{2})+f(\frac{z-x-y}{2})-f(x)-f(y)-f(z)){\parallel}$ where $\rho$ is a fixed complex number with ${\left|\rho\right|}$ < 4. Using the fixed point method, we prove the Hyers-Ulam stability of the quadratic $\rho$-functional inequalities (0.1) and (0.2) in complex Banach spaces.

F1/F2의 변화가 한국어 /오/, /우/ 모음의 지각판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1/F2 Manipulation on the Perception of Korean Vowels /o/ and /u/)

  • 윤지현;성철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5권3호
    • /
    • pp.39-46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two Korean vowels using F1/F2 manipulated synthetic vowels. Previous studies indicated that there is an overlap between the acoustic spaces of Korean /o/ and /u/ in terms of the first two formants. A continuum of eleven synthetic vowels were used as stimuli. The experiment consisted of three tasks: an /o/ identification task (Yes-no), an /u/ identification task (Yes-no), and a forced choice identification task (/o/-/u/).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to calculate the boundary criterion of the two vowels along the stimulus continuum, and to predict the perceptual judgment on F1 and F2.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location between stimulus no.5 (F1 = 342Hz, F2 = 691Hz) and no.6 (F1 = 336Hz, F2 = 700Hz) was estimated as a perceptual boundary region between /o/ and /u/, while stimulus no.0 (F1=405Hz, F2=666Hz) and no.10 (F1=321Hz, F2=743Hz) were at opposite ends of the continuum. The influence of F2 was predominant over F1 on the perception of the vowel categories.

과맥의 주요형질에 대한 조합능력 및 유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ombining Ability and Inheritance of Major Agronomic Characters in Naked Barley)

  • 민경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4
    • /
    • 1978
  • 과맥의 조숙단간다수성 품종육성에 관한 기초자요를 얻고저 고맥에서 주로 교배모본으로 많이 사용되어온 애원과 001, 사국과 4002, 산수과, 영성과, 향천과 001, 장주백과, 백동, 청맥, 세도하다가, 목포 4002등 10품종을 1974연에 diallel cross하여 1975연부터 1976연까지 작물시험장 목포지장 시험포장에서 양친, F_1과 F_2를 재배하여 출수기, 간장 및 주당수량을 조사하여 그들의 유전율, 조합능역과 유전에 대하여 분석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광의의 유전율은 출수기, 간장 및 수량이 각각 0.7831, 0.7599, 0.6061로서 비교적 높았고 협의의 유전율은 출수기가 F_1에서는 0.3972, F_2에서는 0.7789였으며 간장은 F_1에서 0.6567, F_2에서 0.6414로 매우 높아서 초기세대에서 선발이 유효할 것이나 주당수량은 F_1이 0.3776, F_2에서 0.4170으로 비교적 낮았다. 2. 출수기에 대한 GCA는 F_1 및 F_2에서 애원과 001, 사국과 4002, 산수과, 영성과는 조생방향으로 기타품종은 만생방향으로 높았으며 F_1의 GCA는 F_2 보다 높았다. SCA는 사국과 4002$\times$목포 애원과 001\times산수과, 사국과 4002\times산수과, 사국과 4002\times영성과 조합은 F_1과 F_2에서 모두 조생 방향으로 높았다. 간장의 GCA는 F_1 및 F_2에서 모두 목포 4002, 영성과, 산수과, 사국과 4002는 단간방향으로 높았으며 기타품종은 장간방향으로 높았고 F_1의 GCA는 F_2보다 높았다. SCA는 가장 단간인 목포 4002와 애완과 001, 산수과 및 영성과와의 조합에서 단간방향으로 높았다. 4. GCA는 F_1 주당수량이 높은 백동, 향천과 001 산수과, 영성과, 사국과 4002등이 다수방향으로 높았고 기타품종은 저수방향으로 높았으며 F_1의 GCA는 F_2보다 다소켰다. SCA가 가장 큰 조합은 목포 4002를 편친으로 한 사국과 4002, 세도하다가, 청맥과의 조합이었다. 5. F_1 및 F_2의 평균출수기는 mid-parent보다 조생이였으며 F_1이 F_2보다 조생이었고 이러한 경향은 조생품종일수록 높고 만생품종일수록 낮았다. 6. 출수기의 유전은 조생방향으로 부분우성이며 대립유전자의 작용이 크고 품종간의 우열관계는 애원과 001, 사국과 42경, 향천과 001, 목포 4002가 다른 품종에 대하여 열성으로 나타났다. 7. F_2에서 출수기유전은 45조함중 33조함은 소수 유전자 개념으로는 설명할 수 없고 1개조함은 조생 대 만생이 3 : 1, 1개 조합은 만생 대 조생이 3 : 1 로 분리하며 4개 조합은 조생 대 만생이 9 : 7, 6개 조합은 만생 대 조생이 9 : 7로 분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 F_2에서 출수기에 대하여 조생개체의 초월분리가 많은 조합은 영성과\times백동, 애원과 001\times세도하다가. 산수과\times향천과 001, 애원과 001\times향천과 001, 사국과 4002, \times향천과 001, 향천과 001\times세도하다가, 애원과 001\times사국과 4003, 애원관 001\times영성과 등이였다. 9. F_1 및 F_2의 평균간장은 양친의 간장 범위내에서 mid-parent보다 F_1 및 F_2가 다소 큰 영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단간품종에서 크고 장간품종에서 적었다. 10. 간장유전은 부분우성이며 대립유전자의 지배를 받고 상가적 유전자의 작용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극단간인 목포 4002는 열성, 장간인 백동은 우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11. 간長에 대한 $F_2에서의$ 분리양상을 보면 대부분의 조함에서 정규분포를 보여 유전자의 상가적작용이 클 것으로 보이며 단간 또는 장간으로 초월분리를 보인 조합이 많았다. 애원과 001, 사국과 4002, 영성과, 세도하다가 등의 중간\times중간조합에서 단간개체의 분리가 많았다. 12. F_1 및 F_2의 평균주당수양은 mid-paren에 비하여 F_1에서 6% F_2에서 5% 높았으며 주당수량이 많은 품종에서는 증수율이 낮고 주당수량이 적은 품종에서는 증수율이 높았다. 13. 주당수량에 대하여는 Wr, Vr graph에서 비대입유전자작용이 컷고 초월우성을 보였으며 품종간의 우열관계는 목포 4002의 저수성이 열성을 나타났으나 유전현상의 정확한 추정은 국난하였다.

  • PDF

Genetic Evaluation of F1, F2 and F3 Crosses of Hariana with Friesian, Brown Swiss and Jersey

  • Dutt, Triveni;Bhushan, Bharat;Srivastava, B.B.;Bhat, P.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5호
    • /
    • pp.470-474
    • /
    • 1998
  • Data on the first lactation performance traits of $F_1$, $F_2$ and $F_3$ crosses covering the period from 1972 to 1995 of a total of 803 dairy cows of three genetic grades maintained at Livestock Production Research Farm, Indian Veterinary Research Institute, Izatnagar were analysed. Three genetic grades were 1/2 Friesian + 1/2 Hariana (FH), 1/2 Friesian + 1/4 Brown Swiss and 1/4 Hariana (FBH) and 1/2 Friesian+ 1/4 Jersey + 1/4 Hariana (FJH). Age at first calving increased by 7% and 8% in $F_2$ and $F_3$, respectively, over the $F_1$ in FH. The reduction in age at first calving at $F_2$ and $F_3$ levels by 2-7% over the $F_1$ was observed in FBH and FJH. The lactation milk yield of $F_1$, $F_2$ and $F_3$ crosses was $1,943{\pm}100.3$, $2202{\pm}120.5$ and $1,925{\pm}123.2kg$ in FH; $2,014{\pm}76.7$, $2,264{\pm}91.5$ and $2,096{\pm}123.9kg$ in FBH and $2,005{\pm}87.0$, $2,414{\pm}94.4$ and $2,093{\pm}121.1kg$ in FJH, respectively. The lactation milk yield improved by 12-20% in $F_2$ crosses in various genetic grades. The performance of $F_1$ was, however, maintained in FH $F_3$ crosses, it improved by 4% in FBH and FJH $F_3$ crosses. The lactation lengths and calving intervals were nearly the same for $F_1$, $F_2$ and $F_3$ crosses in FH while lactation lengths and calving intervals were reduced by 3-11% in $F_2$ and $F_3$ crosses in FBH and FJH genetic grades. The milk yield/day of lactation length and milk yield/day of calving interval increased by 16-35% in $F_2$ and 2-14% in $F_3$ over the $F_1$ in various genetic grades. It is recommended that a sufficiently large effective population size of these three genetic grades be maintained by inter se matings and rigorous selection of sires so for developing a genetic base population for new breed development.

Electrowinning에 의한 $LiF-BeF_2-ZrF_4$ 용융염에서 Zr 금속 분리 (Separation of Zr metal from $LiF-BeF_2-ZrF_4$ Molten Salt by Electrowinning)

  • 우문식;유재형;권수한
    • 분석과학
    • /
    • 제13권6호
    • /
    • pp.759-765
    • /
    • 2000
  • 전해제련법을 이용하여 $LiF-BeF_2-ZrF_4$ (67-27-6 mol%) 용융염에서 Zr 금속 분리실험을 수행하였다. $LiF-BeF_2$ (72-28 mol%) 용융염과 $LiF-BeF_2-ZrF_4$ (67-27-6 mol%) 용융염의 분해 전압은 각각 -1.55, -1.35 volt로 측정되었고, Zr 분리실험 결과 인가전압 범위는 -1.4 -1.5 volt 사이가 적당하였다. 인가전류가 증가할수록 전착량은 증가하나 전류효율은 감소하였다. 그리고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ZrF_4$의 기화로 인하여 전착량과 전류효율이 감소하였다.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ix Fibrinolytic Serine-Proteases from Earthworm Lumbricus rubellus

  • Cho, Il-Hwan;Choi, Eui-Sung;Lim, Hun-Gil;Lee, Hyung-Hoan
    • BMB Reports
    • /
    • 제37권2호
    • /
    • pp.199-205
    • /
    • 2004
  • The six lumbrokinase fractions (F1 to F6) with fibrinolytic activities were purified from earthworm Lumbricus rubellus lysates using the procedures of autolysis,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and column chromatography. The proteolytic activities on the casein substrate of the six iso-enzymes ranged from 11.3 to 167.5 unit/mg with the rank activity orders of F2 > F1 > F5 > F6 > F3 > F4. The fibrinolytic activities of the six fractions on the fibrin plates ranged from 20.8 to 207.2 unit/mg with rank orders of F6 > F2 > F5 > F3 > F1 > F4. The molecular weights of each iso-enzyme, as estimated by SDS-PAGE, were 24.6 (F1), 26.8 (F2), 28.2 (F3), 25.4 (F4), 33.1 (F5), and 33.0 kDa (F6), respectively. The plasminogen was activated into plasmin by the enzymes. The optimal temperature of the six iso-enzymes was $50^{\circ}C$, and the optimal pH ranged from pH 4-12. The four iso-enzymes (F1-F4) were completely inhibited by PMSF. The two enzymes (F5 and F6) were completely inhibited by aprotinin, TLCK, TPCK, SBTI, LBTI, and leupeptin. The N-terminal amino acid (aa) sequences of the first 20 to 22 residues of each fraction had high homology. All six isoenzymes had identical aa residues 2-3 and 13-15. The N-terminal 21-22 aa sequences of the F2, F3, and F4 isoenzymes were almost the same. The N-terminal aa sequences of F5 and F6 were identi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