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tise

검색결과 2,013건 처리시간 0.045초

미용전공자의 VR 기반 미용 교과목 인식이 전문지식과 실무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auty Major's Recognition of VR-based Beauty Courses on Expertise and Practical Skills Recognition)

  • 이정희;문지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445-145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미용전공자들의 VR 체험을 기반으로 한 미용교육이 전문지식과 실무능력에 미칠 기대의식을 바탕으로 VR을 기반으로 한 미용 교과목 개발과 교육환경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총 106명의 학습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VR기반 미용 교과목 개발 인식, 전문지식과 실무능력에 관한 인식, 일반적 특성에 관한 문항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유의수준 .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한 조사결과, 학점이 높을수록 VR 기반 미용 교과목 개발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p<.01). VR 기반 미용교과목개발에 대한 인식은 VR기반 전문지식과 실무능력 인식의 하위요인별 전문지식(r=.683, p<.001), 실무능력(r=.676, p<.001), 산업관련인식(r=.543,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VR 기반 미용 교과목 개발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전문지식, 실무능력, 산업관련 인식이 향상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용교육환경에서 전공자들의 VR 기반 미용 교과목 개발에 대한 필요성과 교과목 운영에 대한 기대를 확인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표본의 범위를 확대한 연구진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n experimental analysis and expertise for a fish-drying process control

  • Sakai, Y.;Nakamura, M.;Shiragami, T.;Kochi, M.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2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제학술편); KOEX, Seoul; 19-21 Oct. 1992
    • /
    • pp.118-123
    • /
    • 1992
  • Analysis is made for a fish-drying process control in order to implement a human expertise into an automated fish drying system. Together with the idea described in the companion paper, a methodology is found effective in a general drying system other than fish drying.

  • PDF

컨설턴트의 전문지식과 컨설팅 지식이전의 관계에 관한 경험적 연구 : FTA컨설팅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for the relations between consultant's expertise and consulting knowledge transfer : Focused on FTA consulting)

  • 윤영호;나도성;정진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119-132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FTA컨설팅의 맥락에서 어떤 설명개념들이 컨설팅지식의 학습촉진 컨설팅전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려는 것이다. 160개 수출기업의 원산지관리자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클라이언트의 학습에 대해서는 지식의 모호성(-) 및 복잡성(+), 컨설팅수행능력(+), 컨설팅 설계/전달(+), 자기효능감(+), 정부지원(+)이 유의하며, 컨설팅전이에 대해서는 컨설턴트의 전문지식(+), 컨설팅참여도(+), 전이풍토(+)가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컨설팅 수행능력과 지식의 모호성은 학습에 대하여, 그리고 컨설턴트의 전문지식은 컨설팅전이에 대하여 각각 상대적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컨설팅성공은 클라이언트측 투입요인보다는 컨설턴트의 전문지식과 컨설팅수행능력에 크게 달려 있음을 시사한다. 컨설팅 성공을 위해서는 컨설턴트들은 컨설턴트-클라이언트 간의 공유 인터페이스로서 컨설팅방법론 및 툴의 개발과 효과적인 활용이 중요하다.

브랜드 지식과 감정이 글로벌 패션 브랜드 선택 확신에 미치는 영향 -해외 거주 경험의 조절 효과- (Effects of Brand Knowledge and Affect on Brand Choice Confidence of Global Fashion Brands -Moderation Effect of Overseas Residence Experience-)

  • 김수영;이유리;추호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837-848
    • /
    • 2012
  • This study examines how the overseas residence experience of Korean consumers influences the relationship of global fashion brand knowledge and brand choice confidence. We contrast two kinds of consumer brand knowledge, using the concepts of Alba and Hutchinson's expertise and familiarity. Considering the effect of positive affect on intuitive information process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positive affect in consumer brand knowledge and brand choice confidence link. The proposed model was tested with structural-equ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expertise and familiarity effect the positive affect. Positive affect, in turn, influences brand choice confide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cesses underlying global fashion brand knowledge and brand choice confidence link are different between the consumers with overseas residence experience for more than a year and the consumers without it. The route from expertise to positive affec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nsumers with overseas residence experience but not on the consumers without it; however, the route from familiarity to positive affect and the path from positive affect to brand choice confidence have a greater impact on the consumers without overseas residence experience than the consumers with it. We find that the consumers with overseas residence experience favor expertise in the process underlying global fashion brand knowledge and brand choice confidence link, whereas the consumers without it favor familiarity and affect based thought.

제품관여도, 광고모델에 따른 소비자 태도차이 연구 (Differences in Attitude -Based on Advertising Model and Consumer Product Involvement-)

  • 이영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658-1670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advertisement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based on advertising model and consumer product involvement. A total of 100 respondents in high involvement and 100 respondents in low involvement categories were exposed to the advertisements of a cosmetic brand using 4 different model types: celebrity endorser, expertise endorser, ordinary person as an endorser, and no endorser. The experiment was planned as $2{\times}4$ types including high/low involvement and 4 different model types (25 respondents each). After looking at an advertisement for 1 minute, respondents were asked to answer a survey measuring advertisement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6 hypotheses were support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 involvement and low involvement group depending on the advertising models used as well as the advertisement that influence advertisement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sion. High involvement consumers showed the most favorable advertisement attitude on an advertisement with an expertise endorser, but low involvement consumers showed the most favorable advertisement attitude on an advertisement with a celebrity endorser. High involvement consumers showed the most favorable brand attitude on an advertisement with an expertise endorser whereas low involvement consumers showed the most favorable brand attitude on an advertisement with a celebrity endorser. High involvement consumers showed the highest purchase intention on an advertisement with an expertise endorser whereas low involvement consumers showed no difference in purchase intention depending on advertisement models. This study shows that marketers should differentiate advertising strategies based on consumer involvement.

사서교사 교유실습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Teacher Librarians' Practice Teaching in Korea)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83-203
    • /
    • 2011
  • 이 연구는 사서교사의 교육실습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교육실습의 전개방향을 모색하고, 사서교사의 전문성 선장방법으로써 교육실습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두개의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첫 번째 모형에서는 교육실습의 영향요인으로 사전교육, 실습프로그램, 지도교사, 실습환경, 실습기관의 조직적 분위기를 선정하여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고, 두 번째 모형에서는 사서교사의 주요 전문성 신장경로인 대학교육과정, 교육실습, 현장경험 및 자기계발이 역할인식과 직무수행 역량에 어느 정도의 효과를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서교사의 교육실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실습프로그램으로 나타났고, 전문성 선장경로 중 교육실습은 직무수행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은 사서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정으로써 실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교육실습의 효과적 전개방안으로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제고, 양질의 실습프로그램 개발, 충분한 사전준비, 지도교사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범주화 훈련과 전문성이 인지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tegorization training and expertise on cognitive problem solving)

  • 이희승;손영우
    • 인지과학
    • /
    • 제16권1호
    • /
    • pp.53-67
    • /
    • 2005
  • 본 연구는 전문성에 따른 범주화 양상의 차이를 확인하고, 범주화 훈련이 전문성에 따라 인지 문제 해결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떼서는 수학 연립방정식 문제를 사용하여 전문성 수준에 따른 집단별 문제 범주화 양상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전문가는 주로 문제 해결방법과 관련된 문제의 구조적 특징을 범주화의 기준으로 사용하였지만, 초보자는 문제의 표면적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범주화하였다. 그러나 문제의 구조를 명시적으로 표현한 조건 범주화 상황에서 초보자의 범주화 양상이 전문가와 같은 형태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보자와 전문가의 범주화 양상이 다른 것은 초보자들이 문제의 깊은 구조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실험 2에서는 문제의 구조가 명시적으로 표현된 조건 범주화 훈련이 문제해결 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문제 해결 훈련을 한 집단과의 비교를 통해 전이 검사수행을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전문가 집단은 문제해결 훈련이 효과적이었던데 반해, 초보자 집단은 문제 분류훈련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보자의 경우 문제의 깊은 구조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명시적으로 보여주어 훈련시킴으로써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전문성의 수준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교육방법이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예비교사들의 UCC 제작 경험이 교과전문성 및 교사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일본어전공 학생들을 중심으로 (On the Effect of Prospective Teachers' Experience of Title of Making UCC Materials on their Teaching Expertise and Creativity: an Empirical Study with Japanese Majors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한미희;정욱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235-242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UCC 제작 경험이 교과전문성과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남 천안시에 위치한 A대학교의 교직과정 이수중인 일본어전공 예비교사들이며 자료분석은 SPSSWIN Versio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량, 상관분석 그리고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예비교사의 UCC 제작 경험은 교과전문성과 교수창의성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교사의 교수법이 매우 중요함을 인식하고 새로운 혁신적 교수법을 도입해야 하는 필요성과 함께 그에 대한 활동이 구체화되고 확대되기를 시사하고자 한다.

초등과학 수업에서 교사들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ss of Teachers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es)

  • 최지은;김용권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2호
    • /
    • pp.210-22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esses of teachers for elementary science class. To do these, the Science Teacher Stress Inventory has been developed the Science Teacher Stress Inventory, which consisted of 45 stress factors with subcategories such as student characteristics, teacher characteristics, expertise of science education, school environment,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120 teachers for elementary science class have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stress from teacher characteristics is perceived as having more stress factors than five stress factors (student characteristics, teacher characteristics, expertise of science education, school environment,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but all of the five stress factors was under normal. The detail question of stress such as 'Having to guide educational guidance and course in life education', 'Having to cope with the demand of new curricula', 'Pace of the school day is too fast', 'No time to attend training of the experiment (preliminary experiment)', 'Not enough time to complete lesson preparation and marking', 'Having to cope with non-teaching delegated duties', 'Fear of getting injured as a result of lab accidents' are perceived as having a lot of stresses. Second,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sonal variables such as gender, the course of high school. bu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sonal variables such as whether elementary subject exclusive science teacher, career in education experience, teaching grade. Third, coping ways of stresses are active support for better science teaching conditions, training of the experiment for expertise of science education, developing a workbook for science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