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fferences in Attitude -Based on Advertising Model and Consumer Product Involvement-

제품관여도, 광고모델에 따른 소비자 태도차이 연구

  • 이영주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0.08.11
  • Accepted : 2010.10.15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advertisement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based on advertising model and consumer product involvement. A total of 100 respondents in high involvement and 100 respondents in low involvement categories were exposed to the advertisements of a cosmetic brand using 4 different model types: celebrity endorser, expertise endorser, ordinary person as an endorser, and no endorser. The experiment was planned as $2{\times}4$ types including high/low involvement and 4 different model types (25 respondents each). After looking at an advertisement for 1 minute, respondents were asked to answer a survey measuring advertisement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6 hypotheses were support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 involvement and low involvement group depending on the advertising models used as well as the advertisement that influence advertisement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sion. High involvement consumers showed the most favorable advertisement attitude on an advertisement with an expertise endorser, but low involvement consumers showed the most favorable advertisement attitude on an advertisement with a celebrity endorser. High involvement consumers showed the most favorable brand attitude on an advertisement with an expertise endorser whereas low involvement consumers showed the most favorable brand attitude on an advertisement with a celebrity endorser. High involvement consumers showed the highest purchase intention on an advertisement with an expertise endorser whereas low involvement consumers showed no difference in purchase intention depending on advertisement models. This study shows that marketers should differentiate advertising strategies based on consumer involvement.

Keywords

References

  1. 강은미, 박은주. (2003). 의류제품구매시 소비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류점포 서비스 품질, 의복평가기준 및 의복관여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7(1), 29-39.
  2. 고은주, 목보경. (2002). 인터넷 의류광고유형이 인터넷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6(9/10), 1478-1487.
  3. 권유진, 서시원, 조미애, 홍병숙. (2009). 한국 연예인 광고모델 속성이 중국 소비자의 한국 패션브랜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3(3), 477-488.
  4. 권익현. (1994). 유명인 광고모델의 효과에 관한 연구. 광고 정보, 164(1), 76-81.
  5. 권익현, 김도연. (1994). 유명인 광고모델의 효과에 대한 연구. 광고학연구, 5(3), 88-99.
  6. 김문진. (1989). 상표이미지 선호도아 패션광고 전략에 관한연구-여대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상영. (2000). 제품군과 광고의 소구형태에 따라 광고모델이 미치는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선희, 임숙자. (1996). 의복관여에 따른 광고에 대한 태도효과에 관한 연구-청바지 광고의 표현형식을 중심으로-.한국의류학회지, 20(2), 298-310.
  9. 김수정. (2003). 중복광고모델과 전속광고모델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김완석. (2000). 광고심리학. 서울: 학지사.
  11. 김지현, 박일호, 유선홍, 유윤주, 유채희, 허지혜, 홍진우.(1996). 의류제품에 대한 외적정보탐색활동의 영향요인연구. 생활과학학회지, 1(29), 21-23.
  12. 김춘곤. (2008). 연예인 광고모델속성이 외식브랜드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3. 김현순. (1995). 소비자 특성변수에 따른 구전정보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김효경, 이명희. (1992). 의류광고에 대한 평가와 유행몰입 및사회적 태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0(3), 155-178.
  15. 남승규. (1999). 소비자 심리학. 서울: 학지사.
  16. 뜨거워진 광고마케팅. (2008, 2. 14). 한국섬유신문, p. 13.
  17. 목보경. (2001). 인터넷 광고유형과 소비자 특성에 따른 광고효과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박신정. (1995). 의류광고 안내시 관심도와 소비자 특성과의관계. 복식, 26(November), 211-222.
  19. 박재옥, 이경훈, 이애니. (2007). 모바일 의류광고유형 및 소비자 관여에 따른 광고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1), 131-140. https://doi.org/10.5850/JKSCT.2007.31.1.131
  20. 박주원. (2008). 광고모델에 의한 Creative Vampire Effect에관한 연구-삼성증권 CMA+TV 광고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박지영, 정성지, 김동건. (2010). 소비자의 의복관여도와 패션잡지 광고 유형별 광고태도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청바지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4(1), 40-49.
  22. 박혜민. (2009). 패션산업에서 브랜드 단서가 지각된 가치,브랜드 태도를 통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배준한. (2007). 모델이 공신력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신혜봉, 임숙자. (2004). 광고평가와 광고관여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패션잡지의 캐주얼 의류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1), 66-75.
  25. 안광호, 유창조. (1999). 광고원론. 서울: 법문사.
  26. 안광호, 황선진, 정찬진. (2005). 패션마케팅. 서울: 수학사.
  27. 양, 찰스. (1983). 이른바 뉴마케팅의 시대. 김충기 옮김 (1988).서울: 대학문화사.
  28. 양송희. (2009). 광고의 소구유형이 광고태도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양수미. (1993). 의류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0. 오인숙. (1997). 모델속성이 광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명인 모델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1. 옥경은. (2000). 상황과 소비자 특성에 따른 의류제품의 추구혜택과 정보원 활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2. 윤혜경. (2000). 인터넷 광고효과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3. 이명식. (2007). 브랜드 단서가 소비자의 서비스 평가에 미치는 영향: 무형성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9(1), 47-76.
  34. 이영경. (1986). 의복품목에 따른 제품관여의 수준과 유형및 정보탐색활동에 관한 연구-서울시내거주 주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5. 이영선. (1991). 소비자의 의복관여와 외적정보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6. 이상혁. (2006). 유명인 광고모델이 비교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신제품 관여도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7. 이선영. (1992). 광고에 대한 태도의 효과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8. 이수연. (2004). 정보원과 관여도에 따른 TV 홈쇼핑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9. 이운현. (1997). 의복관여도에 따른 신세대 의복선택 요인과 정보탐색활동.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0. 이정행. (2005). 메시지 소구방식에 따른 광고모델 유형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관여도를 중심으로-.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1. 이종명. (2001). 패션상품 소비자의 관여도와 의류광고 효과 과정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2. 이학식, 안광호. (2001). 소비자행동-마케팅 전략적 접근. 서울: 법무사.
  43. 이학식, 안광호, 하영원. (2003). 소비자행동 (제3판). 서울:법문사.
  44. 이현주. (2006). 최고경영자(CEO) 광고모델이 광고태도와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5. 이혜원. (2007). 의복관여와 헤어태도 및 헤어관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6. 정미재. (2000). 패션제품이 인터넷 광고전략에 관한 연구.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7. 정형명. (1992). 광고몰입유형별 반응행위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8. 조영한. (2008). 광고모델유형에 따른 소비자 태도변화에 관한 연구-DR(Direct Response)용 보험광고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9. 조윤식. (2001). 웹사이트에 대한 태도, 광고에 대한 태도,광고에 대한 집중도, 상표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마케팅과학연구, 7(2), 127-147. https://doi.org/10.1080/12297119.2001.9707419
  50. 차배근. (1990). 광고에 대한 태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문연구소학보, 27, 1-39.
  51. 최영현. (2007). 장수브랜드의 광고메시지 소구유형이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브랜드 명성과 제품관여도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2. 홍병숙. (1999). 의류광고 관여와 소구유형에 따른 광고효과-20-30대 직장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3(7), 1040-1051.
  53. Agrawal, J., & Kamakura, W. (1995). The economy worth of celebrity endorses: An event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59(1), 59-62.
  54. Batra, R., & Ray, M. L. (1986). Affective responses mediating acceptance of advertis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3), 234-249. https://doi.org/10.1086/209063
  55. Bloch, P. H., & Richins, M. L. (1983). The theoretical model for the study product importance perception. Journal of Marketing, 14(2), 47-69.
  56. Childers, T. L., Houston, M. L., & Heckler, S. E. (1985). Measurement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visual versus verbal information process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2), 125-143. https://doi.org/10.1086/208501
  57. Dholakia, R., & Sternthal, B. (1977). Highly credibly sources: Persuasive facilitators or persuasive liabiliti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4), 223-232. https://doi.org/10.1086/208671
  58. Friedman, H. H., & Friedman, L. (1979). Endorser effectiveness by product typ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9(2), 63-71.
  59. Greenwald, A., & Leavtit, B. (1984). Audience involvement in advertising: Four leve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7(4), 55-76.
  60. Izard, C. E. (1977). Human emotion. NY: Plenum Press.
  61. Krugman, H. E. (1965). The impact of television advertising: Learning without involvement. Public Opinion Quarterly, 29(Fall), 349-359. https://doi.org/10.1086/267335
  62. Lutz, R. J. (1983). Affective and cognitive antecedents of attitude toward the ad. information processing research in ad. Hillsdale: Lawrence Erlbaum.
  63. Mackenzie, S. B., & Lutz, R. J. (1989). An empirical experiment of the structure antecedents of attitude toward the ad in an advertising pretesting context. Journal of Marketing, 53(2), 48-65. https://doi.org/10.2307/1251413
  64. McCracken, G. (1989). Who is the celebrity endorser? Cultural foundations of the endorsement process. Journal of Advertising Consumer Research, 16(12), 310−321. https://doi.org/10.1086/209217
  65. Mitchell, A. A., & Olson, J. C. (1981). Are product attribute beliefs only mediators of advertising effects on brand attitud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August), 318-332. https://doi.org/10.2307/3150973
  66. Petty, R. E., & Cacioppo, J. T. (1981). Attitude change and persuation: Classic and contemporary approaches. Dubuque, Iowa: Wm. C Brown Company Publishers.
  67. Petty, R. E., Cacioppo, J. T., & Schumann, D. (1983). Central and peripheral routes to advertising effectiveness: The moderating role of involve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0(2), 135-147. https://doi.org/10.1086/208954
  68. Richardson, A., Dick, S., & Jane, A. (1996). Household store brand proneness: A framework. Journal of Retailing, 72(Summer), 159-185. https://doi.org/10.1016/S0022-4359(96)90012-3
  69. Robertson, T. S. (1976). Low commitment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0(3), 24-38.
  70. Rothschild, M. M., & Gaidis, W. C. (1981). Behavioral learning theory: It's relevance to marketing and promotion. Journal of Marketing, 12(4), 76-79.
  71. Thomas, J. B., Cassill, N. L., & Forsythe, S. M. (1991). Underlying dimensions of apparel involvement in consumers' purchase decision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9(3), 45-48. https://doi.org/10.1177/0887302X9100900307

Cited by

  1. The Effect of Self-Monitoring, Pioneer Brand Awareness, Types of Endorsers on Quality Perception of Me-Too Brands - Focused on Outdoor Brand - vol.65, pp.8, 2015, https://doi.org/10.7233/jksc.2015.65.8.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