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ience Factors

검색결과 5,974건 처리시간 0.032초

국제해양레저위크(KIMAWEEK) 요트체험 참가자의 체험요인과 체험만족 및 재참가의도와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Factor, Experience Satisfaction and Re-participation Intention of KIMAWEEK Yacht Experience Participants)

  • 김철우;정영수;정우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409-41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해양레저위크(KIMAWEEK) 요트체험 참가자의 체험요인이 체험만족 및 재참가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서 진행되고 있는 KIMAWEEK 참가자 515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요트체험 참가자의 체험요인 중 일탈적, 교육적, 미적 요인은 체험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오락적 요인은 체험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험요인과 재참가의도와의 관계에서 체험요인 중 교육적 요인과 오락적 요인은 재참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탈적 요인과 미적 요인은 재참가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험만족과 재참가의도와의 관계에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KIMAWEEK 요트체험 참가자의 체험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차별화된 체험요인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특히 지역 특색에 부각되는 현실성 있는 이벤트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 Study on Brand Personality and Experience in Early Morning Delivery as a New Distribution Service

  • LEE, Jangsuk;KIM, Jinhwan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10호
    • /
    • pp.5-14
    • /
    • 2020
  • Purpose: Early morning delivery markets have grown exponentially in the last few year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s of brand experience factors and brand personality factors of Market Kurly, a representative early morning delivery brand, on brand attachment and brand loyal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For this purpose, 204 ordinary people in their 20s and 40s who have experience in using Market Kurly were surveyed. 7 hypotheses were verified by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ffective experience, intellectual experience, and behavioral experience among brand experience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achment. Also, brand personality-self-image congruence and brand personality-human brand congruence as brand personality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achment. The brand attachment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preceding factor to explain the brand loyalty of Market Kurly. Conclusions: When applying brand experience factors to the early morning delivery service context, each brand experience factor affected brand attachment and brand loyalty. The scope of research on brand personality-self-image congruence was expanded in that it considered both brand personality-human brand congruence and brand personality-self-image congruence.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revealing that brand experience factors and brand personality factors can positively affect brand attachment and brand loyalty.

지식정보자원시스템의 이용자 경험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Factors for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 System)

  • 전정현;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353-37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정보매체 및 정보서비스 연구영역에서 새로운 분석기준으로 대두되고 있는 이용자 경험의 관점에서 지식정보자원시스템을 분석하기 위한 경험요인을 개발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해 선정한 분석 기준을 기반으로 이용자 경험 샘플링 방법을 적용한 실험연구를 통해 지식정보자원시스템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 지각요인과 이용자 경험요인을 도출하였다. 수행결과 총 9개의 경험요인에 대한 55개의 세부 경험요인, 138개의 시스템 지각요인으로 구성된 이용자 경험요인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추상적 개념인 이용자 경험을 실험을 통해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측정 가능한 요인으로 도출하여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도출된 이용자 경험 요인은 지식정보자원시스템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이용자 경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Investigating Key User Experience Factors for Virtual Reality Interactions

  • Ahn, Junyoung;Choi, Seungho;Lee, Minjae;Kim, Kyungdoh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67-280
    • /
    • 2017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ey user experience factors of interactions for Head Mounted Display (HMD) devices in the Virtual Reality Environment (VRE). Background: Virtual reality interaction research has been conducted steadily, while interaction methods and virtual reality devices have improved. Recently, all of the virtual reality devices are head mounted display based ones. Also, HMD-based interaction types include Remote Controller, Head Tracking, and Hand Gesture. However, there is few study on usability evaluation of virtual reality. Especially, the usability of HMD-based virtual reality was not investiga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usability of HMD-based virtual reality. Method: HMD-based VR devices released recently have only three interaction types, 'Remote Controller', 'Head Tracking', and 'Hand Gesture'. We search 113 types of research to check the user experience factors or evaluation scales by interaction type. Finally, the key user experience factors or relevant evaluation scales are summarized considering the frequency used in the studies. Results: There are various key user experience factors by each interaction type. First, Remote controller's key user experience factors are 'Ease of learning', 'Ease of use', 'Satisfaction',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Also, Head tracking's key user experience factors are 'Sickness', 'Immersion', 'Intuitiveness', 'Stress', 'Fatigue', and 'Ease of learning'. Finally, Hand gesture's key user experience factors are 'Ease of learning', 'Ease of use', 'Feedback', 'Consistent', 'Simple', 'Natural', 'Efficiency', 'Responsiveness', 'Usefulness', 'Intuitiveness', and 'Adaptability'. Conclusion: We identified key user experience factors for each interaction type through literature review. However, we did not consider objective measures because each study adopted different performance factors.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when evaluating HMD-based interactions in virtual reality in terms of usability.

6차 산업 체험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Experience of 6th Industry)

  • 최양애
    • 벤처혁신연구
    • /
    • 제3권1호
    • /
    • pp.117-142
    • /
    • 2020
  • 본 연구는 6차 산업 체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 모형은 Schmitt 체험이론을 기반으로 재구성한 새로운 변수들을 추가하여 사용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독립 변수, 종속변수에 6차 산업 맥락에 맞게 변수를 추가해서 모델을 확장해서 사용하였다. 독립 변수는 6차 산업 체험에 있어 체험을 하게 하는 유인 요인인 인지적 요인, 정서적 요인, 사회적 요인으로 또한, 체험을 결정하지 못하게 하는 계류 요인을 사용하였다. 매개 변수는 신뢰성을 사용하였다. 조절 변수는 체험에 있어 중요한 성별, 가구 구성을 사용하였다. 종속변수에는 체험 의향으로 설정하였다. 가설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Schmitt 체험이론을 바탕으로 유인 요인인 인지적 요인, 정서적 요인, 사회적 요인은 체험 의향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계류 요인은 체험 의향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신뢰성은 6차 산업 체험 의향에 있어 매개를 할 것이다. 성별과 가구 구성은 조절 효과가 있을 것이다. 설정된 연구 모형의 실증적인 검정 및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위해서 6차 산업 체험자 및 잠재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14부의 유효한 응답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통계분석은 SPSS 24, AMOS 23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구 가설을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인 요인인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요인은 체험 의향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계류 요인은 체험 의향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신뢰성은 유인 요인인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요인에 부분 매개를 하였다. 넷째, 남녀 간에 경로 차이에서 인지적 요인과 계류 요인은 남녀 간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사회적 요인과 계류 요인은 가구 구성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술적으로는 6차산업 체험에 있어서 기존의 유인 요인 위주의 분석에서 나아가 심리적 요인인 계류 요인도 체험 의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정하였고, 본 연구에서 응용된 Schmitt의 체험 모형이 유용한 분석의 틀이 될 수 있음을 검정하였다. 실무적으로는 6차산업 체험을 위해 어떠한 요소에 전략적으로나 마케팅적으로 집중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

백화점의 마케팅믹스요인, 체험요인 및 점포태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the Department Store's Marketing Mix, Experience Factors and Store Attitude)

  • 범경기;김원겸;최광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0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3-246
    • /
    • 2010
  • 본 연구에서 백화점의 마케팅믹스 요인인 제품, 가격, 유통, 그리고 촉진이 고객의 체험요인에 미치는 영향과 체험요인이 고객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마케팅 믹스 요인을 구성하는 차원 중에 촉진이 고객의 감각체험의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통이 고객의 감각체험, 감성체험 및 인지체험의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백화점에서 고객의 긍정적인 감각체험, 감성체험 및 인지체험은 호의적인 점포태도의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외래 환자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Affecting Patient Experience with Outpatient Care)

  • 김경훈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7-216
    • /
    • 2021
  • Background: Good patient experienc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dherence to treatment recommendations, better clinical effectiveness, and health outcome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key factors affecting positive patient experience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using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data.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6th National Health Nutrition Survey in 2015. Four patient experience items were investigated for patients with visiting outpatient care over the past year. Positive patient experience was defined as a case of responding always or usually yes. The t-test,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key factors affecting the outpatient experience. Results: More than 80%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eir care experience as positive excluding doctor spending enough time during the consultation. Male, poor health status, and single/divorced, and the longer time interval between outpatient care visit and surve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negative care experiences in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Patients who received outpatient care at the oriental medicine clinic had a positive experience compared to those received outpatient care at the general hospital. However, patient factors including age, income, job, and insurance type had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patient experience. Conclusion: Health care providers should prioritize patients who report negative patient experiences and implement management decisions to improve the patient experience.

메타버스 이용자 경험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텍스트 마이닝과 계량 분석 혼합방법론 (Unrave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mensions of user experience and user satisfaction in metaverse: A Mixed-methods Approach)

  • 정다현;김희웅;윤상혁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2권3호
    • /
    • pp.19-39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user experience factors that can enhance both metavers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honeycomb model. For this we presented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experience factors of metaverse users? Second, do metaverse user experience factors impact satisfac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To address these questions, a mixed-methodology approach is employed, including text mining techniques to analyze online reviews and quantitative econometric analysi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experience factors and satisfaction. A total of 69,880 reviews and ratings data were collected. Findings The analysis revealed eight metaverse user experience factors: entertainment, operability, virtual reality, immersion, economic activity, visual performance, avatar, and sociality, all of which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user satisfaction.

패밀리 레스토랑 매장 내 감각체험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nsory Experiences of Customers Visiting Family-Style Restaurants on Customer Satisfaction)

  • 허은정;김우성;정윤선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23-536
    • /
    • 2010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demographic factors and sensory experiences of customers on customer satisfaction, using data from 302 customers in the Pusan, Ulsan, and Kyungnam areas who have visited family restaurants within 3 month period prior to the study. This study defined the sub-factors of sensory experience as vision, sound, smell, taste, and touch, and defined the sub-factors of customer satisfaction as main services, supplementary facilities, services related to sales promotion, served food, and the location of a restaurant. The study revealed that each evaluation score of the sub-factors of sensory experience and each evaluation score of the sub-factors of customer satisfaction was a little higher than the middle score. Respondents evaluated taste as the highest score among the sub-factors of sensory experience and evaluated main services as the highest score among the sub-factors of customer satisfaction. In terms of the effects of the sub-factors of sensory experiences and demographic factors on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more positive taste experience, vision experience, and sound experience led to higher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married group in terms of marital state gave higher evaluation scores on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than the counterpart. In terms of the effects of the sub-factors of sensory experiences and demographic factors on individual customer satisfaction, consumers' sensory experiences were shown to exert far greater influences than the demographic variables.

농어촌 체험 고객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Rural Experience -Applying Unified PPM Model -)

  • 최양애;정병규
    • 벤처혁신연구
    • /
    • 제2권2호
    • /
    • pp.79-9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어촌 체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합된 PPM모델(unified push-pull-mooring model)을 적용하여 탐색하는 것이다. 이론적인 모델은 PPM을 근간으로 하여 새로운 변수들을 도입한 통합된 PPM모델이다. 새롭게 도입된 변수 중 pull 요인은 체험이론과 ServQual 모형을 바탕으로 재구성하였다. 종속변수는 고객 만족을 설정하였다. 가설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Push 요인은 체험 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Pull 요인인 체험요소와 체험품질은 체험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mooring 요인은 체험 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모형을 314개 설문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구조방정식으로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 Pull 요인인 체험품질은 체험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Mooring 요인은 체험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push 요인과 체험 만족 간, 체험요소와 체험 만족 간에는 유의한 영향 관계가 검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이론적으로는 농어촌 체험에 있어서 기존의 pull, push 요인 위주의 분석에서 나아가 심리적인 mooring 요인도 체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정하였다. Pull 요인으로 도입된 체험요소와 체험품질을 바탕으로 제안된 통합된 PPM모델이 유용한 분석의 틀이 될 수 있음을 검정하였다. 실무적으로는 농어촌 체험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어떠한 요소에 전략적으로나 마케팅적으로 집중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