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aluation Criteria

검색결과 4,555건 처리시간 0.033초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의 분류 및 평가지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Criteria of Ubiquitous Computing Service)

  • 한정섭;김형원;이남용;김종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73-478
    • /
    • 2010
  •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적용한 서비스들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를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기기들 또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UCS)에 대한 분류가 모호하고 어떠한 평가지표로써 UCS를 평가해야 할지 판단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UCS의 특징과 분류를 정의하고 이에 기반한 평가지표를 도출한다. 또한 도출한 평가지표의 체크리스트를 제안함으로써 UCS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을 지원한다.

디지털 도서관 평가기준: 이용자들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Digital Library Evaluation Criteria: What do Users Want?)

  • Xie, Iris;Joo, Soohyung;Matusiak, Krystyna K.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18
    • /
    • 2014
  • 기존의 여러 연구들에서 디지털 도서관 평가를 위한 기준들이 제시되어 왔으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평가기준에 대한 이용자 관점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도서관 평가 기준들에 대한 이용자들의 의견을 미국 내 5개 대학교에서 10명의 교수 이용자와 20명의 학생 이용자에게 설문을 통해 직접 조사하였다. 설문 참여자들은 본 연구진에 의해 제시된 8개 영역 (장서, 정보조직, 맥락 등) 내 평가 기준들의 중요성에 대해 7점 척도로 응답하였다. 설문의 결과는 이용자들이 장서의 이용과 품질, 서비스와 관련된 항목들을 도서관 운영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용자 중심의 디지털 도서관 개발과 관련하여 이용자의 요구와 선호를 반영하는 도서관 평가체계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다.

업무연속성관리체계(BCMS)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ISO 22301 Plan의 '조직의 이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in the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Focusing on the 'Understanding the organization' in Plan of the ISO 22301) )

  • 정용균;정종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363-371
    • /
    • 202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BCMS의 정량적 평가체계 도입을 위해 BCMS 분야의 국제표준인 ISO 22301 (2019)의 PDCA(Plan-Do-Check-Act) 요구항목 중 Plan- '조직의 이해' part의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20명의 BCMS 분야 전문가 그룹에 수정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ISO 22301의 Plan- '조직의 이해'의 세부요건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평가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효과적인 BCMS 역량평가가 가능하도록 상대적 중요도가 포함된 12개의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결론: BCMS의 정량적인 평가체계 도입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평가가 가능하도록 상대적 중요도가 포함된 평가지표를 선별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농촌마을의 중심성 평가 모형의 개발 (I) -MCE법에 의한 모형의 개발 - (Development of a Potential Centrality Evaluation Model for Rural Villages ( I ) -Developing Model by MCE Method-)

  • 김대식;정하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9-80
    • /
    • 2002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otential centrality evaluation model (PCEM) which can evaluate the potential centrality of villages within the catchment boundaries. PCEM is a tool for evaluation of villages\` centralities by the potential centrality index (PCI) developed in this study. For quantification of PCI, total 31 evaluation criteria on the accessibility to other villages and the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 of the village were introduced. The weighting values of criteria were calculated from the step wise pair-comparision results of 14 specialists in academic fields on rural planning using by AHP (Analytic Hierachy Process) of MCE (multi-criteria evaluation) method. In the results, the weighting values of the spatial accessibility, the natural environments and the human environments were 448, 338 and 214, respectively, among total value being 1,000.

디지털도서관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sability Evaluation Criteria in Digital Library Website)

  • 이응봉;이주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29-15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국내·국외에서 수행된 주요 웹사이트의 사용성 평가와 관련된 연구에 적용된 기준을 비교${\cdot}$분석하여, 우리나라 디지털도서관의 웹사이트 평가에 적용 가능한 일반적인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기준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이용자 서비스의 품질향상을 통한 효율적인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디지털도서관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한 사용성 평가기준은 서로 다른 수많은 특성과 목적을 가지고 운영되는 웹사이트에 일률적으로 적용되어질 수는 없다. 적용대상에 따라 평가 기준이 달라지거나 최소한 각 평각기준의 비중이 달라져야 할 것이다. 디지털도서관 웹사이트의 경우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전문도서관, 학교도서관 등 해당 분야별로 특성에 따른 웹사이트가 구축되어진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디지털도서관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기준(안)은 일반적으로 준수해야 할 항목에서의 기준이라 할 수 있다.

공통평가기준에 의한 보안정책모델 평가방법 (An Evaluation Method for Security Policy Model Based on Common Criteria)

  • 김상호;임춘성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57-67
    • /
    • 2003
  • 보안정책모델은 평가대상제품(Target of Evaluation, TOE)의 보안정책을 비정형적, 준정형적, 또는 정형적 방법을 사용하여 구조적으로 표현하는 한 것이다. 보안정책모델은 보안기능요구사항과 기능명세간의 일관성 및 완전성을 제공함으로써 평가대상제품이 요구사항과 기능명세간 불명확성으로 인한 보안결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보증성을 보장한다. 이러한 이유로 ISO/IEC 15408(공통평가기준. CC) 등 IT 제품 및 시스템의 보안성 평가기준의 고등급 평가에서 보안정책모델을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안정책모델의 개념과 관련 연구 및 공통평가기준의 보안정책모델 보증요구사항을 분석하여 보안정책모델 평가방법을 제시한다.

학교도서관 평가지표 개발 연구 (A Study of Development of the School Library Evaluation Criteria)

  • 곽철완;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83-19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시 도교육청을 중심으로 학교도서관 평가에 필요한 평가지표를 개발하는데 있다. 국내 외 학교도서관 관련 평가지표를 조사 분석하여 다양한 우리나라의 학교도서관 상황에 적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학생들에게 학업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교도서관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평가지표의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평가 항목은 도서관 프로그램 분야, 학교지원 분야, 서비스 분야로 구분하여 선정하였다. 평가 방법은 조사지 이용 평가, 학교 도서관 통계 이용 평가, 표준화된 통계 이용 평가로 크게 3가지로 구분하였다. 이중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된 통계 이용 평가를 제안하였다. 평가항목은 양적인 항목과 질적인 항목으로 구분되었다. 양적인 항목은 투입분야의 예산항목에 2개 지표와 산출분야의 장서 항목의 3개 지표, 이용 항목의 3개 지표가 제시되었다. 질적인 항목에는 소장도서와 해당 연도에 구입한 도서의 이용비율을 제시하였다.

시뮬레이션 기반 비상대비 정부연습의 조치 평가 척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Scale of Simulation based Government Exercise for Emergency)

  • 주충근;이승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45-56
    • /
    • 2020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정부연습'(가칭)에서 연습 실시자의 조치사항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에 관한 연구이다. 평가척도의 지표와 지표별 가중치는 조치사항으로 입력한 기관별 data를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이것은 평가의 객관성과 일관성을 유지하여 관찰평가관의 주관적인 평가를 보완하게 된다. 그래서 평가지표는 정부연습 평가 목적, 시뮬레이션 환경에서의 측정 가능성, 객관성, 지표간의 중복성과 인과성, 평가결과를 적용하는 등급 등을 검토하여 선정하고, 각 지표는 상대적 중요도가 설정돼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적시성·정확성·적절성의 3개 주요 지표와 주요 지표별로 각 3개의 등급 지표를 설정하고 지표별 개념을 구분하였다. 지표의 가중치는 지표의 계층구조를 고려하여 AHP 분석으로 산정하였다. 향후 연구서의 평가척도가 '시뮬레이션 정부연습'에 적용되면 정량적인 평가를 통하여 조치 평가의 일관성과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고 과학적인 기법에 의한 사후검토(AAR)가 가능할 것이다.

ESTIM : 사용자 직무지식에 기반한 인터페이스 평가 지원시스템 (ESTIM : A Support System for Task-based Evaluation of User Interface)

  • 류호경;윤완철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5-72
    • /
    • 1999
  • Evaluation of user interfaces has to be performed in an intuitive and subjective manner by experts especially when the problem comes to the complexity and consistency of sophisticated interface procedures. The manual analysis and evaluation of logical interfaces also tends to be slow and laborious. To make the evaluation more formal and objective, the criteria and the procedure with which the evaluation can proceed must be explicitly prescribed. Furthermore, to make the formal procedure as practical as subjective expert evaluation, the criteria must reflect the user knowledge of the target tasks since the task knowledge plays the role of a basis for users to understand the interface organizations and procedures. This paper describes ESTIM, a support system for task-based evaluation of user interface, that includes the interface evaluation criteria and implies an evaluation procedure. The support system can be used either in an interactive manner by the analyst during the evaluation or in an automatic evaluation mode. It was verified that the result of automatic evaluation by ESTIM matched the results of expert evaluation fairly well.

  • PDF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의 기본 안전 및 필수 성능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ment of Basic Safety and Essential Performance Criteria of Mobile Computed Tomography)

  • 김은혜;박혜민;김정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4권3호
    • /
    • pp.261-267
    • /
    • 2021
  • As the number of Coronavirus Disease-19 (COVID-19) patients increases in a global pandemic situation, the usefulness of mobile computed tomography (CT) is gaining attention. Currently, mobile CT follows the basic safety and essential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of whole-body or limited-view X-ray CT in order to obtain device approval and evalu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Unlike stationary CT, mobile CT is not operated in shielded areas but rather areas such as intensive care units, operating rooms, or isolation rooms. Therefore, it requires a different basic safety and essential performance evaluation standard than stationary CT. In this study, four derived basic safety evaluation criteria related to electrical, mechanical, and radiation safety were included (dose indication test, protection against stray radiation, safety measures against excessive X-rays, half-value layer measurement); and seven essential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were included (tube voltage accuracy, mAs accuracy, radiation dose reproducibility, CT number of water, noise, uniformity, and spatial resolution); total eleven basic safety and essential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were selected.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ppropriate basic safety and essential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for simultaneously obtaining images with diagnostic value and reducing the exposure of nearby patients, medical staff, and radiologic technologists during the use of mobile 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