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valuation Scale of Simulation based Government Exercise for Emergency

시뮬레이션 기반 비상대비 정부연습의 조치 평가 척도에 관한 연구

  • 주충근 ((주)심네트 경영전략본부 책임연구원) ;
  • 이승용 ((주)심네트 경영전략본부 본부장)
  • Received : 2020.09.11
  • Accepted : 2020.10.06
  • Published : 2020.10.28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scale to evaluate the data of the countermeasures in the 'simulation based government exercise' (tentative name). The criteria and weighting of the scale is a standard for evaluating the data of each agency input. This maintains the objectivity and consistency of the evaluation, which complements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observer. Therefore, the criteria should accommodate the purpose of the government exercise evaluation, the possibility of measurement in the simulation environment, the objectivity, no-duplication and causality between criteria, and the grade applying the evaluation results, and the weighting should be set. In this study, three major criteria of timeliness, accuracy, and appropriateness is set up for the evaluation scale and it consists of sub-criteria classified into three classes below respectively and the concept of it was defined. The weighting was calculated by AHP analysis considering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it. When this evaluation scale is applied to the 'simulation based government exercise'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secure consistency and objectivity of the evaluation of measures by integrating the quantified evaluation into the observation evaluation and to conduct AAR by scientific techniques.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정부연습'(가칭)에서 연습 실시자의 조치사항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에 관한 연구이다. 평가척도의 지표와 지표별 가중치는 조치사항으로 입력한 기관별 data를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이것은 평가의 객관성과 일관성을 유지하여 관찰평가관의 주관적인 평가를 보완하게 된다. 그래서 평가지표는 정부연습 평가 목적, 시뮬레이션 환경에서의 측정 가능성, 객관성, 지표간의 중복성과 인과성, 평가결과를 적용하는 등급 등을 검토하여 선정하고, 각 지표는 상대적 중요도가 설정돼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적시성·정확성·적절성의 3개 주요 지표와 주요 지표별로 각 3개의 등급 지표를 설정하고 지표별 개념을 구분하였다. 지표의 가중치는 지표의 계층구조를 고려하여 AHP 분석으로 산정하였다. 향후 연구서의 평가척도가 '시뮬레이션 정부연습'에 적용되면 정량적인 평가를 통하여 조치 평가의 일관성과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고 과학적인 기법에 의한 사후검토(AAR)가 가능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시뮬레이션 기반 조직단위 비상 대비 훈련기술 개발 모의논리서, pp.2-3, 2018.
  2.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2016비상대비 중점관리업체 간부과정, 2016.
  3. 행정안전부, 2019을지태극연습 평가지침서, 2019.
  4. 최상영, 국방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총론, 북코리아, 2011.
  5.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시뮬레이션 기반 조직단위 비상대비훈련기술개발 모의논리서(평가모델), pp.2-17, 2018.
  6. 강병서, 의사결정을 위한 현대통계학, 무역경영사, 1993.
  7. 고성호, 김광기, 김상욱, 사회조사방법론 제11판, Cengage Learning Korea, 2011.
  8. C. Avgerou, "Evaluating information systems by consultation and negoti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ol.15, No.6, pp.427-436, Dec. 1995. https://doi.org/10.1016/0268-4012(95)00046-A
  9. G. T. Doran, "There's a S.M.A.R.T. Way to Write Management's Goals and Objectives," Management Review (AMA Forum), pp.35-36, Nov. 1981.
  10. T. L. Saaty, "Decision making wit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t. J. Services Sciences, Vol.1, No.1, pp.83-98, 2008. https://doi.org/10.1504/IJSSCI.2008.017590
  11.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시뮬레이션 기반 조직단위 비상대비 훈련기술 개발 모의논리서, pp.4-17, 2018.
  12.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시뮬레이션 기반 조직단위 비상대비 훈련기술 개발 모의논리서, pp.14-123, 2018.
  13. 김열수, 민진, 이광섭, 비상대비업무 평가체제구축연구:비상대비 훈련 평가체제를 중심으로, 국가비상기획위원회, pp.9-35, 2006.
  14. 행정안전부, 2019을지태극연습 평가지침서, pp.33-34, 78-79, 2019.
  15. 정덕훈, 심형섭, 정민화, 국가재난대응 종합훈련 평가지표 개발연구, 소방방재청, pp.33-35, 2006.
  16. 은종화, 민금영, 함승희, 김영희, 재난관리평가 핵심역량진단지표 개발, 행정안전부, pp.46-48, 2018.
  17. FEMA, Homeland Security Exercise and Evaluation Program Doctrine, Revision, pp.2-2-25, 5-4-5. 2020.
  18. US Joint Chiefs of Staff, Commander's Handbook for Assessment Planning and Execution, Version 1.0: V-1-8. 2011.
  19. 이종철, 합참지, 합동연습.훈련평가체계 고찰, 제51호, pp.49-52, 2012.
  20. J. Lagsten and G. Goldkuhl, "Interpretative IS Evaluation: Results and Uses," The Electronic Journal Information Systems Evaluation, Vol.11, No.2, p.98, 2012.
  21. 권오정, 다기준 의사결정방법론 : 이론과 실제, 북스힐, 2018.
  22. ODM 1.0.1 64bit.JVM:https://open-decisionmakersoft112.com/, 2020.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