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OAc 분획

검색결과 297건 처리시간 0.032초

당근 지상부 추출물 유래 항염 및 항균 활성 성분 (Anti-inflammatory and Anti-bacterial Constituents from the Extracts of Daucus carota var. sativa Aerial Parts)

  • 김정은;조연정;이남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27-43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당근 지상부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항염, 항균 활성을 확인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당근 지상부 에탄올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항염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NO 생성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NO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나타났고, 추가적인 항염 기전 연구를 위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해 $PGE_2$,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량 및 iNOS, COX-2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PGE_2$, IL-$1{\beta}$, IL-6의 생성을 감소시키고, iNOS, COX-2 단백질의 발현도 억제 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피포도상구균과 여드름균을 이용한 활성 실험 결과,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항균 활성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3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1H$$^{13}C$ NMR 데이터 분석과 문헌을 통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diosmetin (1), disomin (2), cynaroside (3). 분리된 화합물 1-3에 대해 항염 및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화합물 1-3 모두 NO의 생성을 저해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화합물 3은 여드름균에 대해 항균 활성이 우수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당근 지상부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갖는 천연 화장품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애기달맞이꽃(Oenothera laciniata Hill)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Biological Activities of Oenothera laciniata Extracts (Onagraceae, Myrtales))

  • 이정아;김지영;윤원종;오대주;정용환;이욱재;박수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810-815
    • /
    • 2006
  • 본 실험에서는 애기달맞이꽃(Oenothera laciniata Hill)를 80% EtOH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극성에 따른 용매 분획을 실시하여 분리된 분획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superoxide 소거활성 및 nitric oxide 소거활성 및 세포독성 등의 생리 활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애기달맞이꽃은 산소 유리기의 자유기를 소거할 수 있는 우수한 생리 활성물질을 다수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분획 레벨에서의 활성이 대조구 성분 못지않게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총 폴리페놀 함량과 세포독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EtOAc 분획물을 농도별로 HL-60세포에 처리한 결과, 세포성장 억제는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세포성장 억제효과가 apoptosis 유도에 의한 것이지를 확인하고자, apoptosis 유도에 의하여 나타나는 현상의 하나인 DNA 단편화 현상을 비롯하여 세포 형태학적 변화 및 유동세포분석기를 통한 DNA content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에 의한 세포증식 억제효과는 apoptosis유도에 의해 세포사멸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벚나무 수피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Tyrosinase 저해 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athogens of Acne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Extract and Fractions from Bark of Prunus sargentii)

  • 이경인;양선아;표병식;김선민
    • 생약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55-160
    • /
    • 2011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on antioxidative activity,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athogens of acne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in 75% EtOH extract and its fractions from bark of Prunus sargen tii.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content of the EtOAc fraction were found to be 378.0 mg/g and 67.5 mg/g as the highest content. In the measurement of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EtOAc and BuOH fraction were exhibited stronger scavenging ability than the other fractions and 75% EtOH extract. In antibacterial activity by disc diffusion assay against pathogen of acn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EtOAc fraction and 75% EtOH extract was stronger than the other fractions. Especially, the EtOAc fraction was the highest effective fraction in the antibacterial activity. Moreover,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EtOAc fraction, BuOH fraction and 75% EtOH extract was higher than the other fractions. In particular,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tOAc fraction showed higher activity than ascorbic acid used as positive control.

백작약 열수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효과 및 유효성분 동정 (Inhibitory Effect of Hot-Water Extract of Paeonia japonica on Oxidative Stress and Identification of Its Active Components)

  • 정일윤;이주상;오헌;정우희;박혜란;조성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739-744
    • /
    • 2003
  • 백작약(Paeonia japonim)의 열수추출물로부터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 성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열수추출물은 총매의 극성도에 따라 4종의 분획물(CHCl$_3$, EtOAc, n-BuOH, water)로 구분하였다. 항산화활성 시험 중 hydroxyl 라디칼 소거 시험에서는 열수추출물 및 각 용매 분획물은 모두 아주 낮은 활성을 보였다. 지질 과산화 시험에서는 열수추출물과 EtOAc 및 물 층 분획물이 50%(50 $\mu\textrm{g}$/$m\ell$ 농도에서 ) 이상의 억제활성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 시험에서는 열수추출물과 EtOAc 및 n-BuOH 분획물이 80% 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EtOAc 분획물은 50과 100 $\mu\textrm{g}$/$m\ell$의 농도에서 BHA와 거의 동등한 전자 공여능(EDA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EtOAc 분획물에서 2종의 단일 물질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일 물질인 PJE021-1과 PJE024-l은 10 $\mu\textrm{g}$/$m\ell$의 농도에서 BHA보다 높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냈다. PJE021-1은 $H_2O$$_2$에 의한 DNA의 산화적 손상에 대해 최고농도50 $\mu\textrm{g}$/$m\ell$에서 $H_2O$$_2$처리구에 비해 93%의 경감 효과를 나타냈고, PJE024-1은 0.5 $\mu\textrm{g}$/$m\ell$의 낮은 농도에서 71%의 경감 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이 2종의 단일 물질이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유효 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이 단일 물질은 분광학적기기 분석과 물리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gallic acid(PJE021-1)와 (+)-catechin(PJE024-1)으로 동정되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백작약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경감제로서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상백피(Morus alba root bark)로부터 triterpenoid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riterpenoids from the Mulberry (Morus alba) Root Bark)

  • 정재우;박지해;정예진;이창호;한대석;백남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4호
    • /
    • pp.295-299
    • /
    • 2014
  • 뽕나무(Morus alba L.) 뿌리껍질을 실온에서 80% Me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EtOAC 분획, n-BuOH 분획, $H_2O$ 분획으로 나누었다. EtOAc 분획에 대하여 silica gel과 ODS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실시하여 5종의 triterpenoid를 분리, 정제하였다. NMR, IR, 및 EI/MS 등을 해석하여, ${\alpha}$-amyrin (1), ${\alpha}$-acetyl amyrin (2), lupeol (3), betulinic acid (4) 그리고 glutinol (5)로 구조동정 하였다. 화합물 중 a-amyrin (1), lupeol (3) 그리고 glutinol (5)은 상백피로부터는 이번 실험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꽃으로부터 Triterpenoid 및 Sterol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riterpenoids and Sterols from the Flowers of 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 정재우;서경화;오은지;이대영;백남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3호
    • /
    • pp.237-240
    • /
    • 2015
  •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꽃은 실온에서 80% Me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EtOAC 분획, n-BuOH 분획, $H_2O$ 분획으로 나누었다. EtOAc 분획에 대하여 silica gel 및 ODS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실시하여 4종의 화합물을 분리 및 정제하였다. nuclear magnetic resonance, infrared, 및 Electronic ionization mass spectrometer 등을 해석하여, ursolic acid (1), corosolic acid (2), ${\beta}$-sitosterol (3), 그리고 daucosterol (4)로 구조동정 하였다. 분리한 4종의 화합물은 이팝나무 꽃으로부터 이번 실험에서 처음 분리 되었다.

산복사나무(Prunus davidiana) 열매로부터 Triterpenoid의 분리 및 동정 (Triterpenoids from the fruits of Prunus davidiana)

  • 이민지;김지혜;차병주;서경화;백남인;이윤형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2호
    • /
    • pp.155-158
    • /
    • 2016
  • 산복사나무(Prunus davidiana) 열매를 실온에서 80% Me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EtOAc 분획, n-BuOH 분획, 물 분획으로 나누었다. EtOAc 분획에 대하여 $SiO_2$과 ODS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실시하여 3종의 화합물을 분리 및 정제하였다. NMR, MS, 및 IR data 등을 해석하여, ursolic acid (1), corosolic acid (2), 그리고 ${\alpha}-amyrin$ (3)로 구조동정 하였다.

참나물추출물의 멜라닌 생성저해 효과 (New Whitening Agent From Pimpinella brachycarpa)

  • 김진화;심관섭;이동환;이근수;이범천;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03-208
    • /
    • 2007
  •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미백 화장품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참나물(P. brachycarpa)을 선택하여 B16 멜라노마 세포에서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 melanin 생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참나물추출물의 4가지 극성별 용매 분획화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항산화효과와 티로시나아제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참나물의 미백 활성 메카니즘을 알아보기 위해 Western blotting과 RT-PCR을 이용하여 tyrosinase, TRP-1, TRP-2의 단백질 발현과 mRNA 변화를 연구하였다. 또한, HaCaT 각질형성세포에서 UVB 조사 후 엔도세린-1(ET-1)의 발현은 사람 ET-1 항체를 이용하여 quantitative enzyme immunoassay(EIA)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참나물추출물과 4가지 분획(hexane, EtOAc, butanol and aqueous)은 100 ${\mu}g/mL$ 농도에서 각각 87.2, 2.5, 97.2, 80.5, 49.8%의 프리라디칼 소거효과를 나타내었으며, tyrosinase 저해효과는 100 ${\mu}g/mL$ 농도에서 각각 18.3, 15.1, 55.4, 13.1, 0%로 나타났다. 각 극성별 분획 중 EtOAc 분획 100 ${\mu}g/mL$ 농도에서 58% 이상의 가장 우수한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가 나타났다. 참나물 EtOAc 분획은 B16 멜라노마 세포에서 티로시나아제 활성 및 발현을 모두 저해하였으며, RT-PCR 결과에서도 tyrosinase, TRP-1의 mRNA 발현 저해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HaCaT 각질형성세포에서 UVB 조사 후 생성된 엔도세린-1의 생성 실험에서도 참나물 EtOAc 분획 $12.5{\sim}50{\mu}g/mL$ 농도에서 엔도세린-1의 생성이 컨트롤에 비해 40% 정도로 우수하게 저해되었다. 결론적으로 참나물추출물은 멜라닌 합성과정에서 우수한 tyrosinase 저해효과와 엔도세린-1 발현저해효과를 가지는 새로운 천연 미백 소재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매실의 항미생물 활성 연구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runus mume)

  • 임재웅;이규봉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42-451
    • /
    • 1999
  • 본 연구는 매실을 천연 항균물질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색하였다. 먼저 매실을 물과 methanol로 추출한 extracts를 paper disc법으로 항균활성을 확인한 후 MeOH extract를 용매별로 분획한 각각의 fractions으로 paper disc법과 그 결과를 토대로 활성이 높은 fractions을 비탁법을 이용하여 농도별로 액체 배지상에서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변패균인 M leteus는 매실의 EtOAc 획분과 BuOH 획분에 의해서 저해되었고 또한 $H_2O$ 획분과 CHCㅣ$_3$ 획분도 저해활성을 보였다. 한편 저해농도 시템에서는 BuOH 획분 100ppm 첨가 시 전혀 생육을 하지 못했다. 매실의 EtOAc 획분과 BuOH 획분은 B. cereus, B. subtilis와 S. epidrimidis에 대해서 강한 저해 활성을 보였다. 저해농도 시험에서는 B. cereus는 BuOH 획분 100ppm, cB. subtilis는 EtOAc 획분 100ppm, S. epidrimidis는 EtOAc 획분 100ppm에서 생육을 하지 못했다. G(-)세균은 매실성분에 의해서 저해를 받지만 G(+)세균에 비하여 저항성이 켰다. E. coli는 EtOAc 획분 500ppm에서 미약한 生育을 하였으며 S. typhimurium는 EtOAc 획분, BuOH 획분 모두 1,000ppm에서 생육을 전혀 하지 못했으며 P. vulgaris는 BuOH 획분 100ppm, V. parahaemolyticus는 BuOH 획분, EtOAc 획분 100ppm에서 전혀 생육을 하지 못하는 결과를 얻었다. 한편, 효모중 S. cerevisiae IF01950은 EtOAc 획분 500ppm에서 50%의 저해를 받았으며 S. cerevisiae ATCC4105는 1,000ppm의 EtOAc fr. 에서 50%의 저해를 하였다. 항곰팡이 실험에서는 A. niger에서만이 아주 미약한 저해를 보였다.

  • PDF

파프리카 추출물이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에 미치는 영향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Activity in Hepatoma Cells by Paprika (Capsicum annuum L.))

  • 유미희;이효정;임효권;이승욱;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707-711
    • /
    • 2006
  • Phase II 효소계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화학물질과 천연 소재들에 의해 유도되며, 이들의 유도는 화학적 발암물질과 그 밖의 여러 가지 독성물질들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파프리카의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Hepa1c1c7 세포주를 이용하여 대표적인 암예방 효소인 quinone reductase의 유도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중 QR 유도활성이 가장 높았던 EtOAc 분획물은 $10-500\;{\mu}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 $200\;{\mu}g/mL$의 농도에서 QR 활성이 약 3.3배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파프리카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역시 EtOAc 분획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BP^rcl$ 세포주에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QR 유도활성을 보여 파프리카의 EtOAc 분획물의 항암성분은 monofunctional inducer인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