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sential Competency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3초

병동선임간호장교의 간호관리역량 격차분석과 원인조사 (An Analysis of Nursing Managerial Competencies;Military Hospital Head Nurses)

  • 이선미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7-50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gap between need-level and demonstration-level in nursing managerial competencies. In addition, the study proposes solutions to narrow this ga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for need-level of each item was 4.0, and for demonstration-level, 3.5. This indicates that military hospital head nurses demonstrate a higher level of managerial competencies than the moderate level on all items. But items which were related to resource/ cost/ information managament, staff development management and professionalism management got relatively low ratings in the need-level. 2) The mean score for need-level of each category was 4.14, and for demonstration-level, 3.53. Categories on the individual dimension got a higher rating than categories on the group or organization dimension in both need-level and demonstration level. 3) The gap between need-level and demonstration-level appeared in all items(p<.05) and categories(p<.001). Although the gap was relatively low, it indicates that it is essential to plan a developmemt program for all nursing management competencies for military hospital head nurses.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ap between need-level and demonstration-level according to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gap did not appear in many categories on the individual dimension where the number of nursing staff was more than 10, a major grade, ICU head nurse or for head nurses having a long career. 5) Need-level and demonstration-level showed a difference according to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because need-level and demonstration-level were higher where the number of nursing staff was more than 10, a major grade, and for ICU or Medical ward head nurses. The categories which showed need-level difference and demonstration-level differences according to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existed almostly completely in the group and organization dimension. Gap-leve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hospital bed existed in only two categories. 6) The general causes of the gap were indicated to be 'Knowledge/ skill/ experience deficit', 'Limitation of rules and systems/ Inappropriate organizational environment' for most items, categories, and dimen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extensive competency developing strategies must be developed, because a gap was found in all items and categories. Specially, there is a need to concentrate attention on competencies in the group and organizational dimension which had a wider gap level. And it is important to take an individual approach according to the cause for each gap. In order to produce effective competency developing strategies, top managers must have sinsights into the importance of nursing staff development and nursing officer's efforts to develop themselves must be achieved. Further multi-dimensional(education, personnel-policy, nursing/ organizational environment) solutions to the gap must be developed and utilized.

  • PDF

미래 대응력 제고를 위한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 개선 방안 (Alternatives to Improving the Curriculum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o Enhance Future Responsiveness)

  • 신민혜;김승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447-45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교육에 대비하여 예비 교사의 현장성을 강화하고, 학령기 인구 감소로 인한 교원양성체제의 구조적인 변화 대응 및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대한 미래 지향적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9년~2020년 5주기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항목을 분석하였으며, 2021년 7월 교육부에서 발표한 교원양성체제 발전방안 시안 및 4차에 걸친 토론회 내용에 근거하여 미래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하여 교원양성기관에서는 다(多) 교과 역량 함양과 미래형 교육과정으로의 개편이 필요하다. 둘째, 교원양성기관의 교원과 예비 교사에 대한 역량 함양을 위해 메타버스의 도입, 일반교수법, ICT 활용 교수법 등을 통한 교수자 역량 강화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셋째, 교원양성기관에서는 예비 교사양성을 위해 학교 현장 중심의 실무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실습생 교사 담임제', 선후배 중심 '전담 멘토-멘티', 대학 교수자 주도의 '모니터링 시스템', '수습 교사제' 등의 도입 및 강화이다.

공공도서관 사서 직무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Perceptions of Public Librarian Jobs)

  • 홍현진;노영희;정영미;정대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3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 등 새로운 시대 변화에 따라 현재 공공도서관 사서 및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도서관의 환경요소(장서규모, 직원수, 운영 주체 등)와 더불어 현재 직무에 대한 내용 및 인식, 도서관 사서직무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현 도서관 사서의 직무현황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현재 직무 내용 및 인식으로, 현재 사서들은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독서문화프로그램 계획수립, 이용자 정보서비스 등의 순으로 업무를 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서들은 각자 맡은 업무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노동강도의 경우 과반수 이상이 현재 맡고 있는 노동강도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향후 각 업무에 해당하는 세부 능력단위 중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능력과 추가적으로 보완해야 하는 요소, 본 연구를 통해 낮게 나타난 요소 등을 고려하여 보다 적합한 능력단위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도서관의 정규직 인원 수와 경력이 많을수록, 사서자격증 급수와 현재 직위가 높을수록 현재 업무에 대한 중요도, 난이도, 전문성이 높게 나타나 향후 도서관의 정규직 사서 수를 확대시켜 지속적으로 해당 업무에 대한 경력을 쌓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중소기업 R&D 성공에 있어서 개방형 혁신의 효과에 관한 연구 (The Role of Open Innovation for SME's R&D Success)

  • 유인진;서봉군;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3호
    • /
    • pp.89-117
    • /
    • 2018
  • 본 연구는 2개년 중소기업 기술통계조사에 근거하여 기업의 기술특성, 기업역량, R&D 활동에 해당하는 요인들이 R&D를 통한 매출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절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개발 방식에 따라 각 요인의 영향력 변화를 확인하고, 29개 산업에 대하여 동일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결과 12개 요인이 매출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개발 방식에 따른 요인의 영향력 변화를 분석한 결과, 4개의 요인에서 유의한 변화가 확인되었고, 이들 각의 요인에서 기술개발 방식에 따른 성과 창출에 서로 다른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매출액 영향 요인을 산업별로 검증한 결과, 산업별 최대 9개까지 성공요인을 보유하며, 산업별 개발방식에 따른 요인의 영향력 변화 분석 결과 산업별 최대 8개까지 유의한 변화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의 시사점을 가진다. 첫째, 중소기업은 기술개발 관련 의사결정시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에서 매출 증대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집중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개발하는 기술의 특성, 기업의 역량, R&D 활동수준 등을 고려하여 기술개발방식을 결정하여야 한다. 둘째,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기관에서는 관련 예산을 효과적으로 집행하기 위해 지원 기업 평가 시, 지원과제 및 지원목적에 따라 평가항목을 달리하는 상황별 가이드라인을 수립해야 한다. 특히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개방형 혁신 기업에 대한 맞춤형 지원 등을 통해 정책 효과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학교장의 전략적 리더십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Analysis on Educational Needs for Development of Principals' Strategic Leadership)

  • 윤소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31-242
    • /
    • 2020
  • 본 연구는 학교장의 전략적 리더십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9년 학교장 직무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중등 학교장 128명의 응답자료가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t 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구축을 수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응답자 및 중등 학교장이 인식하는 전략적 리더십에 대한 세부 역량으로 미래방향 설정을 위한 정보수집 및 활용, 교육공동체의 비전제시, 학교 교육활동에 대한 핵심가치 제시, 학교 재정조건 파악 및 활용, 학교 조직구조 개선을 위한 노력, 소통 풍토 조성을 위한 노력이 도출되었다. 둘째, 초등학교장이 인식하는 전략적 리더십에 대한 세부 역량으로 교육공동체의 비전제시, 학교 교육활동에 대한 핵심가치 제시, 학교 내외 환경 분석 및 활용, 학교 재정조건 파악 및 활용, 교육목표 실현 방안 모색 및 계획, 학교 조직구조 개선을 위한 노력, 소통 풍토 조성을 위한 노력이 도출되었다.

민간기관의 사고예방사업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Role Promotion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for Accident Prevention)

  • 백종배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44-50
    • /
    • 2011
  • 이 연구는 안전관련 민간기관을 연구범위로 하여 산재 감소와 사고예방을 위한 민간기관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민간기관의 운영현황과 민간기관 운영실태를 조사 정리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민간기관에 대한 정의, 역할과 활동,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산재 예방 감소를 위한 민간기관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 하였다. 따라서 산재 예방과 감소를 위해 안전관련 민간기관의 역량, 전문성, 신뢰성 향상과 정부기관, 공공기관, 안전 민간기관 간의 실질적 사고 예방을 위한 역할 정립에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산재예방사업 시장의 활성화와 사고예방 정책의 수립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고등학교 수학과 지필평가 문항 분석 - 기하와 벡터를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Paper-Based Assessment of Mathematics in High School - Focused on Geometry and Vector -)

  • 양성현;이환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4호
    • /
    • pp.573-594
    • /
    • 2014
  • 교사의 평가 전문성의 영역 중에서도 평가 문항 제작 능력은 평가의 타당도, 신뢰도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다. 다시 말해, 평가문항의 내용적인 측면과 형식적인 측면에서의 오류는 올바른 평가를 저해하는 요소이며 이러한 평가를 통하여 긍정적 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없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 일반고등학교 45개교 수학과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기하와 벡터 60개 시험지의 문항 분석을 통하여 지필평가의 내용적인 측면과 형식적인 측면에서의 문항 오류와 개선점에 대하여 논하고, 이를 통하여 교사들의 평가 문항 제작에 대한 능력 제고를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 PDF

UAE로 취업한 한인 의료직 종사자의 임상 경험 (Korean Migrant Health Professionals with Clinical Experience in UAE Hospitals)

  • 염진영;김정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1권4호
    • /
    • pp.361-367
    • /
    • 2018
  • This study was intented as an investigation of the meaning of clinical experience for gapproach was used to investigate clinical experience for Korean health professionals, A total of 10 health professional immigrants working in UAE hospitals were selected who has experience in Korea over 2 years and UAE for 1 year.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questionnaire. The findings were created with four essential themes; struggling to adapt at workplace at the beginning, feeling frustrated to communicate with different languages, professional reputations as a specialist, a variety of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supported from hospitals and caring system of staff's health.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Korean health professionals were able to develop capabilities and competency with clinical experience in UAE hospit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ived experimental evidence for Korean migrants of health professionals. A further direction of this study, will be expected to provide more experimental information for health professional immigrants to middle east.

Looking at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from the Developmental Network Perspective

  • Chang, Jihyun;Kim, Taesu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5권3호
    • /
    • pp.195-206
    • /
    • 2018
  • Paying close attention to those new to an organization, whether fresh or experienced, whose primary interest is in (re)socialization, the current study intends to (1) further the concept of mentoring from a bilateral relationship to a community and culture fostered by developmental networks, (2) propose an integrated conceptual framework for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3) suggest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This study reviews, analyzes, and integrates research assets and subsequently re-conceptualizes the aggregate information as valid propositions and a conceptual framework. The findings include (1) 11 propositions regarding the relationships among network characteristics (embeddedness, diversity), developmental functions (career support, psychosocial support, and role modeling), and socialization outcomes (learning and attitudinal outcomes); and (2) an integrated conceptual framework that depicts a comprehensive mechanism through which developmental networks conduce to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comers. Implications are that developmental networking must be an individual's fundamental competency and an essential part of organizational onboarding processes, and imperative for both members' career development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By integrating research assets on the developmental phenomenon into conceptualizations, this study furthers the concept of mentoring to organizational culture and stimulates a substantive discourse for theory-building towards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from the developmental network perspective.

간호전문직 자율성(Professional Nurse Autonomy)의 개념분석 (Concept Analysis of Professional Nurse Autonomy)

  • 지성애;유형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81-792
    • /
    • 2001
  • Professional nurse Autonomy is an essential attribute of a discipline striving for full professional status. Purpose: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concept of professional nurse autonomy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for development of professional autonomy enhancing strategies. Method: This study use the process of Walker & Avante's concept analysis based on Wade's research (1999), and field data of 21 nurses. Results: Professional nurse autonomy is defined as competency and creative performance of the professional nurse in practice, to decide independently or interdependently nursing activities and to be had accountable for results of decisions, that reflect advocacy and caring. It was identified that critical attributes include responsible discretionary decision making, collegial interdependence, initiative, creativity, and caring, advocacy,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clients, receptive capacity to others, activeness, self confidence, and devotion and responsibility to their profession. Antecedents include personal characteristics, educational background, experience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at enhance professional nurse autonomy. Consequences of professional nurse autonomy are feelings of self-efficacy,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reduction of intention to leave their job. Conclus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the curriculum provides an environment for learning professional nurse autonomy, and that is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e strategies to enhance professional autonomy of nurse in practice and it's effec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