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8초

개인과 조직 사이에서: 챌린저호 폭발사고에 대한 재해석과 STS-공학윤리의 접점 찾기 (Between Individual and Organization: Reinterpreting the Challenger Disaster and Finding an Interface between STS and Engineering Ethics)

  • 성한아;홍성욱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1호
    • /
    • pp.53-60
    • /
    • 2012
  • On the grounds of Diane Vaughan's pioneering study into the Challenger Disaster, STS(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cholars have recently argued that most engineers seldom face an ethical situation, in which the boundary between the ethical and the unethical is absolutely clear, and for which a serious moral decision such as "whistle blowing" is urgently needed. They have instead suggested that engineering ethics needs to address engineers' everyday routine practices, which, if accumulated, may have some impact upon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technological system. However, such studies have not completely resolved the tension between STS that emphasizes contextual elements in which the everyday practice of engineers are done, on the one hand, and engineering ethics that stresses individual engineer's moral decision of an existential kind, on the other. By discussing various works on the Challenger Disaster and related issues over technological risks, this paper attempts to establish an interface between STS and engineering ethics, and propose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education of engineering ethics to engineering students.

공학소양교육 사례로서의 DNA 구조 발견 (Discovery of the DNA double helix structure as a model of Liberal Education for Engineers)

  • 남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1권6호
    • /
    • pp.54-62
    • /
    • 2018
  •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process of the discovery of the DNA double helix structure from an engineering literacy education perspective. The explanation of the DNA double helix structure by James Watson and Francis Crick in 1952 is a well-known scientific episode. The process is also a combination of various incidents that can frequently happen in competitive engineering research and development situations. Therefore, the process of the discovery of the DNA structure is a remarkable event that can cover all subjects, such as engineering and ethics, research ethics, communication between researchers, engineering and leadership, engineering and teamwork, and engineering and women.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the research ethics issues associated with Rosalind Franklin and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hree teams that were very close to the discovery of the DNA structure. By looking at why the Watson and Crick team got the final answer instead of the Linus Pauling's team or the Maurice Wilkins and Rosalind Franklin's team, the virtues of the technology development process that should be taught in engineering literacy education will be naturally presented.

인터넷 윤리의식의 실태 분석 및 교육 효과 측정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and Actual Condition of Internet Ethics of the Undergraduate Students)

  • 김태희;강문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257-1269
    • /
    • 2010
  • 삶의 전 영역에 걸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인터넷은 효율성과 생산성, 오락성의 편익을 제공하는 반면, 익명성과 비대면성의 매체 특성으로 인해 이를 악용한 인터넷 윤리의식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인터넷으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하고 보다 인간 중심의 인터넷 문화를 창달하기 위해 인터넷 윤리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윤리의식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인터넷 윤리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인터넷 윤리의식 실태를 개인정보 침해, 지적 재산권 침해, 유해정보, 인터넷 대화문화, 사이버 폭력, 인터넷 중독, 인터넷 사기 등으로 분류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인터넷 윤리의식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대학생들에게 바람직한 인터넷 윤리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인터넷 윤리교육 방안을 적용하여 인터넷 윤리 교육을 실시하고,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교육의 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한 결과, 제안한 인터넷 윤리교육 방안이 대학생들의 인터넷 윤리의식을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공학단체의 윤리강령에 관한 비교분석: 미국과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odes of Ethics in Engineering Societies: The Cases of USA and Korea)

  • 송성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3호
    • /
    • pp.78-89
    • /
    • 2008
  • 이 논문에서는 공학단체의 윤리강령에 대한 전체적인 지형도를 검토한 후 미국과 우리나라의 8개 공학단체들이 보유한 윤리강령을 기본규범에 초점을 두어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발견한 주요 사항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공학단체들은 오래 전에 윤리강령을 제정한 후 몇 차례에 걸쳐 개정해 왔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최근에 들어서야 윤리강령을 마련하고 있다. 둘째, 미국의 공학단체들은 상호학습을 통해 내용상 유사성이 높은 윤리강령을 보유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 공학단체들의 윤리강령은 내용상의 편차가 크다. 셋째, 우리나라의 몇몇 윤리강령은 미국에 비해 내용이 빈곤하고 존재 여부 조차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 넷째, 미국의 공학단체들은 윤리강령에서 공공, 고용주나 고객, 전문직에 대한 책임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이러한 점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고 있다. 다섯째, 미국의 공학단체들이 보유한 윤리강령은 공공의 안전, 건강, 복지를 가장 중요시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그러한 문제의식이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고 있다. 여섯째, 미국의 공학단체들은 지속가능한 개발을 비롯한 새로운 사회적 쟁점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면서 윤리강령을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있다.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STS)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between Engineering Education and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TS))

  • 한경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50-58
    • /
    • 2014
  • This study reviews recently developed perspectives within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TS) and engineering education including engineering ethics and engineering design, focusing on defining why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between those two areas is required and how it can be realized. The disconnection between those areas is closely related to the chronic diseases that has brought the mono-disciplinary, segmented educational system of 20th century: fragmented perception of reality and gradual loss of academic influence. This study consists of two sections: the first section reviews new movements among STS, engineering ethics and engineering design; the second section analyses how their combination is developing and what significance it represents. Recently, some scholars attach more importance to scalable scholarship of STS, that is, strategic expansion of the range of STS. This kind of attempts is gradually producing satisfactory results as it is combined with innovative efforts arising from the field of engineering education. This study emphasizes that, when STS and engineering education are combined and interact more with each other, it will broaden our prospects about engineering and society; it will, particularly, contribute to enhance our engineering education.

Arranged Stories Reflecting the Thinking of Students in Engineering Ethics Case Study Method

  • Yasui, Mitsukuni
    • 공학교육연구
    • /
    • 제17권5호
    • /
    • pp.28-32
    • /
    • 2014
  • Engineering Ethics is a fundamental and essential subject and the understanding of ethics is of great importance for students in engineering courses and professional engineers. Most courses would consist of ethical tests, decision making opportunities, case studies, case methods, and group discussio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each case carefully, so we offer a number of hypothetical short stories to students as case methods that they cover in detail. We check the behavior decisions of students as they read the hypothetical short stories. In this study, the short story was about 200 words in length. This paper shows how, with the addition of minor changes to the text, some students changed their behavioral decisions. For example, with the addition of "if you take financial liability for the losses," some thought that they would not want to carry the debt. Other cases showed how some students disliked the majority rule. The paper shows that this arranged hypothetical short story method can often guide student's decision-making process, and can result in decreased undesirable decisions.

정보통신공학 전공 대학생들의 정보통신산업 종사자 윤리의식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 Ethics from the Survey of College Students)

  • 이유종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3호
    • /
    • pp.96-103
    • /
    • 2010
  • 공학교육인증제와 더불어 공대생들의 윤리적 자질 함양 및 공학윤리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보통신공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현재 가지고 있는 정보통신 산업 종사자 윤리의식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고 정보통신 산업 종사자 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파악하여 바람직한 정보통신윤리에 대한 시사점과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설문에 의한 연구 내용으로 정보통신공학을 전공 중인 대학생의 정보통신 산업 종사자 윤리의식을 '회사이익을 위한 불법적 비윤리의식'(2.11점), '경제적 이익추구를 위한 비윤리의식'(2.86점), '자신을 위한 묵과적 비윤리의식'(1.99점)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정보통신공학을 전공 중인 학생들의 성향은, 상대방을 존중하지 않는 비존중의식을 가질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군대에 다녀오지 않은 경우 정보통신 산업 종사자로서의 윤리의식이 비윤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학교육인증제 실시와 더불어 정보통신윤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고, 효과적인 공학윤리 및 정보통신윤리 강좌를 확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소셜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개발윤리 인식 분석 (A Study on the Awaren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velopment Ethics based on Social Big Data)

  • 김마리;박서하;노승국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3호
    • /
    • pp.35-44
    • /
    • 2022
  •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core technology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as the technology level is advanced and used in various industries, its influence is growing in various fields, including social, ethical and legal issues. Therefore, it is time to raise social awareness on eth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prevention measure as well as improvement of laws and institutional system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analyzed unstructured data, typically text, such as online news articles and comments to confirm the degree of social awareness on eth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velopment.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ublic intended to concentrate on specific issues such as "Human," "Robot," and "President" in 2018 to 2019, while the public has been interested in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gender conflics in 2020 to 2021.

청소년들의 사이버 범죄에 대한 정보통신윤리교육의 효과 분석 (Effec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to Check Cyber Crime on Teenagers)

  • 함영희;박소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67-96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청소년들의 사이버 범죄에 대한 정보통신윤리교육의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97명을 대상으로 약 30분간 사이버 범죄 및 이에 관한 법률적 지식에 대해 정보통신윤리 교육을 실시한다. 그리고, 사전설문조사와 사후설문조사를 비교하여 법률적 지식을 중점으로 한 정보통신윤리 교육의 효과를 확인한다.

  • PDF

위험의 유형에 따른 위험관리의 전략과 전문성의 확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ies for Risk Management and the Extension of Expertise Considering the Types of Risk)

  • 최경희;송성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4호
    • /
    • pp.70-76
    • /
    • 2010
  • 이 논문에서는 과학기술학의 연구성과를 활용하여 공학윤리의 주요 주제인 위험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위험의 유형은 불확실성의 정도에 따라 기술적 차원의 위험, 방법론적 차원의 위험, 인식론적 차원의 위험으로 구분할 수 있고, 각 유형에 대한 위험관리의 전략으로는 응용과학 전략, 전문가자문 전략, 탈정상과학 전략을 들 수 있으며, 해당 전략에 요구되는 전문성은 기술관료적 전문성, 상호소통적 전문성, 민주적 전문성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는 위험에 대한 공학윤리교육을 보완하고 확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공학교육 전반에서 요구되는 교육목표와도 연관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