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thelial Cells

검색결과 1,302건 처리시간 0.025초

타액선 선양낭성암종에서 상피성장인자 신호전달 단백의 발현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ASSAYS FOR THE EXPRESS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SIGNALING PROTEINS IN ADENOID CYSTIC CARCINOMAS OF HUMAN SALIVARY GLANDS)

  • 박영욱;김정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8권6호
    • /
    • pp.499-510
    • /
    • 2006
  • 인간 타액선 선양낭성암종 조직 18례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여 종물 주변의 정상 타액선 조직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EGF는 타액선 도관세포와 암종 조직의 50%에서 발현 되었으며, 정상 타액선 조직과 비교하여 암종 조직에서 발현이 증가되어 있지 않았다. 2) $TGF-{\alpha}$는 타액선 도관세포와 선포세포, 그리고 거의 모든 암종 조직에서 발현되었으며, 정상 타액선 조직과 비교하여 암종 조직에서 그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3) EGFR은 타액선 도관세포와 대부분의 암종 조직에서 발현되었으나, 발현의 강도에서 정상 타액선 조직과 암종 조직간의 차이는 없었다. 4) pEGFR은 정상 타액선 조직에서는 발현되지 않았으며, 암종 조직의 종양세포에서 그 발현이 증가되었다(P<0.05). 5) ErbB2/HER2는 타액선 도관세포와 거의 모든 암종 조직에서 발현되었으며, 정상 타액선 조직과 비교하여 암종 조직에서 그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P<0.05). 6) 검색된 인자들 중 $TGF-{\alpha}$와 ErbB2/HER2는 관사상체형 암종 조직에서와는 달리 충실형 암종 조직에서 100% 발현되어, 충실형 선양낭성암종의 증가된 악성도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암시하였다. 7) 종물 내의 종양관련 혈관내피세포에서도 위의 인자들이 모두 발현되어 종양관련 혈관내피세포는 선양낭성암종의 증식과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8) 종양 기질 내의 면역관련 세포들에서도 역시 위의 인자들이 발현되어 이들 세포들이 종양의 증식과 생존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추론을 가능하게 하였다. 위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하면 상피성장인자 신호전달계에 관여하는 인자들 중 $TGF-{\alpha}$, pEGFR, 그리고 ErbB2/HER2가 타액선 선양낭성암종에서 과발현 되었다. 따라서 이들 인자들이 타액선 선양낭성암종의 증식과 생존, 그리고 전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추론을 가능하게 하였다. 추후 면역조직화학적 연구의 한계와 오류를 극복할 수 있는 기법으로 이들 인자들에 대한 재검색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과연 이들 인자들이 암생물학적으로 뿐만 아니라 임상적으로도 전이 및 환자 생존율과 관계된 인자로서의 가치가 있는지 평가해 보아야 할 것이다.

유자씨유의 지방산분석 및 Nitric Oxide 생성, 지방축적능, 렙틴분비 조절효과 (Fatty acid analysis and regulatory effects of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seed oil on nitric oxide production, lipid accumulation, and leptin secretion)

  • 김태우;김경곤;강윤환;김대중;최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4호
    • /
    • pp.221-228
    • /
    • 2014
  • 본 연구는 유자씨유 (Citron seed oil, CSO)의 지방산분포와 생리활성 효과를 세포수준에서 확인함으로서 기능성 식용유 소재로서의 CSO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oleic acid 32%, linoleic acid 34%, palmitic acid 19.2%, stearic acid 3.8%, linolenic acid 2.0%, palmitoleic acid 0.6%, arachidic acid 0.3%를 함유하고 있었다. 세포독성실험을 통해 0.2 mg/ml 농도까지 독성이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용매 DMSO에 의한 독성이 관찰되어 CSO의 독성 유무를 확인할 수 없었다. HUVECs과 3T3-L1 세포에서 생리활성을 확인하기위해 nitric oxide 생성, Oil Red O 염색을 이용한 지방적형성, leptin 분비를 관찰하였다. CSO는 HUVEC에서 TNF-${\alpha}$의 처리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된 nitric oxide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켜 0.1 mg/ml에서 control 수준까지 nitric oxide 분비량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CSO는 MDI solution (0.5 mM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1{\mu}M$ dexamethasone, $10{\mu}g/ml$ insulin) 처리를 통해 분화가 유도된 3T3-L1 adipocyte에서 control (100%) 대비 0.05 mg/ml에서 약 27.5%, 0.1 mg/ml에서 약 15.1%의 지방적 (lipid droplet) 형성 억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CSO가 항비만 활성에 잠재적으로 기능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leptin 방출이 control군 (100%)대비 CSO 0.05 mg/ml에서 144.5%, 0.1 mg/ml에서 138.3%로 증가하여 식욕억제작용을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CSO는 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된 우수한 식물성유지이며 몇 가지 생리활성효과를 가지는 우수한 소재임을 확인하였으므로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소재개발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허파혈관주위세포에서 저산소증에 의한 생존능의 억제와 유전자 발현의 변화 (Inhibition of Viability and Genetic Change in Hypoxia-treated Lung Pericytes)

  • 신종욱;김계영;이영우;정재우;이병준;김재열;조인호;박인원;최병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1호
    • /
    • pp.37-46
    • /
    • 2004
  • 연구 배경 : 허파혈관주위세포는 허파미세혈관에서 혈액공기 장벽을 이루고 있는 중요한 세포이다. 이 세포는 생리학적으로 혈류와 혈관의 투과성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다. 본 연구는 급성폐손상/급성호흡곤란증후군에서 혈관 과투과성 및 개형에 혈관주위세포의 변화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시작하게 되었다. 흰쥐로 부터 일차 배양한 허파혈관주위세포에 저산소 상태를 만들었을 때, 세포의 생존능에 미치는 영향과 저산소증에 의해 유도되는 유전자의 발현을 살펴보았다. 방 법 : 흰쥐로부터 허파혈관주위세포를 일차 배양 및 계대 배양하였다. 광학 현미경 및 세포 면역 화학 염색으로 세포를 확인하였다. 2% $O_2$의 세포 배양기와 $200{\mu}M$ $CoCl_2$를 처리하였다. 세포의 증식은 tryphan blue 염색 후 세포수를 세는 방법을 택하였다. 유전자 발현은 역전사 중합 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하였다. 결 과 : 1. 흰쥐로부터 허파혈관주위세포를 성공적으로 일차 배양 및 계대 배양할 수 있었다. 2. 2% $O_2$$CoCl_2$에서 혈관주위세포는 24시간, 36시간, 48시간에 증식이 억제되었다. 3. 허파혈관주위세포에 저산소 상태의 자극을 주면 VEGF와 smad-2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4. 허파혈관주위세포의 HIF$1{\alpha}$, COX-2는 저산소상태에서 VEGF, smad-2에 비해 발현의 변화가 현저하지 않았다. 결 론 : 허파혈관주위세포를 일차 배양함으로써 허파꽈리혈관장벽의 연구를 위한 한 모델을 만들었고, 저산소 상태에서 증식의 억제와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허파혈관손상의 기전을 규명하는데 향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In Vitro 내독소 유도성 급성 폐손상에서 Pentoxifylline과 Neutrophil Elastase Inhibitor의 항염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entoxifylline and Neutrophil Elastase Inhibitor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Acute Lung Injury In Vitro)

  • 김영균;김승준;박용근;김석찬;김관형;문화식;송정섭;박성학;김상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6호
    • /
    • pp.691-702
    • /
    • 2000
  • 연구배경 : 내독소 유도성 급성 폐손상(acute lung injury : ALI)은 비교적 임상에서 흔히 접하는 호흡기질환으로서, 조기에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 몇 가지 보조치료약제가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 ALI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약제는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지들은 최근 ALI의 새로운 보조치료약제로서의 가능성이 대두 pentoxifylline (PF) 및 ONO-5046(specific neutrophil elastase inhibitor)이 백서의 내독소 유도성 ALI와 관련된 염증반응에 대해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내독소 유도성 ALI의 생체외(in vitro) 모델을 확립하기 위해 백서의 폐포대식세포 및 말초혈액 호중구를 다양한 비율(1:0, 5:1, 1:1, 1:5, 0:1)로 혼합하여 내독소 자극 하에서 백서의 폐포상피세포주(L2 cells) 혹은 혈관내피세포주(IP2-E4 cells)와 함께 혼합 배양하였다. 모든 실험은 5군(대조군, LPS군, LPS+PF군, LPS+ONO군, LPS+PF+ONO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는데, 우선 다양한 비율로 혼합된 백서 폐포대식세포 및 말초혈액 호중구의 배양상층액으로부터 내독소 유도성 과산화음이온 생성능을 측정하고, 이들 염증세포들이 각 폐조직세포에 미치는 세포독성능을 측정하였다. 아울러 백서의 폐포대식세포로부터 내독소 유도성 TNF-$\alpha$, MCP-1, IL-6, IL-$1{\beta}$, IL-10 분비 및 TNF-$\alpha$ iNOS, MCP-1 mRNA 발현을 관찰하였다. 결과 : (1) 세포혼합비가 1:5일 때 LPS+PF+ONO군을 제외하고는 세포혼합비에 상관없이 LPS+PF군, LPS+ONO군 및 LPS+PF+ONO군 모두에서 각 세포혼합비의 LPS군에 비해 백서 폐포대식세포와 말초혈액 호중구로부터 내독소 유도성 과산화 음이온 생성능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2) 백서 혈관내피세포(IP2-E4 cells)에 대한 염증세포들의 내독소 유도성 세포독성능은 세포혼합비에 상관없이 LPS+PF군, LPS+ONO군 및 LPS+PF+ONO군 모두에서 각 세포혼합비의 LPS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올 보였다. 하지만 백서 폐포상피세포(L2 cells)에 대한 염증세포들의 내독소 유도성 세포독성능은 세포혼합비 및 각 실험군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3) LPS+PF군 및 LPS+PF+ONO군 포두에서 백서 LPS군에 비해 TNF-$\alpha$ 분비가 LPSrns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MCP-1 및 IL-10 분비도 LPS군에 비해 다소 감소 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LPS+ONO군은 LPS군과 비교하여 백서 폐포대식세포로부터 내독소 유도성 cytokines 분비에 별 차이가 없었다. LPS+PF군, LPS+ONO군 및 LPS+PF+ONO군 모두에서 백서 폐포대식세포로부터 내독소 유도성 IL-$1{\beta}$ 및 IL-6 분비는 LPS군에 비해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 LPS+PF군, LPS+ONO군 및 LPS+PF+ONO군 모두에서 백서 폐포대식셰포로부터 내독소 유도성 TNF-$\alpha$ 및 MCP-l mRNA 발현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iNOS mRNA 발현은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entoxifylline은 백서의 염증세포들로부터 내독소 유도성 과산화 음이온 생성을 억제하였고 폐포대식세포로부터 TNF-$\alpha$ 및 MCP-1 mRNA 발현과 억제하여 폐조직세포 손상을 감소시켰으며 ONO-5046은 과산화 음이온 생성억제 및 TNF-$\alpha$ MCP-1 mRNA 발현억제, MCP-1의 분비를 억제하였을 뿐 아니라 항염증 매개물질인 IL-10 분비를 증가시킴으로써 폐조직세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entoxifylline과 ONO-5046의 병용투여시에도 과산화 음이온 생성 및 일부 염증성 물즐의 mRNA의 발현 및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폐조직세포의 손상을 방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들로 보아 PF 및 ONO-5046은 내독소 유도성 ALI의 염증반응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측되며, 향후 이 약제들은 ALI의 새로운 보조 치료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바이다.

  • PDF

여정실(女貞實)이 LPS로 유발된 RAW 264.7 cell의 염증에 미치는 영향 (Anti-Inflammatory Effect of Ligustri Lucidi Fructus Water Extract in RAW 264.7 Cells Induced by LPS)

  • 이용현;임은미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6-81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igustri Lucidi Fructus water extract (LF) in the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mouse macrophages RAW 264.7 cell. Methods: Ligustri Lucidi Fructus was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2,000 ml) for 2 hours. In order to evaluate cytotoxicity of LF,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F, the concentration of nitric oxide (NO) was measured with NO assay, cytokine was measured by Bio-Plex cytokine assay, and intracellular calcium (Ca) was measured with Fluo-4 Ca assay in RAW 264.7 cell. And when p-value is below 0.05, it is judged to have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P<0.05). Results: 1. LF showed no cytotoxicity. 2. LF inhibited significantly the production of NO at the concentration of 25, 50 and $100{\mu}g/ml$. 3. LF inhibited significantly the production of interleukin (IL)-4, 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 (MIP)-$1{\alpha}$,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G-CSF) at the concentration of 25, 50, 100 and $200{\mu}g/ml$. 4. LF inhibited significantly the production of 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t the concentration of 50, 100 and $200{\mu}g/ml$, the interferon (IFN)-${\gamma}$ at 25, 50 and $100{\mu}g/ml$ respectively. 5. LF inhibited significantly the production of IL-$1{\beta}$ at the concentration of 50 and $200{\mu}g/ml$, the IL-5 at 25 and $100{\mu}g/ml$, the IL-12p70, MIP-$1{\beta}$ at 50 and $100{\mu}g/ml$, the regulated on activation, normal T cell expressed and secrete d (RANTES) at 100 and $200{\mu}g/ml$ respectively. 6. LF inhibited significantly the production of IL-10, interferon gamma-induced protein (IP)-10 at the concentration of $200{\mu}g/ml$. 7. LF inhibited significantly the production of intracellular Ca at the concentration of 25, 50, 100 and $200{\mu}g/ml$.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F has anti-inflammatory effect and immuno-modulating activity.

rhGM-CSF(Leucogen)의 비감염성 상처 치유 효과에 관한 연구 (The healing effect of rhGM-CSF on uninfected wounds)

  • 한승규;김병수;김애리;서재홍;최철원;신상원;김열홍;김우경;김준석
    • IMMUNE NETWORK
    • /
    • 제1권1호
    • /
    • pp.32-35
    • /
    • 2001
  • Background: rhGM-CSF has been shown to enhance the migration and proliferation of endothelial cells and to promote keratinocyte growth. This study was tried to evaluate the effect of rhGM-CSF dressing on the uninfected wounds. Methods: Thirty Sprague-dawley white mice(250-300g) were selected in this study. The number of wound with the diameter of 5 mm, was 3 in left and 3 in right at the symmetric sites, respectively. The site of rhGM-CSF dressing was decided by a randomization. rhGM-CSF($Leucogen^{(R)}$) was diluted in the distilled water($5{\mu}g/mL$). The experimental wound group was dressed by l mL of distilled water mixed with rhGM-CSF and control wound group was dressed by l mL of distilled water. The dressing was done, every 24 hours. The criteria of comparison were the duration of wound healing duration, histologic findings and the bacterial culture of wound sites. Results: The duration of wound healing was $10.3{\pm}1.7days$ in experimental group and $10.2{\pm}2.8days$ in control group,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no specific difference of histologic findings between both groups. The pathogen was not found, at all. Conclusion: It seems to be that rhGM-CSF has no prominent effect on the uninfected wound healing in the mice without immune suppression.

  • PDF

한약물을 이용한 혈관신생 촉진에 대한 최근의 연구동향 (Recent Studies of the Effects of Herbal Medicines on Angiogenesis)

  • 이송실;강중원;백용현;최도영;박동석;김덕윤;김강일;박상도;양하루;지미영;이제동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283-302
    • /
    • 2004
  • Background : Angiogenesis is the proliferation of a network of blood vessels emanating from pre-existing vessels, supplying nutrients and oxygen and removing waste products. Angiogenesis occurs in a variety of normal physiologic and pathologic conditions and is regulated by a balance of stimulatory and inhibitory angiogenic factors. Excessive angiogenesis should be suppressed. However, if blood supply is insufficient, it should be encouraged. Hyul-Mek(血脈) or Hyul-Rark(血絡), known as blood vessels in western medicine, is deeply related to Chung-Ki-Hyul(精 氣 血).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ffects of herbal medicines on angiogenesis that is involved in wound healing and enhancement of blood supply. Methods : We conducted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literature search for the identification, retrieval, and bibliographic management of independent studies to locate information on the topic. A computerized search of the published literature of Korea(KISS, RISS), China(CNKI), Japan(Kampo medicine, etc), and western countries(MEDLINE) was performed, and further supplemented with manual searches of print sources(1999 to 2003). Results : The herbal medicines with angiogenic activity were mainly found among herbs that carry replenish Shin-Cheng(補腎益精), foster Eum and improve the circulation of blood(養陰活血), or warm and circulate Kyung-Rark(溫經通絡). In particular, herbs with improve the circulation of blood and clear blood(活血化瘀) activity contain a significant amount of tannin, saponin, and pyrazine. Conclusion : Replenish Ki-Hyul(補氣血) and circulate Kyung-Rark(通經絡) could contribute to the induction of angiogenesis because various growth factors and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migration of vascular endothelial cells are involved in angiogenic activity.

  • PDF

Eritadenine 함유 표고버섯균사체 고체배양 효소추출물(EA-LEMSCEE)의 spontaneous hypertension rat 혈압감소 (Blood Pressure Reduction of SHR Treated with EA-contaning Lentinus edodes Mycelial Solid Culture Extract)

  • 문연규;정재은;조복임;허정두;최정일;김정옥;하영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7-194
    • /
    • 2018
  • 표고버섯으로부터 유래한 eritadenine (EA)은 혈중 low density lipoprotein (LDL), triglyceride (TG), phospholipid를 감소시키는 물질이다. 최근 저희 연구팀은 in vitro 연구에서 EA가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의 활성을 저해함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EA와 EA 함유한 표고버섯균사체 고체배양 효소추출물(EA-LEMCEE)이 본태성 고혈압 쥐 SHR의 혈압을 낮추었음을 보고한다. EA 및 EA-LEMSCEE는 인체 탯줄 혈관내피세포 EA.hy926 세포의 ACE 활성을 억제하였다. EA-LEMSCEE는 SHR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을 Control 처리구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추어 처리 5주에는 Positive control인 captopril (CP) 처리와 비슷한 혈압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EA-LEMCE는 LEMSCEE에 비해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을 감소시켰지만 유의성은 없었다. EA- LEMSCEE는 renin과 ACE 활성을 Control 처리에 비해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고, angiotensin II (Ang II) 함량을 감소시켜, 처리 5주 후에 이러한 CP의 효과와 유사하였다. 또한 EA-LEMCEE는 LEMCEE에 비해 유의성 있게 renin 및 ACE 활성을 억제하였고 및 Ang II 함량을 감소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는 EA 및 EA-LEMCEE는 본태성 고혈압 SHR의 renin과 ACE 활성을 억제하여 혈압을 낮추었고, EA 및 EA-LEMSCEE는 인체 고혈압을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한다.

죽력 (Bambusae Caulis in Liquamen)의 투여량에 따른 생쥐의 항산화효소 활성과 간과 신장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Changes of the Antioxidant Enzymes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of Liver and Kidney According to the Administered Dosage of Bambusae Caulis in Liquamen in Mice)

  • 김정상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4호
    • /
    • pp.399-410
    • /
    • 2002
  • 죽력의 투여에 따른 생쥐 간세포의 항산화효소 활성변화와 간과 신장의 조직병리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통하여 치료약물로써 죽력의 안전성 확보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조군은 생리식염수를 투여하였으며, 실험군은 죽력을 생리식염수에 5% (H1군), 10% (H2군), 20% (H3군)로 희석하여 0.2 ml씩 48시간 간격으로 28일 동안 구강 투여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간조직을 절취하여 SOD와 catalase의 활성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간과 신장의 조직학적변화 및 미세구조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MnSOD의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H1 (46%, P<0.05), H2 (40%, P<0.05), H3군 (34%, P<0.05)에서 증가하였다 (Fig. 1). CuZnSOD의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H1군 (11%, P<0.05)에서는 증가하였으나, H3군 (13%, P<0.05)에서는 감소하였다. Catalase의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H1 (39%, P<0.05), H2 (34%, P<0.05), H3군 (31%, P<0.05)에서 감소하였다. 간과 신장의 조직병리학적 관찰 결과, H3군에서 간세포의 팽창과 중심정맥 내피세포의 파괴현상이 뚜렷이 나타났으며, 신장의 곱슬세관 상피세포의 파괴현상이 뚜렷하였다. H2군의 간세포는 핵질이 매우 응축되어 있었으며, 사립체의 팽대현상이 현저하였다. H3군은 핵질의 전자밀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사립체의 내강은 매우 팽대되어 있고 크리스테의 형태는 관찰되지 않으면서 기질의 전자밀도는 낮게 나타났다. H3군 근위곱슬소관의 원주상피세포는 핵의 괴사가 뚜렷하였으며, 세포질내에서 관찰되는 사립체들은 대부분 팽대되거나 파괴된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보아 죽력은 투여 농도에 따라 간세포의 항산화효소 활성의 변화와 간과 신장의 조직 병리학적 변화를 초래한다고 생각된다.

자발적인 원형탈모 생쥐(C57BL/6N)와 정상적인 생쥐에서 반모(斑毛)와 골쇄보(骨碎補) 추출 혼합물의 발모(發毛)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ies on the Hair Growth Activity of Mixed Extracts of Mylabris Phalerata Pall. and Drynariae Rhizoma in Spontaneous Alopecia Model and Normal C57BL/6N Mice)

  • 이문원;조한영;김태헌;김남석;정한솔;이창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78-790
    • /
    • 2008
  • This experiment investigated the effect of mixed extracts obtained from Mylabris phalerata Pall. and Drynariae Rhizoma on hair growth activity of the normal and spontaneous alopecia areata model of C57BL/6N mice for 16 days. First, we examined morphological regrowth of hair in normal and spontaneous alopecia model of C57BL/6N mice. Second, we examined immunoreactive density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c-kit and protein kinase $C-{\alpha}(PKC-{\alpha})$ in skin of normal C57BL/6N mice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s. Third, we investigated expression of $TGF-{\beta}$, prolactin and placenta lactogen after topical application of mixed extracts of Mylabris phalerata Pall. and Drynariae Rhizoma to skin by RT-PC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Hair growth effect from middle and high concentration of mixed extracts of Mylabris phalerata Pall. and Drynariae Rhizoma was observed in 80% of normal mice in whose hair had been clipped in 15th days. Hair growth effect of all concentrations of mixed extracts of Mylabris phalerata Pall. and Drynariae Rhizoma was observed in 100% of spontaneous alopecia model of C57BL/6N mice in 15th days. Immunoreactive density of VEGF, c-kit and $PKC-{\alpha}$ in skin of all concentrations of mixed extracts of Mylabris phalerata Pall. and Drynariae Rhizoma were strongly stained in epidermis, bulge, secondary hair germ cells and cutaneous trunci m. compare to control group in 10th day. In experimental III group, Immunoreactive density of VEGF, c-kit and $PKC-{\alpha}$ in skin were strongly stained in inner and outer root sheath of skin. The treatment of mixed extracts of Mylabris phalerata Pall. and Drynariae Rhizoma increased the expression of $TGF-{\beta}$, placenta lactogen and prolactin in the skin of normal C57BL/6N mice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se experiments suggest that mixed extracts of Mylabris phalerata Pall. and Drynariae Rhizoma may stimulate the topical hair growth activity and it can be useful for treatment of alopecia are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