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mulsion Method

검색결과 422건 처리시간 0.019초

에멀젼 증발법에 의한 산화텅스텐 분말의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Tungsten Oxide powders Using Emulsion Evaporation Methods)

  • 신창훈;안종관;이응조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43-550
    • /
    • 1998
  • 에멀젼 증발법에 의해 구형의 산화텅스텐 분말을 제조하는 연구를 하였다. 분말의 특성은 TGA, X-ray 회절, SEM, image analysis 등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텅스텐 이온이 함유된 수상과 등유, 계면활성제, 파라핀유로 이루어진 유기상을 고속으로 교반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에멀젼을 $160^{\circ}C$의 등유욕내에서 증발시틴 후 얻어진 침전물을 $160^{\circ}C$에서 하소하여 텅스텐 산화 분말을 제조하였다. 산화텅스텐 분말의 평균 입경은 $0.5\;\mu\textrm{m}$ 였으며 모양은 구형이었다. Watre-in-oil형 에멀젼으로 제조된 $W_{3}$는 oil-in-water 형의 것보다 응집도가 적었다. 계면활성제의 HLB값이 증가할수록, 에멀젼 중의 텅스텐 이온의 농도가 감소할수록 평균입도가 작아졌으며, $W_{3}$ 입자들의 응집도는 증가하였다. 계면활정제로 사용한 Span 80의 농도는 8 vol%가 적당했고, 에멀젼 제조시 교반속도는 5000rpm이 적당했다.

  • PDF

반전유화법에 의한 유화아스팔트의 안정성 연구 (A Study on the Stabilization of Asphalt Emulsion with Phase Inversion Emulsification Method)

  • 허우성;이은경;최세영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4권2호
    • /
    • pp.143-14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아스팔트가 가지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아스팔트를 비이온 계면활성제(Span 80, Span 60, Tween 80, 및 Tween 60), 음이온 계면활성제(SLS), 및 양이온 계면활성제(Imidazole)를 변량 배합하여 반전유화법으로 아스팔트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유화아스팔트의 안정성을 규명하고자 입자크기, 점도, 제타전위, 및 내수성을 고찰하였다.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혼합 사용할 경우 유화아스팔트의 안정성은 우수하였으며 계면활성제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크기는 감소하였고, 반면에 점도와 제타전위 및 내수성은 증가하였다.

Poly(Styrene/Acrylate) Core-Shell 라텍스 입자의 제조와 물성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Poly(Styrene/Acrylate) Core-Shell Latex Particles)

  • 이경구;박근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7-32
    • /
    • 2003
  • The core-shell latex particles were prepared by sequential emulsion polymerization of alkyl methacrylate and styrene(ST) by using an water-soluble initiator(APS) after preparing monomer pre-emulsion in the presence of an anionic surfactant(SDBS). In organic/organic core-shell polymerization, the pre-emulsion method, which minimized required quantity of sulfactant, has been used to increase the conversion rate and the stability of core-shell latex particles as well as to reduce the formation of secondary particle that cause problems of soap-free emulsion during shell polymerization. We used several methods to observe the core-shell structure. The core-shell structure was studied by measuring pH change during hydrolysis by NaO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T_g$)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DSC), morphology of latex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TEM) and change of particle size and distribution by a particle analyzer.

이중층 스크린 인쇄판에 도포된 감광유제의 두께 (The Thickness of a Sensitive Emulsion on the Double Layer Screen Plate)

  • 정기영;강영립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25-132
    • /
    • 2011
  • Is very simple in tension work of screen mesh for effective printing if worker uses screen mesh of player who desire at screen print process. General method is methods that use mesh of player who want on screen frame as screen plate because tensioned. The single layer screen plate was made from one sheet screen mesh and the double layer screen plate was made from two sheets screen mesh overlapped. The thickness of sensitive emulsion applied to double layer screen plate is more thicker than two time s of thickness of emulsion applied to single layer screen plate. It seems that the sensitive emulsion inserted between an upper layer and a lower layer of double layer screen mesh.

Oil in Water 에멀전에서 오일 입자 크기가 분산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il particle size on dispersion stability in oil in water emulsion)

  • 황보선애;추민철;문창권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33-139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emulsification method without using an emulsifier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fluids on dispersion stability. Surfactant-free oil in water emulsion was prepared with 1 % (w/w) of olive oil by using high speed agitation, high pressure and ultrasonic dispersion methods. The particle size, microscopic observation, and dispersion stability of each sample were evaluated and dispersion stability according to various dispersion methods was compared. As a result, the emulsion dispersed by the ultrasonic dispersion method showed the smallest particle size and uniform distribution of $0.07{\sim} 0.3{\mu}m$ and was the most stable in a 7 days stability evaluation. In the above experiment, four olive oil emulsions having different particle sizes were prepared using ultrasonic dispersion technology that was capable of producing stable emulsions. The dispersion stability of each samples with oil droplet sizes of (A) 0.1 to $0.5{\mu}m$, (B) 0.3 to $4{\mu}m$, (C) 1 to $10.5{\mu}m$ and (D) 2 to $120{\mu}m$, was observed for 7 day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bility and performance was studied. Emulsion (A) with particle size less than $0.5{\mu}m$ displayed the dispersion stability showing below 5 % change in a 7 days stability evaluation. In the case of (B), (C), and (D) that had larger particle than $0.5{\mu}m$, the changes of dispersion stability were 10 %, 13 % and 35 %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it was proved that dispersion stability of emulsion with uniform particle size of $0.5{\mu}m$ or less was confirmed to be very stable.

화장품에서 유화기술의 발전 및 전망 (Development and Prospect of Emulsion Technology in Cosmetics)

  • 경기열;이천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09-217
    • /
    • 2006
  • 유화란 서로 섞이지 않는 액체들간의 분산계이다. 화장품에 사용되는 원료에는 서로 잘 섞이지 않는 물질들이 많기 때문에 이들을 한 제제 내에 잘 혼합할 수 있는 유화기술이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유화제제의 안정화 및 물성 변화를 위하여 유화제의 발달과 함께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유화기술이 개발되었다. 1950년대에 Griffin이 제안한 HLB법을 시작으로 PIT법, 겔(gel) 유화법, D상 유화법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피부 친화성 또는 인체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천연 유래의 유화제 및 고분자계 유화제의 사용이 늘고 있다. 이 외에도 제품의 외관 차별화 및 유효성분의 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나노 유화, 다중 유화, 액정 유화, 피커링 유화 등이 개발 적용되고 있으며, 리포좀이나 큐보좀 같은 나노 구조체 입자들의 응용에 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리포좀은 생체막의 주요 구성성분인 양친매성 인지질의 이중층으로 구성된 계이고, 큐보좀 역시 생체 유래 성분인 모노올레인 같은 물질로 만들어지는 나노 입자의 일종으로 그 분자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수용액 내에서 입방상 구조의 이연속적 수상 채널을 갖는다. 이러한 나노 입자에 효능물질을 봉입시켜 제제화 함으로서 생체 친화적이면서 물질의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는 화장품용 유화물 및 나노 입자들의 제조 방법, 응용 등에 대하여 간략히 소개하였다.

생체 흡수율이 증가된 liposomal ascorbic acid 제조법 개발 (Development of a Method for Producing Liposome Ascorbic acid with Increased Bio-absorption)

  • 차지현;우영민;조은솔;차재영;이상현;이근우;김안드레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32-240
    • /
    • 2022
  • 리포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여러가지 알려져 있다. 그 중 Bangham법이 가장 간단하며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어 왔다. 소규모 실험 수준에서는 효과적으로 리포좀을 제조할 수 있지만 유기용매 제거의 어려움과 지질막 형성에 반응기 크기 등의 문제로 대규모 생산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톤(t) 단위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Emulsion Method는 균일한 입자를 가진 리포좀으로 제조가 가능하나 포집률이 현저히 낮은 단점이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 높은 포집율과 안정성을 향상시킨 Heating Method으로 리포좀 최적의 공정방법을 개발하여 포집률, 입자크기, 제타전위 및 SD rat에 경구 투여하여 흡수율 실험을 수행하였다. 약 214 nm의 작고 균일한 리포좀을 형성하였고, 포집률은 Emulsion Method는 26.46%, Heating Method는 38.67%으로 Heating Method법을 제조된 리포좀이 높은 포집률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혈중 농도 대비 모든 군에서 1.5-2배 정도 증가한 경향을 보여주었고, 4-12 hr까지 점차 낮아지는 양상을 나타냈다. Ascorbic acid powder의 혈중 최고 농도는 약 12.017 ㎍/ml, Emulsion Method 리포좀 13.871 ㎍/ml, Heating Method 리포좀은 16.322 ㎍/ml 순으로 ascorbic acid powder보다 향상된 흡수율 결과를 보여주었다.

O/W 에멀젼 입자의 크기에 미치는 Direct 유화법과 Invert유화법의 효과 (Effect of Direct Emulsification Method and Invert Emulsification Method On Droplet Size of O/W Emulsion)

  • 김철훈;박재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4-81
    • /
    • 1994
  • 유화제로 polyoxyethylene(20)sorbitan monostearate, sorbitan sesquioleate을 혼합 사용하고, 분산상으로 liquid paraffin, 연속상으로 deionized water를 원료로 사용하여 Direct유화법을 이용한 전상법과 Invert유화법을 3가지 단계의 제조방법으로 나누어서 O/W에멀젼을 제조하였고, 각 단계 전상유화법에서 첨가되는 물의 양에 따른 최종 O/W에멀젼의 입자크기변화를 관찰하였다. Direct유화법을 이용한 2단계 전상유화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결과, 미세하고 균일한 입자를 갖는 O/W에멀젼은 W/O에서 (W/O)W 이중에멀젼으로의 전환 단계를 거쳐야만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Invert유화법을 사용한 3단계전상유화법은 W/O 에서 일종의 Pseudomicroemulsion gel상을 거쳐 미세하고 균일한 O/W유화 입자가 얻어졌다. 3단계 전상법이 2단계 전상법보다 더 미세하고 균일한 입자를 생성하였다. 실험에서 사용한 모든 유화법에서 혼합유화제의 HLB가 10.0 - 10.8 영역에서 가장 미세한 에멀젼입자가 형성되었다. 이 HLB영역에서 혼합유화제가 용해되어있는 오일상에 첨가되어 가용화되는 물의 양이 최대로 많았으며, 최대 가용화 물양을 갖는 유화제의 조성에서 가장 미세하고 균일한 입자가 얻어졌다.

  • PDF

Poly(vinyl acetate)와 Poly(vinyl acetate-co-ethylene) 에멀젼을 이용한 상온 블렌드 에멀젼의 Film 특성 (Film Properties of Cold Blending Emulsion Between Poly(vinyl Acetate) and Poly(vinyl acetate-co-ethylene) Emulsion)

  • 김호영;유성희;최용해
    • 접착 및 계면
    • /
    • 제12권4호
    • /
    • pp.117-124
    • /
    • 2011
  • 본 연구는 보호콜로이드로 PVA를 사용한 PVAc 에멀젼 폴리머와 VAE 에멀젼 폴리머 블렌드에 관한 것으로 보호콜로이드로 사용된 PVA는 블렌드 전의 각각의 에멀젼 폴리머 필름과 블렌드 후의 필름에서도 연속상으로 존재하였다. 이는 블렌드를 구성하는 입자사이에서 뛰어난 접착력을 예상하게 한다. Tg가 서로 다른 에멀젼 폴리머 블렌드는 중요한 관심 대상이며 PVAc/VAE 에멀젼 폴리머 블렌드는 이 중 간단하면서도 또 다른 뛰어난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혼합 결과, PVAc 증가에 따라 신율이 저하되었고, PVAc 제조에 사용된 가소제가 혼합물의 Tg에 영향을 미쳐 PVAc 가소제의 VAE 에멀젼 폴리머으로의 이행으로 인하여 VAE 에멀젼 폴리머의 Tg를 저하시켰고, 인장강도 및 내열성, 접착력에서 두 혼합물의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전단유동에서 온도, 전단속도, 계면장력 변화에 따른 에멀전의 유변학적 특성 (Relative Viscosity of Emulsions in Simple Shear Flow: Temperature, Shear Rate, and Interfacial Tension Dependence)

  • 최세빈;이준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9권8호
    • /
    • pp.677-682
    • /
    • 2015
  • 격자 볼츠만 기법(Lattice Boltzmann method)을 사용하여 에멀전의 유변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간단한 전단 유동하에서 온도와 전단속도, 계면장력에 변화를 주어 에멀전(decane-in-water)의 상대점도를 계산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에멀전의 상대점도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전단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전단박하(Shear thinning) 현상을 보여주었다. 이는 크로스 모델(Cross model)을 통해 검증하였고 일치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계면에 존재하는 계면활성제(Surfactant)를 통해 제어되는 계면장력이 증가할수록 상대점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큰 계면장력에서는 기름방울의 변형이 억제되고 점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기름방울의 표면적이 감소하면서 나타난다고 해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