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ee Turnover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9초

노사관계의 질이 직무태도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QUMR to Job Attitude and Job Performance)

  • 김찬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04-214
    • /
    • 2009
  •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노사관계관리의 관점에서 노사관계의 질이 직무태도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노사관계의 질이 종업원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그리고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노조원 여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결과 노사관계의 질은 조직몰입에정(+)의 영향을, 이직의도에는 부(-)의 영향을 그리고 직무성과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노조원 여부의 조절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노사관계관리에 필요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로컬호텔과 체인호텔 종사자의 직무만족, 이직의도,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of Employees in Domestic Independent Hotel and International Chain Hotels)

  • 김해동;최하연;김학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16-22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level of hotel employees using Herzberg's motivation hygiene theory. This study used SPSS 20.0 and AMOS 20.0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ath analysis and chi-square difference test. The results of study, first of all, Herzberg's, theory of hygiene are influenced by satisfaction of employees, organization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t will be strongly needed to management of compensation, well-organized policy of human resources system. Lastly, in Hotel business, It showed differences having a strong influence on local employee and chain hotel employee according to method of Hotel management. In conclusion, in the hospitality industry, it is desirable to carry out on their own ways of vision and purpose each corporations rather than following regimental rules.

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도가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 (Effect of Shiftwork Nurses' Fatigue 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 Mediating Role of Job Stress -)

  • 이경희;김지영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4-82
    • /
    • 2011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hift work nurses' fatigue influence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nd how job stres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turnover intention. Methods: A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3 shift work nurses in a city. It was analyzed using the SPSS/WIN 14.0 and AMOS 5.0. Results: fatigue and job stress in shift work nurses influenced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worked as a partial mediation between fatigue and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reduce fatigue and job stress for reducing turnover intention in strategies of hospital manpower.

다수준 생존분석을 이용한 신규 간호사 이직 영향요인 (Predictors of Turnover among New Nurses using Multilevel Survival Analysis)

  • 김수희;이경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733-743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new graduate nurse turnover.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a secondary analysis of data from the 2010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A total of 323 nurs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concerning reasons for turnover.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level survival analysis. Results: About 24.5% of new nurses left their first job within 1 year of starting their jobs. Significant predictors of turnover among new nurse were job status, monthly income, job satisfaction, the number of hospitals in region, and the number of nurses per 100 beds. Conclusion: New graduate nurses are vulnerable to turnover. In order to achieve the best health of the nation, policy approaches and further studies regarding reducing new graduate nurse turnover are needed.

종업원(從業員) 경영참여제도(經營參與制度)의 효과분석(效果分析) (The Effects of Employee Participation Programs)

  • 이상엽
    • 노동경제논집
    • /
    • 제23권1호
    • /
    • pp.81-101
    • /
    • 2000
  • 본 연구의 주목적은 종업원 경영참여제도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먼저 경영참여제도와 보완적 관행들-고용 안정성, 교육훈련제도, 합리적 보상체계, 정보의 공유 및 권한 위임-과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노사공동선 달성이 가능하다는 이론적 분석 들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 분석 틀에 의거하여 회귀분석을 통하여 참여제도와 보완적 관행들의 결합에 의해 기업의 성과수준(1인당 부가가치생산성) 향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구명하였다(가설 1). 그리고 t-test와 판별분석을 통하여 참여제도의 도입 및 운영수준이 높고, 보완적 관행들과의 상호결합이 잘 이루어지는 기업들과 그렇지 않은 기업들 간에는 기업의 성과수준과 근로자 삶의 질 수준에 뚜렷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구명하였다(가설 2). 이러한 연구결과는 참여제도 도입의 당위성올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 PDF

국내.외 외식업체 종사원의 직무 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 Job Satisfaction Between Korean Brand and Foreign Brand in the Restaurants Business)

  • 이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7호
    • /
    • pp.119-12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외 브랜드 외식업체에서 근무하는 종사원의 직무 만족도를 비교하여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 방안에 대한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 외 브랜드의 종사원 모두 외식업에 대한 높은 비전, 자부심, 업무만족을 높게 인지하고 있는 반면에 임금조건은 매우 낮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브랜드 외식업체의 종사원의 전반적인 직무만족도는 높은 편인 반면에 이직의도는 해외브랜드에서 높게 보이고 있다. 첫째, 생산성에 대한 보상, 종사원의 만족수준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모니터링 해야 한다. 둘째, 조직의 경영성과를 성취하기 위해서 차별화된 수준으로 종사원 개발 프로그램을 관례화해야 한다. 셋째, 종사원 기술의 지속적인 개발과 동기부여를 위한 자기개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넷째, 정기적으로 상사와 부하직원이 각각의 고충을 토론한 비디오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다.

  • PDF

Causal Relationships of Organizational Work-Family Support with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 Choi, Hyun Jung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2-58
    • /
    • 2014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organizational work-family suppor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Korean hotel employees.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goal,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undertaken using SPSS(18.0) and AMOS(18.0). The result shows that organizational work-family suppor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it also positively impa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it doesn'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each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abovementioned results, we can find out that each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an complete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work-family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블랙컨슈머행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Black Consumer Behavior on the Intention of Turnover: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 양진호;권혁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139-145
    • /
    • 2019
  • 본 연구는 블랙컨슈머행동이 조직구성원에게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블랙컨슈머행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Baron &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절차에 따른 분석 결과 블랙컨슈머행동의 상습성, 기만성, 과도성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리고 기만성과 과도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가 존재한다는 결과를 통해 심리적 계약위반에 대한 지각을 감소시키는 노력을 통해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음을 밝혔다.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한 블랙컨슈머 접근 금지 정책이나 감정노동 수당 등의 보상시스템 등의 대책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고객의 행동과 조직구성원의 행동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호텔 종업원의 인공지능 컨시어지로봇에 대한 인식이 전환비용, 저항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Hotel employee's percep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cierge robots effect on switching cost, resistance, turnover intention)

  • 왕단평;정남호
    • 서비스연구
    • /
    • 제13권4호
    • /
    • pp.206-223
    • /
    • 2023
  • 인공지능과 같은 스마트 기술의 도입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스마트 기술이 새로운 영역의 등장, 생산성 향상을 일으키며 사람들의 일상과 업무처리 방식을 완전히 바꿀 것이라고 전망한다. 반면 부정적인 시선과 우려 또한 존재한다. 일자리 뺏김, 실업률의 상승 등 고용에 대한 많은 사회적 논쟁이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인공지능시스템과 고용 간의 갈등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공해주는 종업원 경험 기반의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호텔업을 중심으로 인공지능 컨시어지로봇이 호텔 종업원에게 미치는 영향과 관련 요인을 찾아내며 이에 대한 인식이 사용자 저항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인공지능 컨시어지로봇 서비스가 도입된 중국 내 호텔에서 근무하는 종업원 3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호텔 종업원들의 인공지능과 로봇에 대한 인식이 사용자 저항 및 이직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영향은 종업원의 자기효능감, 조직적 지원, 인공지능 서비스의 품질과 새로운 업무처리 방식의 전환비용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더불어 인공지능 서비스의 품질이 직간접적으로 사용자 저항과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