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 labor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6초

대형마트 종사자에 대한 서비스교육, 조직지지 및 중재지원이 감정노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Service Training, Organizational Support, and Arbitration Support Among Large Superstore Workers' Work Performance and Emotional Labor)

  • 이재학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28권2호
    • /
    • pp.179-20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rvice training and arbitration support on superstore workers' work performance. The conclusion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Hypothesis 1 that service training and arbitration support for superstore workers would significantly affect the factor of workers' emotional labor, when surface acting of emotion and frequency of expressing emotions were the dependent variable, only arbitration support was positively correlated. When emotional diversity was the dependent variable,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rvice training. Second, for Hypothesis 2 that service training and arbitration support for superstore workers would significantly influence the workers'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only organizational support was significantly positive when wage satisfaction was the dependent variable. When job satisfaction was the dependent variable, service training and arbitration suppor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positively. Third, for Hypothesis 3 that service training and arbitration support for superstore workers would significantly affect the service delivery level when service responsiveness was the dependent variable, service training and arbitration support were significantly positive. When service expertise was the dependent variable, there was also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rvice training and arbitration. On the other hand, all the three independent variables-service training, organizational support, and arbitration support-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hen the willingness and effort of service was the dependent variable.

간호대학생의 감정노동 및 회복탄력성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Predictors of Emotional Labor and Resilience on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 박은미;송영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57-365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dictors of emotional labor and resilience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distributed to 120 nursing students. Structured questionnaires addressing emotional labor, resilience, and clinical competence were employe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 total of 116 surveys were analyze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majo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competence (F=6.59, p=.002; F=11.32, p<.001, respectively). Clinical competenc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silience (r=.67, p<.001).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major, and resili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cting clinical competence with the explanatory power of 46.4% (F=20.91, p<.001).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resilience was the critical predictor of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velop resilience programs to help improve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Design Analysis of Punk Style Leather Jacket

  • Kim, Ji-Seon;Yum, Hae-Jung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Costume Conference
    • /
    • pp.69-69
    • /
    • 2003
  • In the late 1970s, Punk style that appeared according to the social reaction among labor class youngsters has reappeared till now, and also the emotion and mode are working on fashion greatly. In addition to that, as it pervades to young generation more freely, it's becoming a kind of origin in creative fashion. Especially, Punk style leather jacket has spread to high fashion and settled down as an essential item through popularization of leather jacket.

  • PDF

주제분석을 통한 사회복지 종사자의 감정노동 경험 연구: P시 사례를 중심으로 (Study on about Emotional Labor Experience of Social Workers through Thematic Analysis : Focusing on Social Workers in P City Case)

  • 서보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1-47
    • /
    • 2019
  •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공공기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 종사자 8명을 대상으로 감정노동에 대한 인터뷰한 결과를 주제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6개의 범주와 22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6개의 범주는 '분풀이 대상으로서의 직장생활', '살얼음판에 놓여있음', '안전하지 않은 일터', '생활세계를 잠식하는 감정노동', '감정의 상함, 이겨내야 하는 난제', '감정노동, 함께 가야 하는 숙명'이다. 사회복지 종사자들은 실천현장에서 이용인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 속에서 감정노동을 지속적으로 경험하며 폭언과 욕설을 듣기도 한다. 또한 실수를 용납할 수 없는 업무환경 속에서 업무압박감을 경험하며 안전에 취약한 근무환경 속에서 자신의 안전은 스스로 지켜야 한다. 감정노동 경험 속에서 감정노동은 종사자의 신체,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소진을 경험한다. 감정노동은 해결될 수 없는 난제이며 참고 감내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종사자의 안전보장을 위한 대책마련, 종사자 지원을 위한 거점시설 마련, 이용인, 보호자, 시민에게 사회복지 종사자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인권교육 실시, 슈퍼비전 체계마련, 감정노동 수준이 높은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신건강관리 체계 마련을 제안하였다.

돌봄 종사자들의 감정부조화와 우울 및 불안 간의 관계에 대한 융합연구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onvergence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Dissonance, Depression and Anxiety in Care Service Worker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 이정민;홍민희;장기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41-35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돌봄 종사자의 감정부조화와 우울, 불안 간의 관계를 조사하고, 감정부조화와 우울 및 불안 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돌봄 종사자 142명을 대상으로 감정부조화 평가척도, 정서지능 척도, PHQ-9, GAD-7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감정부조화와 타인 정서인식이 우울 및 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정부조화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타인 정서인식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돌봄 종사자의 감정노동 및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개입 방안을 제안하고 논의하였다.

간호사의 감정노동, 피로 및 근골격계 통증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Labor, Fatigue, and Musculoskeletal Pain in Nurses)

  • 이은연;김주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51-359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사의 감정노동, 피로 및 근골격계 통증수준을 파악하고 그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시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며 연구참여에 동의한 총 235명의 간호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간호업무 수행 중 경험하는 감정노동, 피로 및 근골격계 통증수준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상관계수 및 다중회귀(multiple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 간호사들의 평균 감정노동수준이 3.27점, 평균 피로수준은 2.04점, 및 평균 근골격계 통증수준은 4.43점으로 조사되었다. 간호사들의 감정노동과 피로수준은 근골격계 통증수준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180, p=.006; r=.278, p<.001) 감정노동은 피로수준과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353, p<.001). 간호사의 근골격계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체적 피로(${\beta}=.324$, p<.001)와 성별(여성)(${\beta}=.171$, p=.009)이었으며 이들 변수는 근골격계 통증수준을 13.7%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16.271, p<.001).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간호사가 병원에서 간호업무수행 중 경험하는 감정노동은 피로와 근골격계 통증에 상호 관련됨에 따라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피로를 감소시키고 근골격계 통증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모색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호텔기업 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motion Labor on Job Stress and Burnout for the Hotel Employee)

  • 박영배;안대희;이상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853-864
    • /
    • 2009
  • 호텔종사원을 대상으로 한 감정노동의 개념은 이론적 실증적으로 매우 중요하나 아직까지 연구가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텔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서울지역 특급호텔 종사원을 대상으로 회수된 설문지 330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종사원의 감정표현 주의정도, 감정표현 빈도, 감정부조화는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표현의 빈도, 감정부조화는 소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호텔산업에 있어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 감정소진,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otional Labor, Emotional Burnout, Turnover Intention of Dental Hygienist)

  • 정경이;한옥성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80-286
    • /
    • 2015
  • 본 연구는 치과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과 감정소진 및 이직의도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광주지역의 치과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감정소진, 이직의도를 분석한 결과 감정노동의 경우 4년제졸업 및 대학원 이상이 3.72, 치과병원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3.85로, 월 소득 수준은 200만원 미만이 3.76으로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감정소진에서는 연령에서, 이직의도는 연령과 임상경력이 5년 이하인 경우에, 치과병원에서 근무한 경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p<0.05). 감정노동, 감정소진, 이직의도에 대한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감정노동은 감정소진(r=0.280, p<0.01)과 이직의도(r=0.194, p<0.01)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p<0.01), 감정소진은 이직의도(r=0.359, p<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임상경력이 5년 이하인 경우, 5일제 근무를 안 하는 경우, 감정소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감정노동이 감정소진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감정노동을 완화 및 관리하기 위한 개인 및 조직적인 차원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간호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 - 지방공립의료원을 중심으로 -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of Clinical Nurses in Local Public Hospitals)

  • 이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66-474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EI) and job stress of clinical nurses in small to medium-sized hospital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152 nurses working in 4 local public hospitals in one district. EI was measured with the scale developed by Law, Wong, & Song (2004), and job stress with the scale by Choi, Kang, & Woo (2006). Data were analyzed with PASW (SPSS) 18.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I according to work time, in self-emotional appraisal according to salary, in regulation of emotion according to marital status, age, work time, and salary.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tress including somatization, depression and anger according to marital status, work time, and salary. Correlation between EI and job stress was negative. EI explained 17.3% of variance in job stress.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o decrease job stress, nursing managers need to develop EI, especially self-emotional appraisal and regulation of emotion for nurses in their twenties and for unmarried nurses.

기업의 표현규정이 비대면 감정노동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isplay rule for none face-to-face emotional worker's job satisfaction)

  • 여현진;박지영;문재영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649-660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mpirical studies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positive defining representation, negative defining representation, surface acting, deep acting, dissatisfaction of job, and intention of job transfer. Methods: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survey by customer satisfaction team of "A" company call center.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emotion and behavior norm influence on deep act of expressing both positive impacts of the employees. Conclusion: Feelings of corporate representation norm is psychologically of employees that because it affects even also must facilitate the surface acts and internal acts of employees and job dis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due to emotional dissonance and emotional exhaustion and turnover are hidden on the back emotion norms in the contact department, it should be aware of the need to address the emotional problems. Companies need to develop a variety of programs with attention to addressing the emotional difficulties experienced by wor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