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9.19.03.031

Study on about Emotional Labor Experience of Social Workers through Thematic Analysis : Focusing on Social Workers in P City Case  

Suh, Borahm (평택복지재단)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emotional labor experiences of 8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public institutions by thematic analysis method with interveiws with them. Six categories and Twenty two themes concerning the emotional labor experience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Six categories are as follows: 'work life as a target for anger', 'unsafe workplace', 'emotional labor that ruins life', 'overcoming hurt emotion', and 'living with emotional labor'. Social workers are constantly required to perform emotional labor providing services to clients in the field of practice, and they also suffer verbal abuse from clients. Social workers feel the pressure of work in the environment that does not tolerate mistakes and they must keep their safety on their own. In these cases, emotional labor has effects on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workers. The problem of emotional labor is difficult to solve and there might not be no choice but to endure.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and policy measures for social work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olicy suggestions are as follows: safety assurance for social workers, establishment of base facilities for employee support, human rights education for employees, preparation of super vision system, and the provision of a mental health care system.
Keywords
Social Workers; Emotional Labor; Case Study; Thematic Analysis; Face-to-face Servi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소정, "동사무소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 딜레마," 사회복지연구, 제46권, 제1호, pp.315-342, 2015.
2 김민주, "감정노동의 재개념화에 관한 논의," 경영컨설팅연구, 제17권, 제2호, pp.73-87, 2017.
3 A. R. Hochschild,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4 신경아, "감정노동의 사회학적 탐색,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제29권, pp.180-204, 2016.
5 정이환, "서비스산업화와 노동의 변화, 한국사회학," 제38권, 제4호, pp.159-186, 2004.
6 이항아, 윤명숙,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우울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4권, 제1호, pp.48-75, 2016.
7 고재욱,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9호, pp.65-94, 2013.
8 이복임, "감정노동 종사자의 건강모형," 한국산업간호학회지, 제16권, 제1호, pp.78-88, 2007.
9 구정순, 김선호,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건강증진행위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19권, 제5호, pp.225-235, 2018.
10 이정은, 신재은, 김명숙, 조문한, 이인재, "감정노동자의 심리적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집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평가," 스트레스연구, 제24권, 제1호, pp.35-45, 2016.
11 김송이, "돌봄서비스 노동자들의 노동경험 연구: 감정노동과 관계적 노동 속성을 중심으로," 여성연구, 제82권, 제1호, pp.103-136, 2012.   DOI
12 C. W. Hsieh, "Burnout Among Public Service Workers: The Role of Emotional Labor Requirements and Job Resources,"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Vol.34, No.4, pp.379-402, 2014.   DOI
13 이선미, 최항석, "광주지역 사회복지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검증," 지역산업연구, 제35권, 제1호, pp.127-148, 2012.
14 Y. J. Cho and H. J. Song, "Determinants of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Trust," Public Personnel Management, Vol.46, No.1, pp.41-65, 2017.   DOI
15 문영주,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6권, 제3호, pp.283-315, 2014.   DOI
16 현남숙, "감정노동의 상업화와 진정성의 문제," 시대와 철학, 제25권, 제3호, pp.105-129, 2014.
17 한상근, "감정노동의 직업적 특성에 관한 연구," 노동연구, Vol.32, pp.5-27, 2016.
18 최혜경, 사회복지실천론, 서울: 학지사, 2010.
19 김희경, 고재욱,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17호, pp.55-79, 2005.
20 이새롬, 박재오, 박재찬, 감정노동 근로자의 감정노동 실태, 위험요인, 건강영향 연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5.
21 윤진한, 이원강, "감정노동 종사자의 자기효능감과 감정부조화의 관계에서 감정노동전략의 매개효과," 관광연구저널, 제31권, 제2호, pp.189-204, 2017.
22 정명희, 김현주, "화장품 판매직 여성근로자의 감정노동과 우울증상과의 관련성: 정신적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오일 및 응용과학 학회지, 제35권, 제1호, pp.1-11, 2018.
23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 2012.
24 K. M. Eisenhardt, "Building Theories from Case Study Research,"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4, No.4, pp.532-550, 1989.   DOI
25 R. K. Yin,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5th ed, Sage Publication, 2014.
26 S. B. Merriam,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Jossey-Bass, 1998.
27 V. Braun and V. Clarke,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Vol.3, No.2, pp.77-101, 2006.   DOI
28 A. J. Hatch, 진영은 역, 교육 상황에서 질적 연구 수행하기 :질적 연구 수행방법의 단계별 안내, 서울: 학지사, 2008.
29 M. Q. Patton,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Sage Publication, 2002.
30 S. B. Merriam and E. J. Tisdell, Qualitative Resea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Jossey-Bass, 2016.
31 경기도교육청, https://edup.goe.go.kr/views/cms/eapc/i1_001/i2_001.jsp, 2018.12.10.
32 문현주, 신혜정, 강방글, 권지성, "사회복지전담 공무원의 감정노동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6권, 제1호, pp.113-146, 2014.   DOI
33 박석희, 송윤정, "조직원들의 감정노동의 직무성과와의 관계,"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20권, 제1호, pp.1-24, 2013.
34 김수연, 장세진, 김형렬, 노재훈, "서비스직 근로자의 감정노동과 우울수준,"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제14권, 제3호, pp.227-235, 2002.
35 L. M. Schaible and V. Gecas,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and Value Dissonance on Burnout Among Police Officers," Police Quarterly, Vol.13, No.3, pp.316-341, 2010.   DOI
36 박연옥, 안성식, "감정노동이 서비스 제공수준, 조직몰입,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제29권, 제6호, pp.167-186, 2015.
37 김왕배, 이경용, 이가람, "감정노동자의 직무환경과 스트레스," 한국사회학, 제46권, 제2호, pp.123-149, 2012.
38 D. P. Bhave and T. M. Glomb, "The Role of Occupational Emotional Labor Requirements on the Surface Acting-Job Satisfaction Relationship," Journal of Management, Vol.42, No.3, pp.722-741, 2016.   DOI
39 박찬임, 이승렬, 신현구, 강병식, 문무기, 김종진, 이정훈, 서비스 산업의 감정노동 연구: 판매원과 전화상담원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12.
40 송현진, 조윤직, "감정노동이 사회복지사의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행정논총, 제54권, 제3호, pp.137-173, 2016.
41 김정오, 문희, 박옥임,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1호, pp.302-334, 2018.
42 권순만, 전순득, 고재욱,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험요인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16호, pp.83-100, 2015.
43 오창택, "사회복지종사자의 감정노동수행전략이 이직의도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감정고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46권, 제4호, pp.53-78, 2012.
44 최희경, "노인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에 대한 연구: 감정노동으로서의 일반적 특징과 차별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29권, pp.113-138, 2011.
45 박아가페, 박창우, "학교사회복지실천가의 감정노동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66권, pp.261-295,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