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Engineering Education

검색결과 284건 처리시간 0.024초

A Role-play Approach for Privacy Protection Inspiration of Elementary Students

  • Park, Gwi-Ja;Rhee, Kyung-Hyune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1796-1808
    • /
    • 2009
  •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 little awareness of privacy protection since they do not have many opportunities for systematic education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Hence, they are likely to expose their own information to others and sometimes bring on a lot of misuses by using others'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vide an idea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hich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quire privacy protection and management methods and raise their practical capabilities. We develop a role play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n connection with variou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ctivities and establish the instruction plans. Moreover, we apply them to the actual classes at grade five and six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ectively, and finally analyze the results. The propo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hows that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a series of learning activities have higher learning effects on awareness of privacy protection than those learn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s.

  • PDF

공학교육에서 학습자 질문 촉진을 위한 온라인 소통 창구의 활용과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Effect of Online Communication Channels to Promote Learner Questions in Engineering Education)

  • 홍수민;유재혁;김한휘;임영섭;임철일
    • 공학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11-21
    • /
    • 2023
  • In engineering education, stimulating students' questions and encouraging learning participation are crucial for achieving higher-order thinking abiliti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use and effect of an online communication channel in fostering engineering students' questioning abilities. Consequently, in this research, we gauged students' satisfaction with an engineering class that implemented a communication channel, and scrutinized the changes in their perceptions regarding the significance of questions, their engagement in learning, and their academic self-efficacy. In addition, we interviewed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The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ly, student satisfaction improved compared to the previous semester's class where the communication channel was not utilized. Secondly,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asking questions positively escalated, alongside their actual frequency of posing questions. Thirdly, there was an improvement in learners' active engagement in their studies and their academic self-confidenc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communication channels should be employed to motivate learners to pose questions and involve students in effective learning.

초등학생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Digital Textbook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 송문현;김자미;김현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287-298
    • /
    • 2015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학교 현장에서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현실화시킬 교재로서 디지털교과서를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디지털교과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가정, 교사, 학교 요인으로 선정하여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고, 이들 요인이 디지털교과서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충남 지역 초등학생과 학부모 각각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가정 내 인터넷 이용환경, 디바이스 보유 환경, 학습 및 정보수집 용도 인터넷 활용 유무 및 활용 시간, 교사 사용 디바이스 종류, 디지털교과서 수업 시수 및 시간 비율 등의 요인에 대해 디지털교과서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각 변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가정 요인의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이 디지털교과서 관련 만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 사용을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 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로봇활용수업이 학생의 상호작용 촉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Robot Based Instruction for Promotion of Students' Interaction)

  • 김경현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6호
    • /
    • pp.164-170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실수업에서 로봇활용수업이 학생의 상호작용 촉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로봇활용수업은 인지적 정의적 초인지적 상호작용이 고루 분포되었으며 특히 초인지적 상호작용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세부 활동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로봇매체가 중개자가 되어 상호간의 의사소통을 활발히 촉진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명료화와 정교화에 관련한 초인지적 상호작용이 활발히 조성되었다. 따라서 로봇활용수업은 학생의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학생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지식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n the Impact of Knowledg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n Their Behaviors in Elementary School)

  • 이경찬;김자미;이원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299-310
    • /
    • 2015
  • 본 연구는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지식이 실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인정보보호 관련 지식은 개인정보 개념, 정보주체 권리, 정보보호 행동수칙, 개인정보 가치인식의 영역으로 구성하였고, 개인정보보호 행동은 개인정보보호수칙의 준수, 개인정보침해에 따른 피해구제 노력으로 설정하여, 초등학생 5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기기입식의 방법으로 지식과 행동의 연관성을 측정하고, 행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육 유무에 따라서 지식과 행동의 4개 요인은 차이가 없었다. 둘째, 개인정보보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정보보호 행동수칙의 인지와 개인정보 중요성에 대한 가치인식에 관한 지식이었다. 본 연구는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교육에 있어서, 어떤 지식을 위주로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초등학생의 공간시각화능력 및 수학성취도에 관한 연구 (Spatial Ability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성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6권3호
    • /
    • pp.303-313
    • /
    • 2013
  • 공간능력은 수학의 직관적 관점과 수학적 이해 및 수학적 성취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능력으로 평가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1228명을 대상으로 공간시각화능력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공간시각화 능력과 수학성취도, 공간시각화 능력과 공간시각화 검사시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공간능력은 남녀 사이에 차이가 있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공간능력은 학년수준에서 4학년보다는 5학년이 높았으며, 5학년보다는 6학년이 더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래밍 교육 과정」 연구에 대한 분석과 성취기준 부합도 평가 (Survey the Researches of "Programming Curriculum" and Evaluation with Outcome Criterion)

  • 김지수;김정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6권5호
    • /
    • pp.235-244
    • /
    • 2017
  •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이 핵심역량이 되면서,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래밍 과목의 교육목적은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단순한 컴퓨터 활용 능력과 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성을 파악하는 수준으로는 달성할 수 없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하여 실생활의 문제 해결을 위한 알고리즘을 작성하고 프로그램으로 구현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에 프로그래밍 영역 교육과정을 강화하였고,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도 마련되었다. 그러나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프로그래밍 교육과정들에 대한 연구들을 분석하고 이런 교육과정이 성취기준과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평가하였다. 또한 프로그래밍 교육과정 연구시 고려할 사항과 교육과정의 운영 결과가 성취기준과 부합하는지 검증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아울러 초 중등학교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에서의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A Novel Engineering and Creative Learning Process Based on Constructionism

  • Hong, Ki-Cheon;Cho, Young-Sa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7권3호
    • /
    • pp.213-220
    • /
    • 2019
  • This paper shows that novel engineering (NE) is a creative learning process (CLP) based on Seymour Papert's constructionism. First, the paper introduces NE, CLP, and constructionism. Next, a sample NE lesson is explored. NE is an innovative way of integrating literacy into an engineering discipline that was developed by the Center for Engineering Education and Outreach (CEEO) at Tufts University. NE consists of seven steps: picking a book, identifying problems, designing solutions, building, feedback, upgrading solutions, and reconstructing stories. Lifelong Kindergarten by Mitchel Resnick of the MIT Media Lab describes CLP, and the four elements necessary for a lesson to be creative. NE can be viewed as one of the most creative, comprehensive learning models ever developed. NE integrates several paradigms in Korea, following all the constructs of both CLP and constructionism.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NE is based on both CLP and constructionism.

고등학교 발명 활동과 대학 특허교육 성취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Invention Activities and College Patent Education Achievement)

  • 설인환;지선구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70-76
    • /
    • 2021
  • As intellectual property has become an important competitive element in the industry, government-led patent education is rapidly expanding. It is important to look at whether each patent education course is organically linked to each other under a life-long patent education system from elementary school to college. This study focused on the link between high school education and college education to analyze statistically how invention activities in high school affect patent education achievement at college. Statistical analysis of a survey of students taking a basic course of intellectual property reveal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vention experience in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patent class total score, contrary to popular perception. These results are believed to be due to the distribution of data on the number of invention contest participations or the number of invention class participations, which does not form a normal distribution and has a relatively large skewness. Rather, the attendance to the patent class showed a relatively distinct positive linear correlation with the patent class total score, indicating that the student's attitude in class was important for the patent education achievement.

한국과 캐나다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 초등학교 5, 6학년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Analysis of Mathematics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s between Korea and Canada - Focusing on the Numbers and Operations in 5th and 6th Grade -)

  • 김애경;류희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3호
    • /
    • pp.331-344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과 캐나다의 수학 교과서 중 수와 연산 영역을 초등학교 5, 6학년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한국 초등학교 수학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과 캐나다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수학 교과서의 교과서 구성 체제를 비교·분석하고, 수학 교과서 수와 연산 영역의 학년별 도입 시기 및 초등학교 5, 6학년 수와 연산 영역의 학습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한 수학적 개념과 연산을 사칙연산의 종류나 수학 영역에 구애받지 않고,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된 문제 상황 속에서 자연스럽게 도입하여 통합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교과서 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실제 사진과 수학, 과학, 기술, 공학, 예술 등의 소재를 사용한 문항 구성 및 읽을 거리로 수학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교과서 구성이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실제 교구 및 수학 모델의 사용을 통한 충분한 수학 원리 학습, 공학 도구를 사용하여 문제해결 전략에 초점을 맞춘 교과서 구성이 필요하다. 넷째, 분수와 소수 학습에 대한 학습 지도 시기나 학습 내용 구성 및 전개 방법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