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meaning

검색결과 631건 처리시간 0.021초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감성지능, 소진탄력성 및 생의 의미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to Burnout, and Meaning in Life of Hospice Volunteers)

  • 김경옥;유명숙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8-86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to burnout, and meaning in life of hospice volunte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200 hospice volunteers who were working at hospitals for six months or longer.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7 to March 31, 2016,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WIN 22.0.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to burnout and meaning in lif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hospice volunteers' meaning in life were resilience to burnout(${\beta}=.47$), emotional intelligence(${\beta}=.15$), educational level(college, ${\beta}=.11$), religion(protestant, ${\beta}=.12$; buddhism, ${\beta}=-.15$), and motivation for neighborhood service(${\beta}=.16$). These variables explained meaning in life up to 50.2%. Resilience to burnout was the greatest effective factor on meaning in lif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a need to develop programs that improve hospice volunte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resilience to burnout. Also, educational level, religion, and service motivation of hospice volunteers should be considered.

실습과정 구성요소의 의미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peration of the Factors Constitute the Course of Practice)

  • 이성남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281-290
    • /
    • 2003
  • 실습은 이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교육자와 실습의 대상인 학생간에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이다. 실습과정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내용은 학생들에게 달성시키고자 하는 전공지식과 기술로서 교육자와 학생의 관계에서 전달과 수간의 절차가 관여한다. 이와 같이 실습과정의 커뮤니케이션이 교육자와 학생 그리고 실습의 내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이들은 실습과정을 구성하는 의미의 대상이며 상호작용의 관계성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실습과정을 계획하기 위해서는 실습과정을 구성하는 이들 의미대상의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의미작용의 현상을 이해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가지고 실습의 과정에서 이들 의미대상이 형성하는 의미작용에 대한 현상적 분석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연구자는 실습과정에서 이들 의미대상이 가지고 있는 속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의미작용의 요인들을 해석함으로써 실습과정을 계획하는데 있어서 고려해야할 인식의 범주를 제시하였다.

  • PDF

Pre-service Teachers' Internalized Meanings of Educational Constructivism

  • Kwak, Young-Su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9-131
    • /
    • 2002
  • Constructivism is defined in a variety of ways (e.g., constructivist research paradigm, sociological constructivism, and philosophical constructivism) and applied in vastly different contexts. Among the various usages and interpretations of constructivism, one is educational constructivism that embodies an epistemological view of knowledge and learning that is an alternative to naive empiricism or classical behaviorism. To represent the full range of stances taken by educational constructivists, three versions of educational constructivism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individual constructivism originating in the work of Piaget, the radical version of constructivism associated with von Glasersfeld, and the social constructivism of Vygotsky. I investigated preservice teachers' meaning construction about constructivist epistemology as they went through thei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using in-depth interviews. This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employs constructivist aspects of teacher education and generates applications of constructivism to the practice of teaching. Features of preservice teachers' internalized meanings of educational constructivism include: (1)traditional pedagogy as the default, (2) Literal interpretation of constructivism, (3) Individual constructivism as conceptual change learning, (4) Radical constructivism as a strong individualistic philosophy, (5) Social constructivism as being too ideal to be practical. A compilation of the teachers' own statements about how to implement conceptual change learning and their projected role as constructivist teacher is also provided.

조작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에서 구성의 의미와 과정 (The Meaning and Mechanism of the 'Construction' in the Operational Constructivism and the Social Constructivism)

  • 임재훈;홍진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299-312
    • /
    • 1998
  •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meaning and mechanism of the 'construction' in the operational constructivism and the social constructivism. According to Piaget, a mathematical concept is the operational sch me, which is constructed through the reflective abstraction from a general coordination of activities and operations. The process of the reflective abstraction consists of 'reflechissement'and 'reflexion'. The reflechissement starting from 'intriorisation' concludes with 'thematisation', and the reflexion consists in the 'equilibration' of the result of reflechissement. The 'construction' in the social constructivism includes two process. One is the process from the individual, subjective knowledge of mathematics to the social, objective knowledge of mathematics, and the other is vice versa. The emphases is placed on the 'social interaction' and the 'representation' in this two processes. In this context, if we want to apply the social constructivism, we should clarify the meaning of 'society', and consid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society of mathematicians and the society of students.

  • PDF

대수적 언어 학습으로서의 문자식의 지도 - 중학교 1학년 문자와 식 단원의 지도 계획안 구성 및 수업 사례 - (On the Learning of Algebraic Language: the Teaching of literal Expressions)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2호
    • /
    • pp.439-452
    • /
    • 1998
  • In this Study, I concerned the learning-teaching of the use of letters in algebra. Our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 tried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Foundation necessary for the learning-teaching of the use of letters in literal expressions. Second, I made a course of study that lead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nd the use f literals in algebraic expressions. Third, Based on this course of study, I held classes on First-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and I carried on an investigati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nd the use of literals in algebraic expressions. Finally, I made an analysis of findings in this investigation and identified student'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nd the use of literals in algebraic expressions.

  • PDF

만5세 소프트웨어 수업에 나타난 교육적 의미 탐색 (The Exploring of Educational Meaning on Software Education for a 5-year-old)

  • 홍찬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83-19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만5세 유아들에게 컴퓨팅 사고력 중심 소프트웨어 수업을 실행하고, 수업에 참여한 유아와 수업을 실행한 교사에게 각각 어떠한 교육적 의미가 있는지 분석하여 바람직한 유아기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밝혀보기 위함이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 두 곳에서, 만5세 유아 50명을 대상으로 총 10개의 수업을 진행하고 수집된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소프트웨어 수업에서 유아에게 나타난 교육적 의미는 선행 경험에서 문제를 발견하기, 스토리로 시뮬레이션 과정에 다가가기, 소프트웨어 기기를 통해 흥미와 성취감 느끼기였으며, 교사에게 나타난 교육적 의미는 절차적 사고과정을 지원하는 발문하기, 사고과정을 구체적 경험으로 이끌기, 집단 활동과 개별 활동 사이에서 적절하게 오고가기였다. 연구를 통해 발견된 교육적 의미는 바람직한 유아기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다양한 시사점을 주었으며, 향후에는 컴퓨팅 사고력 중심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의 효과성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학교 식생활교육의 교육적 의의와 효율적 추진 방안 (Educational Meanings and Effective Practical Plans of School Dietary Life Education)

  • 전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7-135
    • /
    • 2010
  • 이 연구는 학교교육에서의 식생활교육의 본질과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식생활교육이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학교교육이라는 시스템 속에서 어떻게 기능하고 소통하여야 하는가를 밝히는 것이 이 연구의 주된 관심과 맥락이다. 이 연구에서 다룬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식생활육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인간의 삶에서 먹는다는 것의 의미, 식생활을 교육한다는 것의 의미, 학교 식생활교육의 의의와 책무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학교 식생활교육을 재조명하기 위해 사회, 학습자, 교과교육과정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즉, 식생활과 관련된 사회적 현상과 변화, 학습자의 성장과 발달특성, 실과와 가정과교육과정에서의 식생활교육내용을 살펴보았다 셋째, 학교 식생활교육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 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학교 식생활교육의 지향점, 구조, 요소들에 대해 해석하고, 학교 식생활교육의 교육적 철학과 배경, 학교 식생활교육의 내용 체계와 구조, 교수학습방법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학교 식생활교육의 수월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학교 식생활교육의 목표와 내용설정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탐색하고, 교육과정에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마련하며, 식생활교육을 담당할 초등교사와 가정과교사의 교육 강화, 시설설비의 확충, 다양한 프로그램과 교수 학습자료의 마련, 다양한 주체들 간의 유기적 협력과 네트�p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 PDF

전형식적 증명의 의미와 교육학적 의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f preformal proof and its didactical significance)

  • 류성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313-32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aning of preformal proof and its didactical significance in mathematics education. A preformal proof plays a more important role in mathematics education, because nowadays in mathematics a proof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 from a sociological point of view. A preformal proof was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 action proof, b) geometric-intuitive proof, c) reality oriented proof, d) proof by generalization from paradiam. An educational significance of a preformal proof are followings: a) A proof is not identified with a formal proof. b) A proof is not only considered from a symbolic level, but also from enactive and iconic level. c) A preformal proof generates a formal proof and convinces pupils of a formal proof d) A preformal proof is psychologically natural. e) A preformal proof changes a conception of what is a proof. Therefore a preformal proof is expected to teach in school mathematics from the elementary school to the secondary school.

  • PDF

2011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학습내용 성취 기준 양태 분석: '이해한다', '안다', '의미'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Modes in the Learning-Content Achievement Standards of Korean 2011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Focused on 'Understand', 'Know' and 'Meaning')

  • 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4호
    • /
    • pp.517-53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 진술상 비일관성이 없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2011 교육과정의 학습내용 성취 기준에서 많이 사용하는 어휘인 '이해하다', '안다', '의미'를 대상으로, 그것의 비일관적 사용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이를 위해, 그것이 2011 교육과정에서 비일관적으로 나타나는 양태를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는 2011 교육과정에서 어떤 원칙을 바탕으로 '이해하다', '안다', '의미'를 사용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는 것을 말해준다. 양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차후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제안을 결론으로 제시한다. 성취 기준 진술에서 첫째, '이해하다'를 어떤 맥락에서 사용하는지 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안다'와 '이해하다'의 차이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의 의미'에서 '의미'가 무엇을 함의하는지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 PDF

"교육위기" 담론의 의미와 주체구성 방식 연구: 한겨레신문과 조선일보 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chanism for discoursive constitution of meaning and subject appeared in "Educational crisis" by Korea mass media)

  • 강진숙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3권
    • /
    • pp.7-5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적으로 한국언론에 나타난 교육위기담론의 의미구성방식과 주체 구성방식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사회의 진보-보수 언론이 갖는 대립적 입장과 이데올로기적 특성들을 드러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미셀 페쇠의 담론이론에서 제시된 언어체계의 선택과 조합방식들-선구성과 절합 메커니즘-, 그리고 이데올로기의 주체구성 방식을 이론적으로 검토한 후, 실제 사례분석에 들어가고자 한다. 사례분석의 대상은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이고, 두 신문의 진보와 보수라는 상징적 적대성을 근거로 선정했다. 이와 함께 "교실붕괴"나 "학교붕괴" 등의 교육위기 담론을 현장진술, 원인과 책임규명 그리고 사후대책의 범주 속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