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8초

유아의 정서지능과 영재성의 성별 차이 및 관계 분석 (Kindergarte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Giftedness)

  • 장영숙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985-100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정서지능과 영재성이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 유아의 정서지능이 유아의 영재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유치원에 재원중인 5세 유아 26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정서지능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정서지능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여아의 정서지능은 남아의 정서지능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났다. 둘째, 유아의 영재성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영재성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아의 영재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IQ뿐 아니라 유아의 정서지능의 하위변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또래와의 관계가 유아의 영재성을 예언하는 변인들로 나타났다. 특히 유아의 자기정서의 이용은 유아의 영재성을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이었다. 이는 유아의 영재성은 유아가 높은 성취를 위해서 스스로를 동기화하고 인내심을 가지며 노력하는 것과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영재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자녀관계 요인: 성별 및 학교급, 일반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Factors on Gifted Adolescents' Career Maturity : Focusing on Gender, Secondary School Level, and Comparison with Regular Adolescents)

  • 채유정;이현주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565-58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영재성, 성별, 학교급에 따른 청소년의 진로성숙, 부모-자녀관계 및 활동에서의 차이를 분석하고, 진로성숙에 대한 영향 변인에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집단 간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수학, 과학 영재교육원에 재원중인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2학년 학생 213명과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2학년 학생 243명이 관련 설문에 참여하였다. 먼저 진로성숙, 부모-자녀관계(성취기대, 존경, 죄송함), 부모와의 활동(토론 문화, 생활 일상), 부모의 진로지원에서 영재성, 성별, 학교급별 차이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기초통계 분석, 상관분석 및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영재와 일반학생의 집단 간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각 변인에 대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영재학생은 진로성숙, 성취기대(부모-자녀관계), 존경(부모-자녀관계), 토론 문화(부모와의 활동), 생활 일상(부모와의 활동), 부모의 진로지원에서 일반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각 변인에 대한 성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생활 일상 활동에서 부모와 더 빈번한 활동을 공유한다고 나타났으나, 그 외의 변인에서는 성별에 대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교급에 따른 각 변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중학생들이 부모-자녀 관계 중 성취기대, 통제, 존경변인을 더 높게 지각하였고, 부모와의 활동(토론 문화 및 생활 일상)에 있어서도 그 빈도가 더 높다고 지각하였다. 넷째,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모든 관련 변인을 투입했을 때 일반 및 영재학생 모두 부모의 진로지원이 진로성숙도에 가장 큰 정적 영향력을 미쳤으며, 부모와의 활동 중 토론 문화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 및 영재학생에게 부모-자녀간의 토론과 문화 활동을 활발히 하고 이를 통한 진로교육을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아동의 문제해결능력 : 표상과 평가능력의 역할 (Young Children's Problem-solving : The role of representation and evaluation)

  • 김경미
    • 영재교육연구
    • /
    • 제5권2호
    • /
    • pp.17-36
    • /
    • 1995
  • The present study examined preschooler's (3-5yrs) representation and evaluation skills in a puzzle completion task. The puzzle contained panels of four children dressed for each seacon and the key to success was using a body scheme to reconstruct the panels (head, torso, legs, feet and sky on top). Baseline data (Study 1) revealed a developmental pattern of increasing bydy scheme representation along with more careful attention to season consitent construction. Spontaneous verbalization also shifted from more guiding statements (where'the head?) to move evaluative statements (this isn't right). Study 2 examined different intervention techniques for increasing representation (verbal laveling) and evaluative processes (error detection practice), along with a control group that had unassisted practice. Three year olds benefited from verbal labeling, four year olds from both types of training. Verbalizations also showed appropriated shifts toward increasing evaluation, particularly for the older children.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a developmental hypothesis that representation precedes evaluation skills and that training technique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relative balance between representation and evaluation skills in the individual for the task at hand.

  • PDF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의 '작은 생물'에 대한 오개념 연구 (A Study on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Misconceptions regarding 'Small Living Things')

  • 김세욱;홍승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spc5호
    • /
    • pp.485-494
    • /
    • 2007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proportion of misconceptions and the reasons for selecting responses related to questions about small living things between talented and average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made up of three groups. They were a class of 37 talented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 attending J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 class of 37 talented students in science attending J City Office of Education, and a class of 33 average students attending J City. A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20 test questions for examination of concepts related to small living things. The data obtained in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a statistical program.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In general, the level of the scientific concepts possessed by the talented students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average students, especially in question 14. The reasons for the misconceptions which were revealed through this study were classified into vagueness of the language used, hasty decision and deduction making, using the wrong analogical inference, mass communications (TV or internet) and experimental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In terms of the reasons for the selection of a given response, the talented students had also a higher frequency in the 'science books for children' category than the average students, indicating that various kinds of science books for children have an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concepts on small living things. The misconception proportion of male students was 5.4%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in mean frequencies of all questions,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question 4. Data from this study may help teachers involved in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to reconsider their conceptions on small living things.

  • PDF

과학수사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orensic Science Program on Scientific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of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강아라;이길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3호
    • /
    • pp.265-27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forensic science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scientific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in gifted elementary-school students. A program that consists of six sessions (18 hours) i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CPS model, which has been already proven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This program was applied to sixth-grade 18 gifted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Examinations of scientific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program in order to determine its effect on gifted elementary students. A qualitative analysis of students' activity sheets, peer assessment and teacher's class journal was made in order to examine the process of improvement of students' scientific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ensic science program to enhance the scientific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of gifted students was developed. Second, forensic science program is significantly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scientific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of gifted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p<.05). Third, in early stage of the class, a student, who showed the highest range of change in pre and post tests, revealed the trend of responding in a short answer type. In the late stage of the class, he revealed the capability of producing various creative ideas promptly. On the other hand, students belonging to the upper group of both pre and post test revealed the improvement of divergent thinking skills such as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Fourth, after class,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 forensic scienc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ntrigued the interests and curiosities, and helped them break away from fixed ideas.

한국어판 영재아 행동특성 평정척도(K-SRBCSS)의 개발과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K-SRBCSS))

  • 진현정;최호성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621-647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교육적 맥락과 언어적 차이 등이 고려된 한국어판 영재아 행동특성 평정척도를 개발하여 그 척도를 타당화 시키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Renzulli외(2002)에 의해 개정된 SRBCSS를 번안 지침에 의거하여 우리말로 번안한 뒤 6개 항목에 대한 55개의 문항과 한국적 상황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3개 문항을 추가하여 58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한국어판 행동특성 평정척도(K-SRBCSS)를 완성하였다. 영재아 126명과 일반아 126명에 대해 교사와 부모가 실시한 행동특성 평정 결과를 살펴본 결과 이척도는 타당하고 신뢰할 만한 도구임이 입증되었으며 이 척도를 이용하여 영재아와 일반아의 행동특성을 평정한 결과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드러내어 이 척도가 영재아 판별에 있어 변별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 척도로 교사와 부모의 행동특성 평정 차이를 검증한 결과 두 평정자간의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 영재 판별시 특수한 상황에서 교사와 부모 어느 한 쪽의 평정만을 활용하여 일반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시사점도 얻을 수 있었다.

과학캠프 활동 평가를 통해 추출한 과학 영재 프로그램의 적절성 준거 (Criteria for the Program Development for Science Gifted Children Extracted from a Science Camp Activity)

  • 박종석;오원근;박종욱;정병훈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29-339
    • /
    • 1999
  • 청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에서는 충북도내 초등학교 4-5학년 과학영재들을 중심으로 1998년 8월 9일부터 11일까지 2박 3일간의 과학캠프를 운영하였다. 과학캠프를 마친 후 참가 학생들에게 캠프에 참가한 동기 및 캠프의 각종 활동에 대해서 가장 재미있었던 활동과 유익했었던 활동을 선택하게 하고 그 이유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이전에 별로 경험하기 어려웠던 신기한 현상을 다루고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과제들을 재미있게 생각하였다. 그러나, 신기한 현상을 다루더라도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고 이를 해결하는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는 과제들은 재미있더라도 무언가 배울만 한 것이 없는 프로그램은 유익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과학 영재교육에 효과적인 프로그램들은 새로운 현상들을 다루어 지적 호기심을 유발하고, 이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 PDF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을 위한 앱인벤터 활용 수학영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 Learning Program Utilizing App Inventor f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이재준;유인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8
    • /
    • 2016
  • 우리나라는 영재교육에서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신장을 매우 중요한 목표로 내세운다. 최근에는 다양한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영재 학습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고 이를 통해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향상되기도 한다. 하지만 프로그래밍 활용 영재 학습 프로그램은 정보 영재를 대상으로 개발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을 위한 앱인벤터를 활용한 수학영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관해 탐구하였다. 4, 5학년으로 이루어진 초등 수학 영재 1개 학급을 대상으로 모둠별로 앱인벤터를 활용해 수학 퀴즈를 만드는 활동을 하였다. 실험 적용 후 실험집단의 내재적 동기, 자율성, 개방성 등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하위 요소의 사후 검사 값이 유의도 .002이하로 매우 유의하였다. 따라서 앱인벤터의 활용을 통한 수학영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은 수학 영재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전 영역에서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델파이 조사 방법을 이용한 물리 영재교육과정 구성 (Development of a High School Level Physics Curriculum for the Gifted in Science)

  • 김영민;이성이;정성오
    • 영재교육연구
    • /
    • 제12권4호
    • /
    • pp.46-71
    • /
    • 2002
  • 과학기술부가 2001년 11월 부산과학고등학교를 최초의 영재학교로 지정하여 2003년 3월 개교하게 됨으로써, 본 연구는 과학 영재 학생들을 위해 설립될 '과학 영재 학교'를 비롯하여 다른 영재교육 기관에서 영재 학생의 특성과 능력에 알맞은 과학 교육을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고등학교 수준의 물리 영역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폭넓게 합의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문헌분석과 11명의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델파이 조사방법을 이용하였다. 1차 설문조사에서는 교육과정 목표, 내용, 방법, 평가 등으로 영역을 구성하여 그 각각에 전문가들이 자유롭게 기술할 수 있는 방법을 채택하였으며, 2차 설문은 1차 설문조사에서 수합된 의견을 분석, 종합하여 작성하였고, 2차 설문 결과는 빈도 수 또는 우선 순위 방식으로 분석하여 물리영재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비교 (Comparative Study between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in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이혜령;최재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3호
    • /
    • pp.585-60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영재의 특성에 대해 폭넓게 이해하고 더 나아가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D광역시 소재 영재교육원, 영재학급의 초등수학영재 126명과 일반학생 12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의사소통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대한 지필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들 간의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초등수학영재가 일반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집단별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관계에서도 두 집단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초등수학영재가 보다 높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수학영재 프로그램의 개발뿐만 아니라 교수 학습에 있어서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간의 상호관련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