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K-SRBCSS)

한국어판 영재아 행동특성 평정척도(K-SRBCSS)의 개발과 타당화

  • Received : 2010.07.06
  • Accepted : 2010.08.18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of the K-SRBCSS (Korean Version of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considering educational-social context and linguistic differences. The developed K-SRBCSS includes 58 items, which are consisted of 55 items from translation of original SRBCSS into Korean and three newly developed items that reflect Korean situation. Teachers and parents rated student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bout 58 items in 6 sc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K-SRBCSS is valid and reliable scale. The differences of the rating of characteristics between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f significant. Gifted students got higher scores on every scales than general students. It means K-SRBCSS is useful to discriminate the gifted. The differences of the rating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showed insignificant results, which mean that teachers and parents rate students's characteristics similarly. K-SRBCSS will be a very useful scale that could find some hidden talents if this scales would use complementarily with other sophistication methods in identifying the gifted.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교육적 맥락과 언어적 차이 등이 고려된 한국어판 영재아 행동특성 평정척도를 개발하여 그 척도를 타당화 시키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Renzulli외(2002)에 의해 개정된 SRBCSS를 번안 지침에 의거하여 우리말로 번안한 뒤 6개 항목에 대한 55개의 문항과 한국적 상황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3개 문항을 추가하여 58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한국어판 행동특성 평정척도(K-SRBCSS)를 완성하였다. 영재아 126명과 일반아 126명에 대해 교사와 부모가 실시한 행동특성 평정 결과를 살펴본 결과 이척도는 타당하고 신뢰할 만한 도구임이 입증되었으며 이 척도를 이용하여 영재아와 일반아의 행동특성을 평정한 결과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드러내어 이 척도가 영재아 판별에 있어 변별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 척도로 교사와 부모의 행동특성 평정 차이를 검증한 결과 두 평정자간의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 영재 판별시 특수한 상황에서 교사와 부모 어느 한 쪽의 평정만을 활용하여 일반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시사점도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숙 (2008). 영재교육대상자 선발제도 개선 방향. 제8기 영재교육 담당교원 직무연수, 한국교육개발원.
  2. 문병상 (2000). 영재와 평재간의 자기학업 조절의 차이, 초등교육연구, 14(1), 181-197.
  3.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편) (2007).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4. 서정희, 최재혁, 김용 (2007). 고등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생애학습능력비교.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1), 61-72.
  5. 송인섭 (2009). 영재 판별 평정 척도의 타당화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8(2), 221-246.
  6. 윤여홍 (1998). 영재아 판별에서 한국판 영재아 행동특성 체크리스트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8(2), 1-13.
  7. 윤여홍 (2002). 부모의 지각에 의한 유아 영재의 발달 특성과 변화. 영재교육연구, 12(2), 1-15.
  8. 윤초희 (2005). 영재성 유형과 학년 수준에 따른 동기 및 인지적 특성. 영재와 영재교육, 4(2), 53-72.
  9. 윤초희, 강승희 (2005). 인지적 특성에 의한 영재유형 간 판별분석초등 언어영재와 수학 영재의 경우,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8(3), 63-80.
  10. 윤초희, 김홍원 (2004). 지적으로 우수한 영재아의 형식적 사고, 초인지 및 창의력에 관한 연구, 교육심리연구, 18(1), 241-260.
  11. 이세나, 이승훈, 한석실 (2009).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학습관련 인식과 정의적 특성 비교. 아동학회지, 30(5). 73-85.
  12. 이영주 (2005). 영재와 학력우수 아동의 행동특성에 대한 교사의 지각. 아동학회지, 24(4), 293-302.
  13. 이정규, 김현철, 이윤옥 (2005). 영재의 인지적 특성 연구: 3개 영역별(문과, 이과, 예술) 영재를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9(4), 953-971.
  14. 임혜숙 (1997). 영재아동의 행동특성에 관한 일연구. 교육심리연구, 11(3), 183-204.
  15. 조석희, 강민희, 이혜주, 한석실, 안도희 (2005). 영재성의 발달 및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종단연구. 수탁연구 CR2005-35. 한국교육개발원.
  16. 최영기, 도종훈 (2004). 수학영재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창의적 특성. 대한수학교육학회지, 6(4), 361-372.
  17. 최호성 (2003). 중등 영재판별과 교육 프로그램의 비판적 검토. 한국영재학회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91-115.
  18. 한기순, 배미란 (2004).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 간의 사고 양식과 지능 및 창의성간의 관계 비교, 교육심리연구, 8(2), 49-68.
  19. Burke, J. P., Haworth, C. E., & Ware, W. B. (1982). Scale for rat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An investigation of factor structur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16, 477-485. https://doi.org/10.1177/002246698201600411
  20. Chan, W. D. (2000). Exploring identification procedures of gifted students by teacher ratings: Parent ratings and student self-reports in Hong Kong. High Ability Studies, 11(1), 69-82. https://doi.org/10.1080/713669176
  21. Davis, G. A., & Rimm, S. B. (2003).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5th ed.).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22. Elliott, S. N., Argulewicz, E. N., & Turco, T. L. (1986). Predictive validity of the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for gifted children in three sociocultural group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5, 27-32. https://doi.org/10.1080/00220973.1986.10806431
  23. Kalantan, A. R. (1991). The effects of in-service training on Bahraini teachers: Perceptions of giftedness. Storrs, NT: University of Connecticut.
  24. Renzulli, J. S., Siegle, D., Reis, S. M., Gavin, M. K., Rachael E., & Reed, R. S. (2009). An investigation of the reliability and factor structure of four new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Academics, 21(1), 84-108. https://doi.org/10.1177/1932202X0902100105
  25. Renzulli, J. S., Smith, L. H., White, A. J., Callahan, C. M., & Hartman, R. K. (1976).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26. Renzulli, J. S., Smith, L. H., White, A. J., Callahan, C. M., Hartman, R. K., & Westberg, K. L. (2002).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Rev. ed.).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27. Rust, J. O., & Lose, B. D. (1980). Screening for giftedness with the Slosson and the scale for rat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Psychology in the Schools, 16, 446-451.
  28. Srour, N. H. (1989). An analysis of teacher judgment in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Jordanian students. University of Connecticut, Storrs.
  29. Worrell, F. C., & Schaefer, B. A. (2004). Reliability and validity of learning behaviors scale(LBS) scores with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A comparative perspective. Gifted Child Quarterly, 48, 287. https://doi.org/10.1177/00169862040480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