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Factors on Gifted Adolescents' Career Maturity : Focusing on Gender, Secondary School Level, and Comparison with Regular Adolescents

영재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자녀관계 요인: 성별 및 학교급, 일반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6.11.14
  • Accepted : 2016.12.27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his study purpose was to explore whether career maturity and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related factors were differentiated by giftedness, gender and secondary school level (research question 1).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related factors on career maturity with a comparison on gifted and regular students (research question 2). The sample included 213 gifted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gifted education center and 243 regular student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for research question 1,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research question 2.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1) gifted students showed a higher level of career maturity, achievement expectation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respect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discussion and leisure (activity with parents), sharing ordinary life and communication (activity with parents), career support of parents compared to regular students ; (2) Girls showed higher level only in sharing ordinary life and communication compared to boys ; (3) middle school students more highly perceived the parents' achievement expectation and control, respect for parents, activities with parents (discussion and leisure, sharing ordinary life and communication) compared to high school students ; (4) the career support of parents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career maturity, and discussion and leisure was also a significant factor predictor of career maturity.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for parents to support their children's career maturity of both gifted and regular students by increasing frequencies of various activities shared with their children such as discussion and leasure.

본 연구에서는 영재성, 성별, 학교급에 따른 청소년의 진로성숙, 부모-자녀관계 및 활동에서의 차이를 분석하고, 진로성숙에 대한 영향 변인에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집단 간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수학, 과학 영재교육원에 재원중인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2학년 학생 213명과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2학년 학생 243명이 관련 설문에 참여하였다. 먼저 진로성숙, 부모-자녀관계(성취기대, 존경, 죄송함), 부모와의 활동(토론 문화, 생활 일상), 부모의 진로지원에서 영재성, 성별, 학교급별 차이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기초통계 분석, 상관분석 및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영재와 일반학생의 집단 간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각 변인에 대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영재학생은 진로성숙, 성취기대(부모-자녀관계), 존경(부모-자녀관계), 토론 문화(부모와의 활동), 생활 일상(부모와의 활동), 부모의 진로지원에서 일반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각 변인에 대한 성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생활 일상 활동에서 부모와 더 빈번한 활동을 공유한다고 나타났으나, 그 외의 변인에서는 성별에 대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교급에 따른 각 변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중학생들이 부모-자녀 관계 중 성취기대, 통제, 존경변인을 더 높게 지각하였고, 부모와의 활동(토론 문화 및 생활 일상)에 있어서도 그 빈도가 더 높다고 지각하였다. 넷째,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모든 관련 변인을 투입했을 때 일반 및 영재학생 모두 부모의 진로지원이 진로성숙도에 가장 큰 정적 영향력을 미쳤으며, 부모와의 활동 중 토론 문화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 및 영재학생에게 부모-자녀간의 토론과 문화 활동을 활발히 하고 이를 통한 진로교육을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배 (2004). 중학교 청소년의 직업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제1회 한국청소년패널조사 학술대회, 157-188. 12월 23일.
  2. 교육부 (2013. 05. 29).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 계획. http://moe.korea.kr/gonews/branch.do?GONEWSSID=9KvfYSdFqLfXWxBn360vhTGsqT2B2qrWFb3HWjLL9L15YpnPY8J2!1226262424!2115205746&act=detailView&dataId=155897826§ionId=b_sec_2&type=news&flComment=1&flReply=0 (검색일: 2016. 10. 15)
  3. 권혁본 (2001). 자아개념 및 가정환경이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대구카톨릭대학교.
  4. 김병숙 (2005). 청소년의 진로의식 및 진로경로 분석. 제1회 한국교육고용패널 학술대회, 541-558. 10월 7일.
  5. 김봉환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6. 김양미 (1990).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인식 수준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7. 김유미, 유순화 (2007).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진로성숙 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8(1), 265-283.
  8. 김정숙(2006). 중학생의 직업포부 결정 요인: 의사직과 교사직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26, 125-146.
  9. 김충기, 천귀순 (2003). 초등학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 및 성격특성과 진로의식성숙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16(2), 25-44.
  10. 김현옥 (1989).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관련변인간의 상관관계.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11. 김희수, 홍성훈, 윤은종 (2005).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16(2), 37-65.
  12. 류한구, 김양분, 현주, 김일혁, 강상진, 김현철, 박성호 (2005).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 (I): 예비조사 보고서. (연구보고 RR2005-18).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3. 문미란, 정진선 (2005). 중학교 청소년들의 직업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개인, 가정, 학교변인을 중심으로. 제2회 한국청소년패널 학술대회, 171-193. 12월 23일.
  14. 박완성 (2007). 중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종단적 연구. 진로교육연구, 20(4), 87-101.
  15. 박영균, 박영신, 김의철 (2010). 한국 청소년과 부모 세대간 심리특성 차이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1(4), 79-113.
  16. 박현진, 백성혜 (2015). 자유학기제를 활용한 진로체험활동이 학생들의 진로의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1(1), 11-31.
  17. 박춘성, 이정규(2009). 영재학생의 가정환경 영향력 분석: 초등영재학급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18(1), 131-142.
  18. 신윤호, 오만록 (2005). 생활지도와 진로개발. 서울: 교육과학사.
  19. 신은영, 김누리 (2004). 청소년기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탐색. 아동교육, 13(2), 185-199.
  20. 심재영, 박은영 (2003). 과학영재의 진로의식 변화 연구(1996-2003). 영재교육연구, 13(2), 95-112.
  21. 유순화, 윤경미, 강승희 (2006). 과학영재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 상담학연구, 7(2), 399-415.
  22. 이광자 (1988).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23. 이기학, 한종철 (1997). 진로태도 측정도구 타당화를 위한 도구. 진로교육연구, 8(1), 219-255.
  24. 이병권 (1996). 지각된 양육태도와 진로성숙수준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25. 이인아 (2004).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아개념이 진로의식발달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6. 이정규, 김현철 (2005). 우리나라의 영재의 개인 및 가정환경적 배경변인 연구. 교육방법연구, 17(2), 239-259.
  27. 이재호, 최승희 (2014). 초등정보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진로발달 및 직업관 인식에 대한 조사연구. 영재교육연구, 24(4), 613-628.
  28. 이충국 (1998). 진로태도 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9. 이한나, 김재형, 김동기 (2009). 청소년의 진로활동 경험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 신뢰 및 부모애착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6(8), 129-148.
  30. 이현림 (2007). 진로상담. 서울: 양서원.
  31. 이현주 (2012). 고등학생의 개인공부시간과 수업이해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3(2), 5-38.
  32. 이현주, 권희경, 신태섭 (2013). 또래관계와 자아개념 변화, 미래목표인식, 진로성숙의 수준 및 구조적 관계에서 성차. 교육심리연구, 27(1), 99-123.
  33. 이희복, 박상태, 변두원, 김정은 (2009). My Dream Job 프로젝트 분석을 통한 과학영재의 미래 직업인식. 과학영재교육, 1(3), 33-41.
  34. 이희선, 선우현정 (2015).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인: 자아정체감, 부모의 방임. 청소년학연구, 22(6), 57-73.
  35. 장인규 (1998). 중학생의 진로의식 및 진로성숙도 조사연구.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36. 정미나, 노자은 (2016). 청소년 진로성숙의 영향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7(3), 133-162.
  37. 정순희 (1989). 자아개념과 학업성취에 따른 진로성숙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38. 조석희, 안도희, 한석실 (2003). 영재성의 발굴 및 계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9. 차정은, 김아영, 이은경, 김봉환 (2007).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및 진로 미결정의 성별차이 및 발달 경향성 검증. 교육심리연구, 21(4), 923-944.
  40. 한국교육개발원 (1991). 진로성숙도 검사 표준화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진로성숙도 검사개발보고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2. 황매향, 김봉환, 최인재, 허은영 (2010). 한국 청소년의 연령에 따른 진로발달 특성의 변화추이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1(4). 75-94.
  43. 황희숙, 강승희, 황순영 (2009). 영재 중학생의 영역과 학년에 따른 진로 성숙도와 진로의사결정유형의 차이. 한국교육학연구, 15(2), 79-102.
  44. 황희숙, 강승희, 황순영 (2010). 과학영재 진로선택 어려움에 관한 질적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2(3), 351-368.
  45. Berger, S. L. (1989). College planning for gifted students. Restart. VA: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46. Clark, B. (1992). Growing up gifted (4th ed.). NY: Macmilan.
  47. Colangelo, N. (1991).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Boston: Allyn and Bacon.
  48. Crites, J. O. (1978). Theory and research handbook for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Monterey, Calif(CTB): McGraw Hill.
  49. Davis, G. A., Rimm, S. B., & Siegle, D. (2011).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6th ed.). Boston, MA: Pearson.
  50. Feldhusen, J. F., & Kolloff, P. B. (1986). The Purdue three-stage enrichment model for gifted education at the elementary level. In J. S. Renzulli (Ed.), Systems and models for developing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pp. 126-152).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51. Greene, M. J. (2002). Gifted adrift? Career counseling of the gifted and talented. Roeper Review, 25(2), 66-72. https://doi.org/10.1080/02783190309554201
  52. Hartung, P. J., Porfeli, E. J., & Vondracek, F. W. (2008). Career adaptability in childhood. The Career Development Quaterly, 57(1), 63-74. https://doi.org/10.1002/j.2161-0045.2008.tb00166.x
  53. Herr, E. L., & Enderlein, T. E. (1976). Vocational maturity: The effects of school grade curriculum and sex.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2), 227-238. https://doi.org/10.1016/0001-8791(76)90023-3
  54. Keith, T. Z. (2006). Multiple regression and beyond. Boston: Pearson.
  55. Keller, B. K., & Whiston, S. C. (2008). The role of parental influences on young adolescents'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6(2), 198-217. https://doi.org/10.1177/1069072707313206
  56. Kelly, K. R., & Cobb, S. J. (1991). A profile of the career development characteristic of young gifted adolescents: Examining gender and multicultural differences. Roeper Review, 13(4), 202-306. https://doi.org/10.1080/02783199109553359
  57. Kelly, K. R., & Colangelo, N. (1990). Effect of academic ability and gender on career development.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3(2), 168-175. https://doi.org/10.1177/016235329001300205
  58. Kerr, B. A. (1991). Handbook for counseling the gifted and talented. Alexandria. VA: AACD Press.
  59. Marshall, B. C. (1981).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of gifted and talented adolescents: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Journal of Career Education, 7(4), 305-311.
  60. Milgram, R. M., & Hong, E. (1999). Multipotential abilities and vocational interests in gifted adolescents:Facts or fi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34(2), 81-93. https://doi.org/10.1080/002075999399981
  61. Novack, L. L., & Novack, D. R. (1996). Being female in the eighties and nineties: Conflicts between new opportunities and traditional expectations among white, middle class, heterosexual women. Sex Role, 35(1-2), 57-72. https://doi.org/10.1007/BF01548175
  62. Post-Kammer, P. (1987).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s and career maturity of 9th and 11th grade boys and girl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65(8), 420-423. https://doi.org/10.1002/j.1556-6676.1987.tb00746.x
  63. Renzulli, J. S. (1977). The enrichment triad model: A guide for developing defensible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64. Renzulli, J. S., & Reis, S. M. (1991). The schoolwide enrichment model: A comprehensiv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roductivity.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2nd ed., pp. 111-141). Needham Heights, MA: Allun and Bacon.
  65. Rubin, K. H., Dwyer, K. M., Booth-LaForce, C., Kim, A. H., Burgess, K. B., & Rose-Krasnor, L. (2004). Attachment, friendship, and psychosocial functioning in early adolescence.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4(4), 326-356. https://doi.org/10.1177/0272431604268530
  66. Scott, A. B., & Ciani, K. D. (2008). Effects of an undergraduate career class on men's and women'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vocational identity.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34(3), 263-285. https://doi.org/10.1177/0894845307311248
  67. Stewart, J. B. (1999). Career counseling for the academically gifted student. Canadian Journal of Counseling, 33(1), 3-12.
  68. Super, D. E. (1975). Career education and career guidance for the life span and for life roles. Journal of Career Education, 2(2), 27-42.